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서울, 자연, 인간을 향한 역사문화기행 ‘겸재의 한양진경’

서울, 자연, 인간을 향한 역사문화기행 ‘겸재의 한양진경’

1/2
서울, 자연, 인간을 향한 역사문화기행 ‘겸재의 한양진경’

겸재의 한양진경 최완수 지음. 동아일보사 / 360쪽 /양장본 3만8000원, 보급판 1만8000원

우리나라는 참으로 축복받은 곳이다. 자연이 이렇게 빼어난 곳을 찾기란 쉽지 않다. 아름다운 산과 강이 조화를 이루고, 지척에서 그 영롱한 기운을 온몸으로 느끼며 살아가는 민족은 더욱 드물다. 그 중에서도 서울은 삼천리 금수강산의 정기가 모인 명당 중의 명당이다. 이렇게 높고 빼어난 산을 등지고, 넓고 큰 강을 바라보며, 아늑하고 포근한 땅에 터잡아 모든 것을 최상으로 갖춘 대도시는 국내는 물론 전세계 어디에도 없다.

그럼에도 오랫동안 그 아름다움은 우리 눈에 띄지 않았다. 자연을 순수하게 바라보지 않고 어떤 문화적 창을 통해서 보는 관습 때문이었다. 긴 세월 우리는 중국이 천하제일이라 여기며 중국의 문화와 자연을 통해 자신을 보았다. 그리고 이제 서구의 영향 아래 자라난 현대인들은 부지불식간에 서구를 통해 우리를 보려 한다.

그러나 조선후기 숙종대(1675∼1720)를 전후한 18세기 무렵, 우리것이 제일이라는 자존의식이 자라났고 이 땅의 산천도 천하제일이라는 자부심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 결과 우리의 땅 대신 중국의 산천을 그리고, 우리 것을 그리더라도 중국 산수화의 틀 속에서 그리던 전통에서 벗어나 우리 땅을 한국의 방식과 미감으로 그리는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가 발달했다.

한국 산수화의 ‘개벽’

겸재(謙齋) 정선(鄭?, 1676∼1759)은 이런 변화를 선도하고 이를 최고의 예술적 경지로 끌어올린 핵심적인 문인화가였다. 그는 율곡(栗谷) 이래 조선성리학(朝鮮性理學) 전통을 철저히 체득하고 외래문화까지 폭넓게 소화한 뒤, 평생에 걸쳐 전국의 명산대천을 수없이 사생하는 각고의 노력 끝에 독자적인 진경산수화의 신경지를 개척했다. 그것은 동시대 조영석(趙榮?)의 증언처럼, 진정한 “우리나라 산수화의 개벽(開闢)”이었다.



하지만 그동안 이를 서구 근대의 과학적 세계관과 시민사회론적 시각에 맞추어, 조선성리학의 관념적인 공리공론을 극복하고 나타난 ‘실학(實學)’의 결과였다고 해석하는 것이 대세였다. 그래서 웬만한 대학교수와 제법 교양을 갖추었다고 자부하는 식자 중에도 ‘진경산수화’를 ‘실학’의 결과물로 알고 우리도 서구식 근대와 비슷한 과정을 밟았다는 사실에 안도하거나 흐뭇해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인류사에는 서구의 틀에 넣을 수 없는 다른 방식의 근대도 존재했다. 조선후기가 그 대표적인 예 가운데 하나다. 조선후기 진경산수화와 풍속화는 그 핵심적인 징표 가운데 하나다. 조선후기의 역사와 문화는 결코 서구 근대의 열등한 아류가 아니라 그와는 다른 방식으로 존재하고 전개된 독자적인 세계였다.

가헌(嘉軒) 최완수(崔完秀) 선생은 그동안 조선후기의 역사와 문화를 구명(究明)해서 세상의 잘못된 생각을 바로잡는 데 앞장서왔다. 그리하여 지난 30여년 동안 ‘겸재명품첩’ ‘겸재정선 진경산수화’ ‘우리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 ‘겸재를 따라가는 금강산 여행’ 같은 책을 펴내 이를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한편, 간송미술관의 수많은 전시와 강연을 통해 이러한 사실들을 알리는 데 주력해왔다.

이번에 출간된 ‘겸재의 한양진경’은 지난 2002년 동아일보 지면에 연재되었던 내용을 대폭 확대·보완하고, 겸재가 그린 한양진경의 천연색 도판을 곁들여 새롭게 펴낸 것이다. 저자의 학문적 온축과 대중 교화에 대한 각별한 애정이 느껴질 뿐만 아니라, 우리의 자연과 역사, 문화와 예술에 대한 저자의 해박한 지식과 깊은 사랑이 책장마다 배어 있다.

그래서 겸재의 한양진경을 감상하며 책을 읽노라면 우리 역사상 가장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하며 뛰어난 예술 문화를 꽃피웠던 250년 전 서울의 모습이 아스라한 꿈처럼 되살아나, 마치 별천지를 유람하는 것만 같다. 흔히 산수화를 방안에 누워서 유람하는 것이라고 하여 ‘와유(臥遊)’라고 부르는데, 이 책은 250년 전 서울을 와유하게 해준다.

1/2
글: 강관식 한성대 교수·회화 kkshy@hansung.ac.kr
목록 닫기

서울, 자연, 인간을 향한 역사문화기행 ‘겸재의 한양진경’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