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신동아 창간 77주년 연속 별책부록

인터넷에 경영의 미래가 있다

  • 이준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e비즈니스 전략

인터넷에 경영의 미래가 있다

2/2
인터넷에 경영의 미래가              있다

LG전자가 국내 최초로 내놓은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겸용 MP3플레이어를 개발하는 데 참여한 대학생 프로슈머들.

4. 세계적 행동양식

세계는 점점 좁아지고 있으나 우리의 기업은 이 변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세계화는 사고뿐 아니라 행동 변화를 요구한다. 그래야 경쟁력을 갖출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네 가지 원리를 바탕으로 ‘위키노믹스’는 몇 가지 비즈니스 사례를 제시했는데 우선 ‘오픈 소스 코드 프로젝트’와 ‘위키피디아’의 사례를 들었다. 이 둘은 분산된 전문가 집단이 자발적으로 혁신 프로젝트에 참여한다는 특성이 있다. 이들의 참여 동기와 참여 기업의 수익 모델은 일반 기업과 다르며, 이들은 새로운 부가이익을 얻게 된다.

두 번째로 소개하는 모델은 ‘이데아고라’(ideagora)다. 이는 아이디어를 뜻하는 이데아(idea)와 고대 그리스의 시민 집회장인 아고라(agora)가 합쳐진 말이다. 인터넷을 통해 기술, 자원, 인력 등을 사고팔 수 있는 시장을 뜻한다. 기업은 ‘이데아고라’를 통해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경영 활동을 전개할 수 있다.

세 번째 사례는 프로슈머(prosumer) 모델과 관련이 있다. 프로슈머란 생산자(producer)와 소비자(consumer)의 합성어로, 단순한 소비를 넘어 제품 개발과 마케팅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소비자를 일컫는다. 이 책은 인터넷을 통해 고객이 신제품을 고안하고 고객끼리 광고를 주고받는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네 번째는 알렉산드리안 모델이다. 고대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은 모든 지식을 집대성한 곳이었다. ‘위키노믹스’에서 말하는 새로운 알렉산드리안 모델은 웹을 통해 탄생했다. 이 책에서 위키노믹스로 가능해진 지식의 공유가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하고 참여 플랫폼, 전세계 생산시설, 위키일터 등의 모델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 About the author

이 책은 돈 탭스코트와 앤서니 윌리엄스가 지었다. 공동저자인 윌리엄스는 영국사람이고 정보기술(IT) 민주주의에 대한 연구를 한다는 사실 외에 알려진 정보가 거의 없다. 주 저자인 탭스코트는 IT를 통한 경영혁신 변화에 관심이 많다. 현재 캐나다 토론토대학 겸임교수로도 활동하고 있다.

필자는 2000년 미국에서 교수생활을 할 때 탭스코트를 처음 만났다. 가르치던 e-Biz 과목에 적당한 교재가 없어 걱정하던 터에 그가 쓴 ‘디지털 경제’(The Digital Economy)를 보고 감탄한 기억이 있다.

‘디지털 자본’(Digital Capital), ‘꾸밈없는 협력’(Naked Corporation) 등의 저서가 있으며, 곧 ‘성장한 디지털;N세대가 어떻게 세상을 바꾸고 있는가’(Grown Up Digital; How the Net Generation is Changing the World)를 낼 예정이다.

그는 디지털 시대가 가져올 사회·경제적 변화에 깊은 통찰을 보인다. 특히 ‘N 세대’라 불리는 디지털 세대에 관한 연구를 많이 했다. 또 그가 제시한 ‘b-webs’ 모델(생산자, 공급자, 서비스 제공자, 고객 등이 인터넷을 매개로 비즈니스를 하는 다중 기업)은 인터넷 시대의 새로운 비즈니스 형태를 절묘하게 모델화한 것으로 유명하다.

▼ Impact of the book

언젠가 CEO가 가장 감명 깊게 읽은 책을 조사한 결과, ‘위키노믹스’가 5위에 올랐다는 기사를 봤다. 그보다 상위에 오른 책은 모두 일반 경영 서적이었다. 이를 감안하면 IT를 다룬 이 책이 5위에 뽑힌 사실은 고무적이다.

