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베이비붐 세대의 황혼이혼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됐다. 은퇴한 노부부의 삶을 다룬 일본 연극 ‘잠 못 드는 밤은 없다’의 한 장면.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에 직면해 주의 깊게 살펴볼 지점은 하나 더 있다. 이들의 가족문제, 그중에서도 특히 부부문제다. 베이비붐 세대는 조기 은퇴와 기대 수명의 연장으로 인해 은퇴 후 20~30년을 부부 두 사람이 함께 살게 된 최초의 세대다. 가족복지 측면에서 각별한 관심이 필요한 셈이다. 이들이 우리 사회 인구 구성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베이비붐 세대의 행복은 곧 사회 전체의 행복도를 높이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
직장에서 벗어나 자녀들을 떠나보내고 부부만 함께 지내야 할 이들의 미래 생활은 행복할까? 아니면 배우자와 함께 있는 것 자체가 힘들고 괴로운 일이 될까? 한국가정법률상담소는 지난 4월 이런 질문의 답을 구하기 위해 베이비붐 세대 부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1953~63년생 배우자를 둔 기혼 남녀 1013명(남자 357명, 여자 656명)을 대상으로 삼았다.
“이혼해봤자 좋을 것 없어서 산다”

베이비붐 세대 부부들의 결혼생활 만족도는 나이가 많아질수록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2) 이들이 전(前) 세대에 비해 이혼에 대해 상대적으로 개방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만큼, 머지않아 우리 사회에서 황혼이혼이 심각한 문제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황혼이혼’이라는 단어의 발원지는 일본으로, 1947~50년에 태어난 일본의 베이비붐 세대, 일명 ‘단카이(團塊) 세대’ 부부들이 노년기에 이혼을 ‘감행’하면서 만들어졌다.
우리나라 베이비붐 세대가 황혼이혼 사태에 직면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또 다른 증거는 이들이 배우자와 공유하는 시간이 많지 않다는 점이다. 절반 이상의 부부가 여가생활을 공유하지 않고, 이 중 상당수(11.3%)는 함께 여가를 보내는 것 자체를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베이비붐 세대는 부부 사이 갈등이 잦으며 이를 관리하는 데도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 간의 갈등이 ‘자주’ 또는 ‘매우 자주’ 발생한다는 응답이 16.2%에 달했고, 이들 가운데 40%는 갈등 상황이 “배우자의 뜻대로 끝난다” “내 뜻대로 끝난다” “갈등 상황을 무시하고 각자 행동한다” “큰 싸움으로 확대된다” 등 갈등이 제대로 마무리되지 않은 채 봉합된다고 응답했다.
베이비붐 세대의 절반가량(남성의 47.5%, 여성의 44.6%)은 부부관계를 유지하는 이유에 대해 “이혼한다고 특별히 좋을 것이 없으므로” “살아온 세월이 아까워서”와 같이 답해 부부생활을 형식적으로 영위하는 태도를 보였다. (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