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1월호

고양이는 어떻게 살고 있는가

  • 글: 이오덕

    입력2003-01-02 10:4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신동아’는 신년호부터 아동문학가 이오덕 선생의 에세이를 연재한다. 평생을 우리말글 바로쓰기에 바쳐온 그 열정 못잖게 선생의 자연관은 생명에 대한 경외로 가득차 있다. 그가 들려주는 자연과 삶 이야기(편집자).
    고양이는 어떻게 살고 있는가
    내가 살고 있는 집 옆에는 아주 허물어진 빈집이 있다. 내 방으로 들어오는 난방 배관이 그 옆집 담 밑(거기가 우리 땅이어서)으로 지나가게 되어 있어서 그곳이 좀 따뜻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겨울이면 마을의 도둑고양이들이 죄다 그곳에 모여 와서 밤을 새웠던 모양이다.

    벌써 몇 해째 그곳이 고양이들로 하여금 겨울을 나게 하여 목숨을 보전해 준 곳이라는 사실을 며칠 전에야 알았다. 그 배관에서 열이 밖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막는 시설을 하고 나서 정우(장남)가 고양이 이야기를 한 것이다. 덕택에 난방비가 적게 들게 되었지만, 앞으로 고양이들이 추운 겨울밤을 어디서 어떻게 새우게 될까 생각하니 마음이 가벼울 수가 없었다.

    “몇 마리나 되나?”

    “다섯 마리요.”

    “아직도 다섯 마리나 살아 있었구나.”



    “플라스틱관을 싸 덮어버리고 나서 그것들이 어디서 자나 했더니, 그 집에서 소 먹일 때 쓰던 죽통 있지요? 그 소죽통에 들어가 자요. 거기가 바람이 안 들어오고, 또 사방 어디서든지 사람이 오는 걸 볼 수가 있어서 마음놓고 자는 모양이라요.”

    “됐네, 여물통이라면 나무라서 차갑지도 않고, 다섯 마리가 한데 뭉쳐 자면 추위도 견디겠네.”

    “나무가 아니고 시멘이래요. 콘크리트요.”

    “뭐, 시멘이라고? 찬 시멘 바닥에서 어떻게 자나? 그럼 이렇게 해줘라. 고든박골 밭둑에 부직포 있지? 오늘 그것 좀 떼어와서 거기 깔아줘라.”

    “그런 것 깔아놓으면 도리어 겁을 내 안 올 건데요.”

    “그렇잖다. 벌써 새벽이면 영하 6~7도로 내려가는데, 그것들이 어디서 자겠나?”

    이래서 그날 정우가 부직포 조각을 가져와서 거기 깔아주었다. 그런데 다음날 와서 하는 말이 이랬다.

    “그럴 줄 알았어요. 고양이들이 자고 간 흔적이 없어요. 그것들이 사람 손 흔적을 알아차리면 절대로 안 온다니까요.”

    “그럼 어쩌나? 올 겨울 얼어죽게 됐다.”

    “조그만 전구를 하나 헛간 구석 바닥에 켜둘까요? 따뜻해서 모여 들거라요.”

    “그거 안 될 거다. 밤에 불이 켜져 있으면 이상하다고 당장 사람이 찾아올 게 뻔하다.”

    이래서 우리는 고양이들을 위해 아무것도 해주지 못하고 있다. 산짐승, 들짐승들에게 겨울은 지옥이지만 고양이에겐 더욱 혹독하다. 먹을 것도 없는 데다가 추위를 별나게 타기 때문이다.

    옛날 사람들은 고양이를 집에서 길렀다. 고양이도 소나 개와 같이 사람에 딸린 한 식구였다. 고양이는 쥐를 잡으니까 대접을 잘 받아서 방 안에까지 들어가고 밥도 얻어먹을 수 있었다. 겨울이면 방 안에서도 더 따뜻한 아랫목을 찾고, 밤이면 이불 속으로 파고들어 자기도 했다. 아이들은 고양이를 안고 잤다. 그러면 아이도 고양이도 따뜻해서 좋았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사람들은 약을 놓아서 쥐를 잡게 되었다. 쥐가 없어지니 고양이가 할 일이 없어졌다. 약 먹은 쥐를 먹고 고양이들이 자꾸 죽어갔다. 살아 있는 고양이도 사람의 집에서 쫓겨나게 되었다. 이제 농촌에서 고양이를 기르는 집이 없다. 모든 것을 돈으로만 따지는 농사꾼들에게 고양이는 아무 소용이 없는 동물이 되고 말았다.