이 책을 읽은 기업인들과 대화를 나눌 기회가 많았다. 하나같이 “온라인, IT, 사이버스페이스 등이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이라는 데에 놀랐다”는 반응을 보였다. “초기 웹2.0이라는 개념이 소개됐을 때 교양 차원에서 관심을 기울였는데, ‘위키노믹스’를 읽은 뒤에는 그 개념을 비즈니스에 적용할 것인지를 고민하게 됐다”는 경영인도 많았다.

▼ Impression of the book

우리는 사물이나 현상에 이름을 붙인다. 이름을 짓는다는 것은 공통으로 인지하는 개념이 생성된다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이름을 짓는 것과 그 개념이 통용된다는 것은 다르다. 필자가 가장 답답했던 건 분명 새로운 비즈니스 패러다임이 다가오고 있는데, 그것에 마땅한 이름을 붙일 수 없다는 점이었다. 그 현상을 어떤 이는 ‘웹2.0’이라 불렀고 다른 누군가는 ‘집단지성’이라 불렀다. ‘롱테일’이라 부르는 이도 있었고 ‘UCC’라는 사람도 있었다.

이름이 무엇이건 분명한 것은 인터넷을 통한 협업시스템이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그에 따라 기업, 파트너, 고객 간 관계 재정립이 필요해졌다.

예컨대 콘텐츠 생산이 기업에서 고객으로 넘어가면 UCC 모델에, 기업의 생산 기능이 고객에게 전이되면 프로슈머 모델에 가까워진 것이다. 또 개인 블로그가 신문보다 더 많이 읽히는 등 미디어 분야도 크게 바뀌었다.

이 책은 그 현상을 ‘위키노믹스’라 칭했다. 하지만 아직 이 현상에 적합한 이름을 찾지 못한 모양이다. 책 속 ‘멋진 소제목 후보들’이란 부제에서 15개의 용어를 소개하고 있고, 마지막에서는 “여기에 여러분의 생각을 메모하세요”라는 코너를 따로 둔 걸 보면 말이다.

어쨌든 앞으로 이 현상이 기업 활동, 정부 형태, 국민의 의견수렴 방법 등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리라는 것은 분명하다.

Tips for further study

인터넷에 경영의 미래가              있다
먼저 위키피디아(wikipedia.org)라는 인터넷 백과사전을 살펴보자. 위키피디아는 단순한 실험 프로젝트가 아니다. 전세계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찾는 사이트 중 하나다. 궁금한 내용과 사건을 검색하면 그 내용과 함께 내용의 출처를 알 수 있다. 누구나 이 사전의 내용을 변경하거나 채울 수 있다. 이력 내역을 보면서 모든 이가 참여하는 이 백과사전이 신뢰할 만한지 생각해볼 것을 권한다.

경영이론서로는 ‘웹2.0과 비즈니스 전략’(이준기·임일 지음, 시그마인사이트컴)을 추천한다. 이 책을 통해 일반적인 인터넷 관련 경영 이론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광고 마케팅에 관심이 있다면 ‘웹2.0 마케팅 생존전략’(Web 2.0 Marketing Book, 다나카 아유미 지음, 김혜숙 옮김, 길벗)과 ‘마케팅과 PR의 새로운 원칙’(The New Rules of Marketing and PR, 데이비드 미먼 스콧, 국내 미출간)의 일독을 권한다. ‘대중의 지혜’(제임스 서로워키 지음, 홍대운 옮김, 랜덤하우스코리아·사진)은 집단지성을 다루고 있으며, ‘롱테일 경제학’(크리스 앤더슨 지음, 이호준 옮김, 랜덤하우스코리아)도 웹2.0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국내에서 이 분야를 다룬 책은 많이 출간되지 않았다. 해외에서도 이제 막 연구가 시작된 분야라 책이 다양하지 않다. 그래서 꾸준히 해외 블로그를 찾아 동향을 읽어야만 최신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신동아 2008년 12월호

2/2
이준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e비즈니스 전략
목록 닫기

인터넷에 경영의 미래가 있다

댓글 창 닫기

2023/04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