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세상은 합리적인가?

세상은 합리적인가?

1/2
  • 합리적인 사람들은 일대일 거래와 인센티브에 반응한다. 어떤 것의 비용이나 가치가 변했을 때 사람들은 행동을 바꾼다. 합리적인 사람들은 불확실한 세상 속에서 자신의 행동이 초래할 결과를 예측하면서 현재뿐 아니라 미래까지도 고민한다.
  • -본문 중에서
세상은 합리적인가?

<b>경제학 콘서트2</b><br>팀 하포드 지음 이진원 옮김 웅진지식하우스<br>원제 : The Logic of Life

경제학 콘서트 2’는 수수께끼 같은 현상 뒤에 숨겨진 경제학 논리를 명쾌하게 설명하면서 우리가 미처 몰랐던 일상 속 경제 법칙을 소개한다.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경제학 콘서트’(김명철 옮김, 웅진지식하우스)의 저자 팀 하포드가 다시 내놓은 이 책은 ‘경제학 콘서트’의 실전 응용편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작에 비해 실생활에 유용한 정보가 더 많이 수록됐다.

이 책은 우선 ‘왜 부자 동네는 항상 부유하고, 가난한 동네는 항상 가난한 것일까, 별로 일하지 않는 것 같은 직장 상사가 나보다 높은 연봉을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왜 벌이 범죄를 막는 것일까, 기혼여성들이 취업전선에 뛰어든 이후 이혼율이 증가한 이유는 무엇일까, 좋은 동네로 이사를 가면 인생이 바뀔까’ 등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품을 수 있는 여러 가지 궁금증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다.

또한 이 책은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들의 이론과 최신 경제학 연구의 흐름을 보여주는 진정한 경제학 교양서다.

이 책은 오늘날 경제학계의 주류인 ‘시카고학파’의 핵심 인물이자 1992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게리 베커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아울러 2002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대니얼 카너먼의 ‘선택 심리’, 2005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토머스 셸링의 ‘갈등과 협력에 관한 게임 이론’ 등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

또 저자는 ‘괴짜경제학’(안진환 옮김, 웅진지식하우스)을 지은 스티븐 레빗처럼 소장 경제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다채롭게 수록했다. 수많은 통계를 토대로 현실 참여적 경제 이슈를 연구해 ‘경제학 혁명(Economics Revolution)’을 일으키는 이들의 연구 결과는 책의 내용을 더욱 풍성하게 한다.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 증가와 성적 취향의 변화를 연구한 앤드루 프랜시스, 도시의 남녀 성비와 소득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레나 에들런드, 건물 구조와 범죄 발생률에 대해 연구한 에드 글레이저와 브루스 새서도트 등이 그들이다.

▼ Abstract

‘경제학 콘서트2’는 ‘10대들의 구강성교 비율이 늘어난 이유는 무엇일까?’라는 다소 파격적인 질문에서 시작한다. 대다수 사람은 이 질문에 10대들이 예전에 비해 성적으로 문란해졌기 때문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하지만 저자 팀 하포드의 대답은 “10대들이 더 똑똑해졌기 때문”이다. 섹스를 원하는 10대들의 욕구는 줄어들지 않았지만, 에이즈나 낙태 고지법 등으로 섹스에 대한 위험(비용)은 예전에 비해 한층 높아졌고, 따라서 합리적인 10대들은 에이즈 감염이나 원치 않는 임신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구강성교를 선호하게 됐다는 것이다.

이 사례만 보면, 저자가 말하는 ‘합리적 인간’은 경제학자들이 흔히 말하는 ‘호모 이코노미쿠스’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품게 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저자는 사람들이 호모 이코노미쿠스처럼 완전히 이기적이거나 금전적 이익에만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의식적으로 비용과 혜택을 계산할 능력도 없으며, 완벽한 자기 통제력을 갖추지 못했으므로 가끔 실수도 한다는 점을 인정한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사람은 합리적으로 행동하기 때문에, 합리적 선택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사람들의 행동과 세상의 본질을 파악할 수도 없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비합리적으로 보이는 일에 대해 ‘합리적 선택 이론’이 어떻게 명쾌한 결론을 내리는지를 보여주는 사례가 책 곳곳에 담겼다. 빈둥대는 직장상사가 나보다 연봉이 많은 이유는 무엇인지, 대도시 집값이 비싼 이유는 무엇인지, 멋진 여자가 평범한 남자와 결혼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좋은 이웃을 만나면 내 인생이 바뀌는지, 선거에서 비합리적인 후보가 당선되는 까닭은 무엇이고, 결혼 시장에서 올드미스가 인기 없는 이유는 무엇인지 등 일상의 다양한 사례를 합리적 선택 이론을 통해 설명한다.

합리적인 선택의 사례는 일상생활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저자는 이 책의 마지막 장인 9장에서 ‘부유한 나라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란 주제로 경제 성장의 비밀, 산업혁명의 원동력, 분업의 우수성, ‘인구론’을 주장한 멜서스의 선택 등 사회·경제라는 거시적 차원에서 인간의 행동이 어떤 결과를 낳게 됐는지에 대한 설명으로 글을 마무리한다.

1/2
이진원 로이터통신 국제금융뉴스팀장
목록 닫기

세상은 합리적인가?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