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짧지만 약간 강하게
키워드 나열
이런 맥락에서 같은 어휘나 내용을 반복하지 않아야 한다. 읽는 이에게 ‘별 정보도 없이 빽빽하다’는 느낌을 주지 않아야 한다. 결국 내용을 압축적으로 표현하는 게 관건이다. 먼저, 키워드를 나열한다. 이들 단어 사이에는 의미 전달에 필요한 최소한의 조사, 동사, 형용사, 부사만 붙인다. 정치인의 촌철살인 표현이나 일간지의 기사 제목 같은 것을 떠올리면 된다.
ㅇㅋ, ㅇㅇ, 넹 남발
420자 칼럼으로 유명한 최준영 작가는 잠재적 대권주자 22인 품인록을 내놓은 바 있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에 대해 “제1야당 최대 계파의 수장. 정치력은 최악인 사람”이라고 썼다. 단 몇 개의 키워드만으로 많은 것을 말하고 있다. 의식적으로 이렇게 써 버릇하면 확실히 실력이 는다.
그렇다고 ㅇㅋ, ㅇㅇ, 넹, 알겠습니다 같은 단답형 대답을 남발하는 것은 좋지 않다. 성의 없고 무미건조하게 비친다.
바로 전송하지 말라
글자 수를 줄이는 데에만 집착하면 자칫 의미가 불충분하게 전달돼 상대방이 오해하거나 불쾌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문자메시지를 작성한 뒤 곧바로 전송하는 버릇. 반드시 버려야 한다. 뜸을 들여 퇴고해야 한다. 이때 보내는 이의 시각이 아닌 받는 이의 시각으로 문자메시지를 검토해야 한다. 받는 이가 다르게 해석할 여지가 발견되면 수정해야 한다.
뜸 들여 퇴고
받는 이가 문자메시지 내용을 다르게 이해해 관계에 금이 가는 사례를 우리 주변에서 심심치않게 볼 수 있다. 모음 한두 개를 틀리게 쓰는 바람에 뜻이 완전히 달라졌는데도 무심코 보냈다가 재앙을 초래하기도 한다. 본의 아니게 불경스럽게 비쳐져 상대의 기분을 상하게 하기도 한다. 글쓴이의 의도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게 무엇보다 우선이다. 이것이 충족된 조건하에서만 글자 수를 줄여야 한다.

가수 유희열과 개그우먼 박지선이 익살스럽게 주고 받은 문자메시지.
심지어 어떤 사람은 문자메시지를 엉뚱한 사람에게 보내는 실수를 저지르기도 한다. 동명이인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건 애교다. 사내의 이쪽 대화방에 올려야 할 내용을 저쪽 대화방에 올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 만약 두 대화방이 경쟁관계에 있다면 단박에 이중첩자로 내쳐진다. 어떤 사람은 사내 애인에게 보내야 할 문자메시지를 실수로 사내 대화방에 올리는 ‘자살행위’를 저지르기도 했다. 이런 점에서 ‘전송 전 확인 또 확인’하는 자세가 몸에 배야 한다.
감성을 터치하라
우리나라든 외국이든, 로맨틱 코미디에서 빠지지 않는 것이 문자메시지의 말풍선이다. 작업 단계에서 이별 단계까지, 문자메시지는 연애의 모든 것이다.
어떤 표현에 상대방이 뜨거운 반응, 혹은 냉담한 반응을 보였는가. 앞의 것을 모으면 ‘연애 성공 매뉴얼’이 만들어질 것이다. 타인과 문자메시지를 나눌 때 연애하는 기분으로 하는 게 좋다. 연애 성공 매뉴얼에 담긴 성공 코드를 활용해서 접근하면 잘 먹힌다는 말이다.
연애하듯이
이 성공 코드의 핵심은 바로 감성 터치다. 문자메시지는 조금 내밀한 느낌을 준다. 기본적으로 1대 1로 주고받기 때문이다. 심지어 다자 대화방도 폐쇄성을 기본으로 깔고 간다. 따라서 건조한 이야기만 주고받으면 어색해진다.
호감, 칭찬, 배려 따위를 더해주면 상대방은 내 문자메시지에 더 집중한다. 업무 보고 문자메시지 말미의 “날씨가 추우니 따뜻하게 입고 다니세요”라는 코멘트 한 줄이 큰 힘을 발휘한다. 그러나 여기서도 과유불급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 사적인 연인관계가 아니라면 감성을 살짝만 터치하는 게 좋다. 상대가 부담으로 느껴선 곤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