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길따라 맛따라

‘여유 속 활기’로 생동감 넘치는 충남 서천

모시 입고, 아구 먹고, 오력도 마주보며 낚싯대 드리우고

  • 글: 이지은 기자 smiley@donga.com 사진: 김성남 차장 photo7@donga.com

‘여유 속 활기’로 생동감 넘치는 충남 서천

1/3
  • 연신 카메라를 들이대도 농민은 무심히 모내기에만 열심이다.
  • 멀리 바다에 떠 있는 고깃배에선 어민들의 함성이 물결에 실려오고, 갈색 속살을 드러낸 갯벌에는 꽃게며 조개들이 제 세상 만난 듯 파닥인다. 모두가 그렇듯 자연스런 이곳에 오면 이방인조차 자연의 일부가 된다.
‘여유 속 활기’로 생동감 넘치는  충남 서천

마량리 동백숲 아래서 한가로이 낚시를 즐기는 강태공들. 바다 너머 오력도의 자태가 아름답다.

눈이 부시도록 푸르렀다. 서천을 향해 서해안고속도로를 내달리는 동안 창 밖의 하늘과 산천은 거추장스런 봄기운을 털어내고 짙푸른 여름옷으로 갈아입었다.

초입으로 들어서자 밀짚모자를 쓰고 수건을 두른 농민들이 모내기에 분주하다. 일손은 바쁘지만 마음은 ‘충청도 양반’답게 여유롭다. 낯선 도시인이 불쑥 나타나 카메라를 들이대도 그저 무심한 낯빛으로 모만 옮겨 심을 따름이다.

서천을 대표하는 특산물은 뭐니뭐니 해도 한산 모시다. 백옥같이 흰 데다 잠자리 날개처럼 짜임이 섬세해 여름철 최고의 옷감으로 꼽힌다. 삼국시대부터 만들어진 한산 모시는 고려시대에는 명나라 공물로, 조선시대에는 진상품으로 명성을 떨쳤고 지금도 한산면 소득원의 17%를 차지한다.

한산면 대로변의 한산모시관(041-950-4226). ‘척척척척’ 베틀 돌아가는 소리를 따라가보니 새하얀 모시옷을 곱게 차려 입은 방연옥(58·중요무형문화재 제14호) 선생이 모시 짜기에 한창이다. 그의 재빠른 손길이 스쳐가자 촘촘하고 깔깔한 모시가 얼굴을 내민다.

“나 어릴 적엔 동네 아낙들이 다 모시를 짰지만 요즘은…. 모시풀 껍질에서 모시를 짜내기까지 석 달쯤 걸리는데, 그게 다 수작업이라 무척 고되거든. 그나마 모시 짜기는 쉽지. 째기와 삼기는 너무 어려워서 요새 젊은이들은 엄두도 못 내요.”



모시 직조는 모시풀 속껍질을 물에 적신 후 햇볕에 말려 물기와 불순물을 제거한 ‘태모시’에서 시작된다. 태모시를 이로 쪼개 가늘게 만드는 과정이 ‘모시 째기’다. 마른 모시에 적당히 침을 발라주면서 가늘게 찢어야 하는데, 얼마나 가늘게 찢었느냐에 따라 모시의 등급이 달라진다. ‘모시 삼기’는 이처럼 가늘게 찢은 짧은 모시실을 잇는 일이다. 그렇게 삼은 실을 베틀에 달아 짜면 모시가 완성된다.

‘여유 속 활기’로 생동감 넘치는  충남 서천

보령의 무창포해수욕장. 6월1일 저녁 7시30분경 이곳에서 석도대까지 1.5km에 이르는 바닷길이 열렸다(左). 배를 손질하며 출항 준비를 채근하는 어민들(右).



1/3
글: 이지은 기자 smiley@donga.com 사진: 김성남 차장 photo7@donga.com
목록 닫기

‘여유 속 활기’로 생동감 넘치는 충남 서천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