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덕궁 부용정과 흡사한 활래정은 선교장에서 가장 멋스러운 곳. 주자의 ‘관세유감’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고 한다.
대지가 3만평이나 되는 선교장은 한국에서 가장 규모가 큰 전통가옥. 큰사랑채 열화당과 작은사랑채, 행랑채, 연지당, 동별당, 활래정, 서별당 등 10여개 건물에 120칸이 들어서 있다. 지금도 계속 집안 규모를 넓히고 있어 조선시대 민간주택의 한계인 99칸을 초과하게 됐다.
선교장의 지세를 살펴보면 먼저 대관령에서 동해 쪽으로 내려오는 산세 한 가닥이 오죽헌 자리를 만들고, 거기서 다시 동북쪽으로 흘러가 시루봉으로 솟은 점이 눈에 띈다. 시루봉의 맥은 경포대 쪽으로 올라가면서 여러 개의 자그마한 내청룡과 내백호를 분화해놓았는데, 그 모양이 마치 알파벳 ‘U’자 같다. 산세도 높이 200m 내외여서 위압감보다는 편안함을 준다. 청룡과 백호가 활처럼 둥그렇게 감싼 집터의 아늑함 때문일까. 이곳은 문사(文士)들에게 참으로 잘 어울리는 곳으로 느껴진다.
이곳을 집터로 잡은 주인공은 효령대군의 11세손인 가선대부 무경(茂卿) 이내번(李乃蕃·1703∼81)이다. 이내번은 한 떼의 족제비가 일렬로 무리 지어 서북쪽으로 날아오르는 것을 목격하고, 그 광경을 신기하게 여겨 뒤를 따라갔는데, 이 족제비떼가 지금 선교장이 들어선 땅 부근의 숲으로 사라졌다는 것이다. 이내번은 이곳이 명당이라 판단하고는 선교장을 지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