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이상곤 박사의 ‘왕의 한의학’

왕권 행사 못한 심약한 군주

면역력 약했던 ‘마마보이’ 명종

  • 이상곤│갑산한의원 원장·한의학 박사

왕권 행사 못한 심약한 군주

1/4
문정왕후 윤씨는 조선 제12대 왕 인종(仁宗·1515~1545, 재위 1544 ~1545)과 제13대 왕 명종(明宗·1534~1567, 재위 1545∼1567)의 어머니로, 중종의 계비다. 연산군을 내쫓은 반정 공신들은 중종과 그의 첫 부인인 단경왕후 신씨를 강제로 헤어지게 만든다. 신씨의 아버지 신수근이 연산군과 처남, 매부 지간으로 반정에 반대했기 때문에 겪은 불행이다. 인왕산의 치마바위는 쫓겨난 신씨가 구중궁궐에서 중종이 혹시 자신을 바라볼 수도 있을지 모른다는 기대감에 바위에 치마를 걸치고 궁궐을 바라봤다는 애달픈 한이 서린 장소다.

중종의 둘째 부인은 장경왕후인데, 출산 후유증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때 출산한 아이가 인종이다. 장경왕후의 출산을 도운 이는 TV드라마로 유명한 장금이다.

셋째 왕비가 바로 조선 역사상 가장 강력한 여제였던 문정왕후다. 두 딸을 낳은 그는 결혼 17년 만인 중종 29년에 훗날 명종이 되는 왕자를 생산했다. 문정왕후는 인종과 명종 두 왕의 건강과 죽음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

강력한 여제 문정왕후

‘명종실록’ 20년 4월 6일, 사관이 쓴 윤씨의 졸기는 이렇게 시작한다. “윤씨는 천성이 강한(剛?)하고 문자를 알았다. 인종이 동궁으로 있을 적에 윤씨가 그를 꺼리자, 그 아우 윤원로(尹元老)·윤원형(尹元衡)의 무리가 장경왕후의 아우 윤임(尹任)과 틈이 벌어져, 윤씨와 세자 양쪽 사이를 얽어 모함하여 드디어 대윤·소윤의 설이 있게 되었다. 이때 사람들이 모두 인종의 고위(孤危)를 근심하였는데, 중종이 승하하자 인종은 효도를 극진히 하여 윤씨를 섬겼다. 그러나 삼조할 즈음에 빈번히 원망하는 말을 하고, 심지어 ‘원컨대 관가(왕)는 우리 가문을 살려달라’고까지 말하였다. 인종이 이 말을 듣고 답답해하고 또 상중에 과도히 슬퍼한 나머지 이어서 우상(憂傷)이 되어 승하하게 되었다.”



왕권 행사 못한 심약한 군주

중종의 계비인 문정왕후 윤씨 묘가 있는 태릉.

친아들인 명종도 문정왕후의 압박에 건강을 해쳤다. “스스로 명종을 부립(扶立)한 공이 있다 하여 때로 주상에게 ‘너는 내가 아니면 어떻게 이 자리를 소유할 수 있었으랴’ 하고, 조금만 여의치 않으면 곧 꾸짖고 호통을 쳐서 마치 민가의 어머니가 어린 아들을 대하듯 함이 있었다. 상(上·임금)의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워서 어김없이 받들었으나 때로 후원의 외진 곳에서 눈물을 흘리었고 더욱 목 놓아 울기까지 하였으니, 상이 심열증(心熱症)을 얻은 것이 또한 이 때문이다.” 죽는 순간까지 명종을 괴롭힌 심열증의 뿌리는 바로 자신의 어머니였다.

하지만 4월 20일 명종이 지시해 만든 공식 문서는 사뭇 다르다. “인종이 원자로 있을 때 부지런히 애써 무양(撫養·어루만지듯이 잘 돌보아 기름)함이 자기 소생보다 더 나았다. 항상 인종의 학문이 날로, 달로 진취함을 기뻐하여 유모·보모, 시인(侍人)의 무리에게 자주 상을 주었다. 인종과 효혜공주가 어려서 어머니를 잃은 것을 애통히 여겼고, 공주의 자제에 이르러서도 모든 일을 일체 공주의 예에 의하였다.”

왜 이렇게 차이가 날까. 문정왕후는 두 번이나 공주를 낳은 끝에 결혼 17년 만에 명종을 낳는다. 그동안 자신의 감정을 철저히 누르고 쓴맛 단맛을 보며 권력의 속성으로 앞날을 파악한 여장부다운 처신이 아니었을까.

문정왕후는 권력을 잡자 자신과 대립했던 대윤파를 일소했다. 이때 윤임과 그 일파가 제거되면서 인종 때 등용된 사림들도 대거 피해를 보았는데, 이를 을사사화라고 한다. 을사사화는 대윤과 소윤의 정쟁이지만, 그 이면엔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훈구세력과 성리학의 원리주의자인 사림세력 간 갈등이 배경으로 있었다.

훈구와 사림의 갈등

사림은 선조 이후 조선의 정치권력을 완전히 장악한다. 이 때문에 사림과 갈등을 겪으면서 불교를 옹호한 문정왕후를 실록이 어떻게 평가했는지는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당시 문정왕후의 권세를 가늠할 수 있는 사건은 양재역(良才驛) 벽서(壁書) 사건이다. 지금으로 말하자면, 양재역 벽에 대자보 성격의 글이 게시된 것이다.

원문은 이렇다. “其書以朱書曰: “女主執政于上, 奸臣李·#54702;等弄權於下, 國之將亡, 可立而待. 豈不寒心哉?”(그 글은 붉은 글씨로 썼는데, ‘여주(女主)가 위에서 정권을 잡고 간신 이기(李·#54702;) 등이 아래에서 권세를 농간하고 있으니 나라가 장차 망할 것을 서서 기다릴 수 있게 되었다. 어찌 한심하지 않은가.’

여주는 여왕의 권력을 가진 분이라는 뜻이다. 이 사건으로 중종과 희빈 홍씨 사이에 난 인종과 명종의 이복형제 봉성군 이완이 사사(賜死)당한다.

1/4
이상곤│갑산한의원 원장·한의학 박사
목록 닫기

왕권 행사 못한 심약한 군주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