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인물 초대석

뮤지컬 ‘지하철 1호선’ 3000회 공연 돌파한 연출가 김민기

  • 글·구미화 기자 mhkoo@donga.com / 사진·동아일보 자료사진

뮤지컬 ‘지하철 1호선’ 3000회 공연 돌파한 연출가 김민기

뮤지컬 ‘지하철 1호선’ 3000회 공연 돌파한 연출가 김민기
“1000회 때 원작자가 ‘2000회도 하면 좋겠다’고 하기에 ‘그런 말은 저주’라고 쏘아붙였죠. 그런데 어느덧 3000회가 돼버렸어요.”

뼈대만 독일산이고, 내외장재는 순수 국산인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이 3월29일로 3000회 공연을 돌파했다. 동명의 독일 원작을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한 이 작품은 하룻밤 사랑으로 잉태한 아이의 아버지를 찾아 나선 연변 아가씨가 청량리행 지하철을 타면서 시작된다. 포장마차 단속반, 윤락 여성, 미군 아버지를 둔 혼혈인, 강남 사모님, 지하철 잡상인 등 다양한 인간군상이 등장해 1990년대 말 서울의 자화상을 그린다. 설경구, 황정민, 조승우, 방은진 같은 걸출한 스타들이 ‘지하철 1호선’을 거쳐갔다. 총 관람객 수 60여 만명. 원작자 폴커 루트비히는 1000회 돌파 당시 내한해 ‘해외에서 가장 오래 공연 중인 독일 작품’을 위해 ‘로열티 면제’라는 큰 선물을 안긴 바 있다.

12년을 한결같이 ‘지하철 1호선’의 운전대를 잡은 연출가 김민기(金敏基·55). 주위에선 벌써부터 4000회, 5000회를 얘기하고 한국 공연 문화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할 만한 대기록이라고 치켜세우지만 그는 담담하기만 하다.

“관객이 드는 한 공연은 계속하겠지만, 이미 누린 것만도 과분합니다. 더 욕심내면 안 되죠.”

늘 그렇다. 그는 묵묵히 하고 싶은 일을 할 뿐이다. 그것을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건 그의 몫이 아니다. 양희은에게 ‘아침이슬’을 만들어줄 때도 그랬고, 독집 음반을 낼 때도 그랬다.



조용한 기관사가 모는 지하철 1호선은 요즘도 북적댄다. 1970년대 민중이 ‘아침이슬’을 해방구로 여겼듯 관객은 건강하고 낙천적인 서민의 이야기에서 웃음과 희망을 얻는다.

신동아 2006년 5월호

글·구미화 기자 mhkoo@donga.com / 사진·동아일보 자료사진
목록 닫기

뮤지컬 ‘지하철 1호선’ 3000회 공연 돌파한 연출가 김민기

댓글 창 닫기

2023/04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