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으로 직역하면 이렇다.
“학생 시위는 1964년 6월 3일 비상계엄령하에서 군대가 진주하면서 일시적으로 중단됐으나 1965년 8월 국회에서 조약이 비준될 때까지 반정부 운동은 계속됐다.”
한양대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석사학위 논문인 ‘유신체제 성립 원인에 관한 연구-오도넬의 관료적 권위주의 체제이론에 따른 분석’(이하 한양대 논문) 55쪽에는 이런 문장이 나온다.
B-1 : “데모의 양상이 점차 격렬해지자 1964년 6월 3일 비상계엄령이 선포되고 군이 진주함으로써 시위는 일시적인 휴지기에 들어갔으나 그 후 1965년 8월 14일 국회비준안이 통과될 때까지 반대운동은 계속되었다.”
B와 B-1은 사실상 같은 문장이다. B-1 앞에 나오는 문장을 살펴보자.
A-1 : 군부가 공화당 정권의 가장 주요한 지지세력이었다면, 학생세력은 그것을 불안하게 만든 가장 중심세력이었던 것이다. 공화당 정권하에서 첫 번째로 가장 격렬했던 학생들의 반정부운동은 1964년 3월부터 시작하여 1965년 말까지 계속된 한일회담 반대 운동이었다.
A-1은 예일대 박사학위 논문의 A와 같은 문장이다. ‘The first strong anti-government movement’ ‘첫 번째로 가장 격렬했던 학생들의 반정부운동’과 ‘the students…who made the regime anxious’ ‘학생세력은 그것을 불안하게 만든’의 대비가 눈에 띈다.
이후의 문장들도 같기는 매한가지다.
C : However, the inrush of the military to the universities after the Garrison Decree ended the student movements for a time.(예일대 논문)
C-1 : 그러나 이것 역시 1965년 8월 25일 위수령에 의한 무장군인의 대학진입으로 끝을 맺게 되었다.(한양대 논문)
D : Student demonstrations reached a new peak in 1969 in the debate over Constitutional revision for making possible the third-term presidency of Park Chung-Hee.(예일대 논문)
D-1 : 60년대를 거치면서, 가장 격렬했던 반정부 학생운동으로는 1969년 3선개헌에 대한 학생들의 반대운동을 들 수 있다.(한양대 논문)
예일대 논문은 1986년, 한양대 논문은 1984년에 나왔는데 ‘상당히 긴 문장’이 같은 것이다. 역사적 사실을 서술하더라도 서술 순서마저 일치하기는 쉽지 않다. 왜 이런 일치가 나타난 걸까?
단락이 통으로 똑같아
두 논문의 유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다른 논문과 예일대 논문을 비교해보자. 심영희 한양대 사회학과 교수가 1984년에 쓴 ‘한국 사회의 산업화와 사회통제-조합주의적 노동통제를 중심으로’(이하 한양대-1 논문)라는 제목의 논문에 이런 단락이 나온다.
E : 1973년 후반기에 들어서면서 이른바 ‘유류 파동’으로 심화된 세계적인 경제불황은 한국 경제에도 큰 타격을 주었고 이로 인하여 국내 경기는 침체되었다. 이에 기업활동은 위축되고 고용수준이 둔화되었으며 부당해고·임금체불 등 근로기준법 위반 행위가 속출하였고, 단체협약의 비준수와 부당 노동행위가 빈발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노사관계는 악화되고 노사 간의 질서는 혼란을 거듭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혼란을 바로잡기 위해 ‘국민생활의 안정을 위한 대통령 긴급조치(대통령 긴급조치 제3호)’가 1974년 1월 14일자로 공포, 실시되었다.(한양대-1 논문)
예일대 논문에는 다음과 같은 단락이 있다.
E-1 : In the latter half of 1973 the world economy began to suffer a recession because of so called “oil shock.” Subsequently, the South Korean economy was greatly damaged and began to experience a slump in every economic sector. Illegal treatment of labor, like violation, of Standard law and the rule of collective agreement by unfair lay-off and delayed payment of wages, etc. made labor-management relations worse.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