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금우대 상품은 이자에 대한 일반세율 16.5%보다 낮은 10.5%의 세율이 적용된다.
다음 퀴즈에 한번 도전해보자. 퀴즈의 제목은 ‘목돈 1억원을 만드는 데 걸리는 기간’이다. 요즘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10억 만들기’ 열풍이 불고 있지만 쳐다보기도 힘든 10억원말고 눈높이를 대폭 낮춰 1억원에 먼저 도전하는 것이다.
매월 150만원을 저축할 수 있는 사람이 1억원의 목돈을 만들려 한다고 가정하자.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3가지이다. 첫 번째는 장롱에 그냥 쌓아두는 방법이다. 집안에 있는 장롱 속에 매달 150만원씩 차곡차곡 넣어둔다. 물론 이자나 수익은 한푼도 없다. 말 그대로 자신의 ‘민족자본’만으로 1억원을 만들어야 한다. 이 경우 5년7개월이 걸린다. 1억원을 150만원으로 나눈 기간으로, 물론 중간에 도둑맞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전제에서다.
두 번째 방법은 그보다는 훨씬 합리적이다. 은행의 정기적금을 활용하는 것이다. 금리가 매우 낮긴 해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정기적금을 통해 목돈마련에 도전하고 있다. 요즘 금리를 반영해 연 5% 이자가 지급되는 정기적금에 가입한다고 하자. 이자가 발생하므로 첫 번째 방법보다는 목표 달성까지의 기간이 단축될 것이다. 두 번째 방법에 따라 1억원의 목돈을 만드는 데는 대략 4년11개월이 걸린다. 장롱 속에 쌓아두는 방법보다는 상당기간이 단축된다.
세 번째 방법은 고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주식형 적립식펀드에 가입하는 것이다. 이 경우 실제 수익률은 주식투자 결과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에 예측이 불가능하지만 우리나라의 과거 주식시장 평균 상승률을 감안해 연 9% 수익률을 기대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서 앞서 정기적금의 이자는 단리로 계산한 데 비해 적립식펀드는 복리, 그것도 매월 이자에 이자가 붙는 월 복리로 수익이 계산된다고 하자. 이쯤 되면 적립식 펀드는 현재 합리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방법 중 가장 좋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상품인 셈이다.
정기적금의 두 배에 가까운 수익률에 이자도 월 복리로 붙는 적립식펀드를 활용할 경우 목표금액인 1억원을 모으는 데 얼마나 걸릴까. 바로 이것이 오늘의 문제이다. 힌트는 ‘정기적금보다는 빨라진다’이다.
과연 여러분은 얼마나 걸릴 것이라고 예측했는가. 정기적금이 5년 가까이 걸리니까 4년(?), 아니면 3년(?), 또는 그 이하(?).
퀴즈의 정답은 실망스럽게도 ‘4년7개월’이다. 적립식펀드를 활용했을 때 1억원을 모으기까지는 4년7개월 걸린다는 얘기다. 최선의 투자결과를 전제로 했음에도 겨우 4개월 남짓 단축될 뿐이다. 그것도 실제로는 주식투자에 따른 상당한 리스크를 부담하면서 말이다.
기교보다는 우직함이 중요
목돈마련에서 ‘기교’보다는 ‘우직함’이 강조되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좋은 상품과 효과적인 투자전략이 목표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분명하다. 그렇다고 해서 축지법처럼 하루아침에 목표에 이르게 해주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얼마나 더 절약하면서 많이, 그리고 꾸준히 저축하느냐가 성과를 좌우한다.
열심히 저축하는 우직함이 목돈마련의 하드웨어라면 효과적인 금융상품을 선택하는 것은 좀더 빨리 목표에 이르게 하는 소프트웨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목돈마련을 위한 최적의 조합은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좋은 상품을 선택해 열심히 저축하는 것’이다.
목표와 저축 계획을 세우고 그 계획에 적합한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목돈마련의 올바른 순서이다. 기간별로 목돈마련에 적합한 금융상품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