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인트앤드루스 올드코스 전경. 흰 건물이 클럽하우스다.
그렇지만 필자가 사법시험에 합격하기도 전에 연륙교 예산이 배정됐다는 보도를 접했다. 필자가 품고 있던 꿈이, 비록 다른 힘에 의해서일지라도 이뤄진 것이다. 이로써 사법시험 합격의 당위성도 사라져버렸다. 갑자기 목표를 잃은 셈이 됐다. 약간의 방황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기왕에 시작했으니 공부를 계속하기로 했다. 필자가 사법시험에 합격하고도 대부분의 동료와 달리 변호사가 된 까닭이다.
변호사 일은 골프와 매우 닮았다. 절대로 화를 내서는 안 된다. 서둘러서도 안 된다. 자기 페이스를 철저히 유지해야 한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의연함을 잃어서는 안 된다. 이를 위해 철저한 사전 준비와 자기관리를 필요로 한다. 승부근성도 있어야 한다. 집요함과 집중력을 발휘해야 한다. 그리고 이 모든 행동은 정의감이 뒷받침돼야 한다. 그래서 필자는 골프를 하듯 변호사 일도 즐긴다. 필자는 골프 관련 책에서 읽은 다음과 같은 일화를 가슴에 새겨두고 있다.
스월컨번의 빨래하는 여인들
명확하진 않지만 사건의 발단은 15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골프가 매우 성행하던 1420년 무렵, 올드코스 일대는 세인트앤드루스시(市) 소유지였다. 저 유명한 ‘골프 금지령’이 공포된 1457년에는 누구든 골프에 빠져 야단법석이었기 때문에 국왕이 제어하지 않으면 수습이 안 될 정도였다. ‘귀족의 딸도, 화차의 마부도 골프가 있다면 밤이 깊어가는 것을 모른다’는 노래가 유행할 만큼 이 시기의 남녀노소는 모두 골프의 노예였다.
세인트앤드루스에서는 주말이 되면 하루에도 30건 이상의 타구 사고까지 발생해 ‘신사는 2파운드, 숙녀는 1파운드, 시민은 10실링, 소는 5실링, 개는 1실링’이라는 보상액 공고문이 나붙었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골칫거리는 1번홀과 18번홀을 가로지르는 작은 샛강 스월컨번 주변에 매일 빨래를 하러 오는 여인네들이었다. 켈트어 사전에 따르면 ‘스월’은 헹구다, ‘컨’은 흐름, 번은 시내를 의미한다. 그러니까 스월컨번은 ‘빨래하는 샛강’ 정도로 번역할 수 있는 개울이었다.
이 강에는 로망브리지라는 유명한 다리가 놓여 있다. 기원전 1세기경 스코틀랜드를 침략한 로마군은 우선 중남부를 제압한 다음 북부 칼레도니아 지방에 출병했다. 올드코스의 경계도 당시 로마군 주둔지였다. 5세기에 이르러 이전부터 살고 있던 원주민과 지중해계 이베리아인, 아일랜드에서 온 스코트인들까지 가세해 드디어 로마군을 스코틀랜드에서 추방하는 데 성공했다. 로망브리지는 쫓겨나기 이전 로마군의 손에 의해 건설된 역사적인 건축물이다. 지금이야 적은 물만 흐르지만 당시에는 페어웨이에 찰랑거릴 만큼 물이 도도히 흐르고 있었다고 한다.
어떻든 세인트앤드루스의 여인네들은 햇살이 날 조짐만 보이면 양손 가득 세탁물을 안고 스월컨번을 찾았다. 다 빤 빨래는 시민광장인 잔디밭에 널어놓고 마르는 사이에 수다 떠는 것을 즐기는 식이었다. 세인트앤드루스시의 유지였던 휴 모리스 경은 다음과 같이 적은 적이 있다.
“정말로 떠들썩하고 유머러스한 광경이었다. 빨래가 마르기를 기다리기 지겹다는 듯 곧바로 둥그렇게 둘러앉아 재잘거리기에 빠진 이들이 있는가 하면, 아이에게 젖을 물리는 여자, 주변을 맴돌며 뛰어다니는 아이들과 개, 식사준비를 위해 서둘러 돌아가는 여인 등 한가로운 일상이 수세기에 걸쳐 전개되어왔다. 적어도 골프 공이 난무하기 전까지는.”
그랬다. 스코틀랜드 시골마을의 이 평화로운 일상을 깨뜨린 것이 바로 15세기의 골프 붐, 그리고 그로 인한 예기치 않은 싸움이었다. 위험한 골프 공이 날아드는데다 빨랫감 위에 떨어진 공이 얼룩을 남기기도 했다. 때로 빨랫감 밑에 숨어들어간 공을 찾기 위해 생각이 모자라는 골퍼들이 거칠게 옷을 잡아당기다 강으로 떨어뜨리는 일도 빈번했다. 특히 이 지역은 남존여비(男尊女卑) 성향이 강해 여인들의 항의는 아무런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릴 뿐이었고, 남정네들은 수세기 동안 제멋대로 행동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