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서울, 자연, 인간을 향한 역사문화기행 ‘겸재의 한양진경’

서울, 자연, 인간을 향한 역사문화기행 ‘겸재의 한양진경’

2/2
서울, 자연, 인간을 향한 역사문화기행 ‘겸재의 한양진경’

‘백악산’, 영조16년(1740년)경. 현재 경복고등학교 자리에서 살았던 겸재가 뒷동산이나 마찬가지인 북악산(백악산)을 그렸다.

하지만 설사 겸재의 한양진경을 들고 서울을 와유한다 하더라도, 서울은 현대에 이르러 제 모습을 잃어버렸기 때문에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웬만한 교양을 갖춘 사람도 겸재의 한양진경을 보고 그것이 어디의 무엇을 그린 것이고, 왜 그렇게 그렸는가를 알아내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조선후기의 역사와 문화, 지리와 언어, 가계(家系)와 보학(譜學) 등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해박한 지식을 갖춘 저자는 수많은 자료를 섭렵하고 현장을 일일이 답사하여 250년 전 서울의 모습을 거의 완벽하게 찾아냈다.

그래서 겸재가 그린 한양진경의 위치는 물론 지명의 유래와 지형의 풍수, 가옥의 구조, 정원의 조경, 수목의 배치, 화훼의 품종, 주인과 나그네의 마음, 그리고 그 속에서 그들이 일구어갔던 심오한 학문과 아름다운 시서화(詩書畵)까지 마치 눈앞에 실제로 펼쳐져 있는 것처럼 설명한다.

뿐만 아니라 부록으로 현재의 위치를 표시한 지도를 만들어서 누구든지 이 책을 들고 현장을 답사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친절을 잊지 않았다. 소실되었던 세검정(洗劍亭)이 복원되고 양천향교(陽川鄕校)가 다시 세워질 수 있었던 것도 겸재가 남긴 한양진경과 저자의 이와 같은 학문적 연구가 거둔 성과라 해도 과언이 아니리라.

이 책을 손에 들면, 서울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 손꼽혔던 북악산(北嶽山, 白岳山)과 인왕산(仁王山) 일대의 명승들은 물론, 혜화문과 동대문을 나가 양수리에서 미사리와 광진을 거치고 송파와 압구정을 지나 다시 양화와 행주에 이르는 한강변의 명소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서울, 자연, 인간을 향한 역사문화기행 ‘겸재의 한양진경’

‘인곡유거(仁谷幽居)’, 영조31년(1755년)경. 겸재가 말년을 보낸 인왕산 골짜기 자신의 집을 그린 것이다.

이렇게 ‘겸재의 한양진경’을 통해 예술적으로 와유한 뒤, 실제로 그 현장을 유람한다면 누구나 우리 전통 문화의 향기를 되새길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자연과 조화할 줄 아는 겸허한 마음으로 서울의 풍광을 아름답게 가꾸었던 선인들의 지혜를 배우고, 나아가 그 속에서 우리를 진정으로 소중하게 생각하고 사랑하는 자존의식 아래 독자적인 문화와 예술을 창조한 선인들의 전통을 되돌아볼 수 있다.

땅은 아무리 아름답다 해도 그 자체로 의미 있는 것은 아니다. 땅은 사람 때문에 소중하다. 그래서 아름다운 땅은 아름다운 사람에 의해서 더욱 아름다워진다. 진경산수화도 마찬가지다. 진경산수화의 핵심은 땅이 아니라 그 땅에 사는 사람과 그 사람의 실존적인 삶에 있다. 진경산수화도 아름다운 사람들에 의해서 더욱 아름다워지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겸재의 한양진경’이란 책 한 권으로 250년 만에 다시 이 땅으로 되돌아온 셈이다. 서울 토박이였던 겸재만큼 서울을 잘 알고 서울을 사랑하며 서울을 잘 그린 사람도 없었지만, 저자만큼 겸재를 사랑하고 겸재의 마음을 잘 알며 겸재 당시 서울의 아름다움을 깊이 이해하는 사람도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은 겸재의 한양진경과 쌍벽을 이루는 또 하나의 한양진경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신동아 2004년 7월호

2/2
글: 강관식 한성대 교수·회화 kkshy@hansung.ac.kr
목록 닫기

서울, 자연, 인간을 향한 역사문화기행 ‘겸재의 한양진경’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