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길정우 당선자의 예일대 박사학위 논문.
“국내 문헌 여러 개와 한국 대학 석사학위 논문 3개를 출처를 밝히지 않고 참조해 논문을 완성한 것으로 안다. 번역에 가까운 곳도 있다. 서울대 출신에다 예일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분이 이례적으로 대학에 자리 잡지 못한 것은 그래서인 것으로 안다.”
또 다른 제보도 있었다.
“중앙일보 재직 시절인 2000년 일본 한 대학의 객원연구원으로 있을 때도 논문 표절이 문제가 됐다. 펀딩을 해준 재단이 문제를 삼았다. 그래서 임기를 마치지 못하고 귀국한 것으로 안다.”
길 당선자는 경기고, 서울대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예일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때는 1986년. 1991~95년 통일연구원에서 일했다. 1995년 중앙일보로 옮겨 워싱턴특파원, 논설위원, 중앙M·B 대표이사를 지냈다. 중앙일보와 인터내셔널헤럴드트리뷴이 제휴해 창간한 영자지 중앙데일리 발행인도 지냈다.
새누리당은 19대 총선 때 그를 서울 양천갑 선거구에 전략공천했다.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총선 때 “길정우 후보는 새누리당이 공들여 영입한 후보로 통일·외교·안보 분야의 전략가”라고 소개했다.
오도넬 이론으로 논문 써
‘신동아’는 제보 내용을 바탕으로 길 당선자의 예일대 박사학위 논문과 국내 논문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표절 여부 확인에 나섰다.
길 당선자가 작성한 박사학위 논문 제목은 ‘The development of authoritarian capitalism : a case of South Korea’(권위주의적 자본주의의 발전 : 한국 사례 연구)이다. 아르헨티나 출신 정치학자 길레르모 오도넬이 정립한 ‘관료적 권위주의 체제’라는 이론 틀에 박정희 정권 시절의 한국 사회를 끌어넣어 분석한 것이다. 산업화가 진전됨에 따라 정치적 민주화가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제한적으로 유지돼오던 민주적 체제마저 붕괴되고 억압적인 정치 체제가 등장한다는 게 오도넬의 주장이다. 길 당선자는 한국의 1972년 ‘10월 유신’을 이에 빗대 분석했다. ‘신동아’는 논문 내용에 ‘관료적 권위주의’가 들어간 국내 논문과 길 당선자의 논문을 비교·검증했다. 길 당선자의 예일대 박사학위 논문의 한 대목을 인용하는 것으로 기사를 시작해보자.
A : Under Park Chung-Hee′s rule, the students were the continuous and challenging activists who made the regime anxious. The first strong anti-government movement was the protest against the negoti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in 1964.
A는 길 당선자의 박사학위 논문(이하 예일대 논문) 148쪽에 나오는 문장이다. 영문을 국문으로 직역하면 다음과 같다. 이 문장은 인용 사실을 밝히지 않고 있다.
“박정희 지배하에서 학생들은 정권을 불안하게 만드는 지속적인 저항운동가들이었다. 첫 번째로 격렬했던 반정부운동은 1964년 한국과 일본 사이의 협상에 대한 반대 운동이었다.”
A 다음에 이어지는 문장(B)을 살펴보자. B에는 각주가 달려 있으나 길 당선자가 부연설명과 함께 각주를 단 논문에는 이 문장이 나오지 않는다.
B: The student demonstration was temporarily stopped by the advance of the military under the Emergency Decree on June 3 the same year, but the anti-government movement continued until the ratification of the Treaty in the National Assembly in August 1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