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배의 기운은 며칠 전부터 감지되고 있었다. 검찰의 도곡동 땅 관련 수사 발표에 나름의 기대를 갖고 있었지만 “뭔가 부족하다”는 느낌이 팽배했다. “일주일만 더 시간이 있었으면…”이라는 캠프 관계자들의 토로가 들려왔다. 이들의 어깨를 무엇보다 무겁게 누른 것은 언론사 여론조사. 이 전 시장과 박 전 대표 간 선거인단 지지도 격차가 줄지 않고 있다는 보도가 잇따랐다.
투표 당일, 이 전 시장 지지세가 높은 서울 지역의 투표율이 예상외로 높았다. 불안감이 감돌기 시작했다. 이윽고 경선 결과에 포함될 여론조사 결과가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했다.
“한 자리수 차이라는데….”
어쩌면 될 수도 있겠다는 희망과, 힘들겠다는 비관이 매순간 교차하기 시작했다.
다음날 맞이한 개표. 막상 패배가 현실화하자 의원과 캠프 실무자들에겐 충격이 커 보였다. 선거인단 투표에선 이겼다. 1.5% 차의 석패였다. 표수로 환산해 2452표 차이.
‘자기절제’의 ‘박근혜다움’
그러나 달리 생각하면 1.5%포인트 차 패배는 어쩌면 기적이었다. 기자가 1년 여 박근혜 캠프를 출입하면서 경선 과정을 지켜본 결론은 그랬다. 박근혜 캠프는 경선 승리를 위해 좁게 난 지름길을 찾아 가지 않았다. 원칙과 정도를 지켰고, 그래서 그 정도 격차까지 따라 붙은 것이 오히려 기적 같은 결과라는 것이다.
경선 방식을 정하는 과정과 경선 운동 과정을 복기해 봤을 때 박 전 대표는 철저히 원칙을 지켜 승부했다. 그리고 그의 원칙은 경선의 마지막 순간까지 이어졌다. 깨끗한 승복 연설로 마무리한 것이다.
그날 이 전 시장의 승리가 선언될 때 박 전 대표의 얼굴에선 미세한 떨림 조차 느껴지지 않았다. 지독한 레이스의 끝이었지만 ‘놀라울 정도의 자기 절제’가 트레이드마크인 ‘박근혜 다움’을 잃지 않고 있었다. 이는 정도로 걸어왔다는 자신감에 따른 여유로 보였다.
선거에서 가정은 무의미하지만 박 캠프의 한 관계자는 “만약 박 전 대표가 경선에서 승리해 한나라당 후보가 됐다면 과거 탄핵역풍에서 한나라당을 구했을 때처럼 빠른 속도로 분열되어 있던 당을 안정화시켰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표님, ‘원칙’ 지키시죠”
박 전 대표에게 ‘원칙’은 알파와 오메가였다. 그는 원칙에 고집스레 매달렸다. 박 전 대표가 원칙을 깨는 경우는 폭탄주가 돌아가는 술자리뿐이라는 얘기가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폭탄주는 ‘제조자’가 먼저 먹어야 한다”는 ‘룰’이 있다. 하지만 박 전 대표는 폭탄주를 먹지 않는다. 입에만 댔다 뗀다. 한번은 기자들과의 술자리에서 박 전 대표가 폭탄주를 제조해 기자들에게 돌렸다. 한 기자가 “대표님, 제조자가 먹는 원칙을 지키시죠”라고 말했다. 그러자 박 전 대표가 빙긋이 웃으며 받아넘겼다. “예외 없는 원칙이 어디 있나요.”
박 전 대표를 이해하기 위해 넘어야 할 고비가 이 대목이다. 그는 복선을 깔지 않는다. 그의 언명은 깔끔했다. 그리고 그대로 실천하고자 하는 행동이 뒤따랐다.
다른 정치인과는 다른 점이었다. 처음엔 이해하기 힘들었다. 정치인의 말엔 대개 복선과 배경이 있다. 그래서 감안하고 듣는다. 그런데 이런 습관으로 박 전 대표를 만날 때면 그의 말은 이해하기 힘들었다. 그의 말은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