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美핵우산 제거 요구할 것
‘체제 보장’ ‘비핵화 이행’ 先後가 중요
北이 준 선물은 한미군사훈련뿐?
南이 ‘보증’ 선 대화… 탈 나면 비난 쏠려
‘통 큰 결심’이라면 大전환 시작
3월 5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오른쪽)이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악수하고 있다.
①핵무기 보유로 한반도에 긴장의 파고를 높이던 북한이 사실상 핵무기를 포기할 용의가 있음을 밝혔다. ②김 위원장은 한반도 비핵화를 직접 언급하면서 “북한은 핵무기를 가져야 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③비핵화에 대한 이 같은 언급이 김 위원장의 입을 통해서는 처음 나온 데다 그것도 남측 고위 정부 인사를 직접 만난 자리에서였다는 점에서 한층 무게가 실린다. ④김 위원장이 “핵무기를 한 개도 가질 이유가 없다”고 말하면서 그 전제로 ‘체제 안전 보장이 관철된다면’이라는 조건을 달았으나 미국으로부터 안전 보장만 약속받는다면 핵을 과감하게 버릴 수 있음을 천명한 것이다.
한반도에 ‘운명의 봄’이 도래했다. 4월 남북정상회담·5월 북·미정상회담이 예정됐다. 핵동결→사찰→비핵화 과정에는 지뢰밭이 가득하나 ‘2018년 봄’은 한반도 정세의 역사적 전환점으로 기록될 수 있다. 3월 9일 미국 CNN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만남을 ‘너무 놀라워 가늠하기 힘든(mind-boggling) 정상회담’이라고 평했다. 또한 비핵화를 논하는 북한과 미국의 정상회담을 이끌어낸 공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있다면서 “여러분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경의를 표해야 한다”고 했다.
더 풍부한 회원 전용 기사와 기능을 만나보세요.
“美핵우산 포함한 한반도 비핵화”
트럼프와 김정은 사이의 설전.
핵무기와 주한미군을 등가(等價)로 여겨온 북한은 미국과 협상 과정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평화협정 체결, 한국에 대한 핵우산 제공 철폐를 조건으로 요구할 것이다. 또한 북·미 수교와 미국의 대북 무력 불사용 공약을 요구하면서 경제적 보상을 원할 것이다. 체제 보장과 제재 완화를 챙긴 후 비핵화하겠다는 것인지 행동 대 행동의 원칙으로 과정을 쪼갤 것인지 명확하지 않다. 북한은 제재 완화 등 선(先)보상 후(後) 비핵화를 선호할 것이다.
보수진영 일각에서도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CVID)가 이뤄지면 주한미군 철수를 용인할 수 있다’는 시각이 있기는 하다. 미국은 비핵화 공약이 없는 동결은 협상 대상이 아님을 강하게 강조하나 트럼프 대통령이 성과에 쫓겨 미국을 겨냥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포기하게 하고 기왕의 핵무기 일부를 인정하는 핵 동결을 받아들이는 시나리오도 배제할 수 없다.
북한이 ICBM 배치 유예와 비확산, 동결을 중심으로 미국과 대화를 진행하면서 비핵화는 이러저러한 전제 조건이 이뤄진 후 시행하겠다고 나서면 6자회담 때처럼 지루한 협상이 이어질 수밖에 없다. 북·미 평화협정 및 수교 이후 비핵화하겠다고 밝히면 상황이 더욱 복잡해진다. 북한의 의도가 무엇이든 군사적 옵션 시행을 막고 압박 국면을 완화하는 동시에 시간을 버는 것이다.
셋째, ‘북측은 핵무기는 물론 재래식 무기를 남측을 향해 사용하지 않을 것임을 확약했다’는 내용은 성과인 것으로 보이지만 이 또한 기존 논리의 연장선일 뿐이다. 핵무기는 미국을 상대로 한 것이지 한국을 겨냥한 게 아니라는 기왕의 주장의 반복이다. 김정은 지시로 2015년 수립한 ‘통일대전’은 핵무기를 이용해 미군의 증원을 막고 재래 전력을 활용해 한국을 강점하는 게 골자다. 네빌 체임벌린(영국 총리)은 아돌프 히틀러(독일 총통)와 맺은 종이 한 장의 협정문으로 평화를 확신했으나 영국은 전쟁의 참화를 겪었다.
넷째, ‘대화가 지속되는 동안’이라는 전제 조건을 단 핵·미사일 모라토리엄이라는 점이다. 미국은 “북한이 핵과 미사일 발사 실험을 중단하면 북·미 간 대화의 기회가 생길 것”이라고 강조해왔다. 일정 기간 북한이 도발을 멈춰야 대화에 나선다는 것이었는데 대화를 시작하면 핵·미사일 발사 실험을 하지 않는 것으로 선후가 바뀌어버린 것이다. 제재 강화와 군사적 옵션 실행을 막으면서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핵무력을 완성하는 게 북한의 의도라면 한국이 중매인으로 나서 시간 벌기를 도와준 꼴이 된다.
다섯째, 한국이 ‘보증’을 서는 형태로 북·미 대화가 시작됐다는 점이다. 2005년 김정일 위원장이 정동영 장관을 통해 북한의 의사를 전했듯 김정은 위원장은 정의용 실장을 통해 미국에 메시지를 전했다. 비핵화와 관련해 전제 조건을 단 북한의 견해가 한국 정부의 ‘보증’을 거쳐 미국에 전달되고, 그것을 트럼프 대통령이 수용하는 모양새가 됐다. 트럼프 대통령도 김정은의 제안을 수락한 것에 대한 발표를 정의용 실장에게 맡겼다. 대화가 뒤틀어지거나 탈이 나면 중매인에게 비난이 쏠릴 수도 있으며 미국 내 주전론자(主戰論者)의 주장에 힘이 실릴 수도 있다. 대화가 파탄 나면 전쟁 위기가 고조될 수도 있는 것이다.
대화 파탄 나면 다시 ‘벼랑 끝’
합의 내용에는 없으나 김정은 위원장은 특사단에 “4월부터 예년 수준 훈련이 진행되는 것을 이해한다. 그러나 한반도 정세가 안정되면 조절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한미군사훈련 지속을 ‘이해’했다고 한다. 전직 안보당국 고위 인사는 “한미군사훈련 지속을 받아들인 것도 중재를 맡은 한국 정부의 운신의 폭을 넓혀주기 위한 선물일 뿐”이라고 해석했다.지금껏 언급한 ‘덫’은 남북 간 합의를 ‘최대한 비딱하게’ 해석한 것이다. 김정은은 특사단에 “(미국은) 북한을 정상 국가로 대우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상 국가(normal state)는 국제법과 국제 규범을 지키는 일반적인 국가를 가리킨다. 김정은이 주고받기 식의 계산이 아니라 비핵화와 정상 국가화라는 ‘통 큰 결단’을 내렸다면 한반도에 봄이 올 것이다.
최상의 시나리오는 북한이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에 돌입하고 미국과의 관계를 정상화한 후 중국 혹은 베트남식 개혁·개방에 나서는 것이다. 세계은행,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사회의 지원, 북·일관계 정상화에 따른 식민지 배상금, 남북 경협 등에 힘입어 북한 경제는 빠른 속도로 성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