    집에서 쫓겨난 고양이들이 갈 곳은 어디인가? 아주 산속으로 들어가 살쾡이가 될 수도 없으니 어쩔 도리 없이 사람이 사는 집근처를 돌아다닐 수밖에 없다. 어쩌다가 사람이 버리는 음식 찌꺼기를 주워먹을 수도 있고, 운수가 좋으면 부엌에 들어가 먹다 남은 밥이나 고기 동강이라도 훔쳐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이렇게 내쫓아버린 고양이를 도둑고양이라 해서 미워한다. 사람에 기대어 살아온 짐승의 비극은 이렇게 하여 고양이족에게도 어김없이 닥쳐온 것이다.

    마을 앞 찻길 옆에 우리 아이들이 음식점을 차려놓고 있는데, 거기에 언제나 고양이 여러 마리가 숨어다니면서 살고 있다. 밤에는 창고에 들어간다. 창고 안은 아주 썰렁하지만, 그래도 바깥보다는 나은 모양이다. 그런데 2년 넘게 산 고양이가 없다. 죄다 차에 치어 죽는 것이다. 그래도 어찌어찌해서 새끼를 낳기도 하여 아직은 씨가 마르지 않아 두 마리가 남아 있다. 고양이는 교통사고로 죽고, 굶어죽고, 쓰레기통 속에 들어갔다가 뚜껑을 닫아버려서 숨막혀 죽고, 한겨울에 얼어죽는다. 그러나, 그렇게 해서 죽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이 사람한테 잡아먹힌다.

    내가 사는 이 조그만 산골 마을에는 날마다 온갖 장사꾼들이 찾아온다. 그들은 차를 몰고 와서 한참 동안 쿵작작 유행가를 틀어놓기도 하고, 확성기로 한바탕 무엇을 사라고 외쳐대기도 하는데, 그 가운데는 무슨 먹을거리나 물건을 파는 것이 아니라 짐승을 사겠다고 하는 소리가 가장 자주 들린다.

    “개애 삽니다. 염소오 삽니다. 고양이 삽니다. 토끼 삽니다.”

    한동안 다람쥐 산다는 소리도 들었는데 요즘은 다람쥐 말은 없다. 다람쥐는 보신용 먹을거리로 사는 것이 아니라 외국에 팔기 위한 것이다. 이제 다람쥐를 못 팔게 해서인지도 모르지만, 그보다도 다람쥐를 보기가 어렵다. 하도 잡아가니 다람쥐가 없어진 것이다. 그런데 개나 염소나 토끼는 옛날부터 잡아먹는 짐승이라고 누구나 알고 있지만, 고양이는 사서 어디로 가져가는가? 고양이를 사러 다니는 장사꾼들이 어찌 이 마을에만 오겠는가? 그렇다면 온 나라의 고양이들이 어디로 팔려가서 어떻게 되는 것일까?

    정우가 하는 말이 이렇다. 장사꾼들이 고양이 한 마리를 1만원에 사간다고 한다. 붙잡혀 철망 우리 속에 들어간 고양이는 지방의 도시로 가기도 하지만 대부분 서울로 가게 된다. 커다란 철망 우리 속에 짐짝처럼 쳐넣어서, 서울까지 가는 동안 죽기가 예사지만, 죽거나 살거나 같은 값에 팔리니까 한 철망 속에 최대한 많이 넣는다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서울 근처의 어느 도시에는 굉장히 넓은 가축시장이 있어 전국에서 모인 개들이 그 수를 셀 수 없을 만큼 많고, 개 시장 바로 옆 고양이 시장에는 고양이들이 개의 3분의 1만큼 모여 있다고 한다.

    “고양이를 잡을 때는 단단한 나무방망이로 머리를 한 대씩 후려쳐요.”

    “고양이 요릿집이 많겠네.”

    “그런 거 없어요. 뻔하지요, 뭐. 죄다 개고기 보신탕집에 가요. 개고기와 섞어서 보신탕 만들어요.”

    정말 염소 소주니 개고기 보신탕은 있어도 고양이 보신탕집이 있다는 말은 듣지도 못했다. 서울이고 부산이고 간에 고양이 고기를 사먹었다는 사람은 없다. 그런데도 고양이들은 온나라 마을마다 잡혀가서 어디론가 사라지고 있다. 이 나라에는 고양이를 잡아먹는 유령이 많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