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옥상 화백(오른쪽)은 지난해 6월 강태성 선생과 합동전시회 ‘사제동행’전을 열었다.
나는 충남 부여중학교를 다녔다. 2학년을 마치고 서울로 전학했기 때문에 윤완호 선생님과의 인연은 2년에 불과하다. 그 뒤로 선생님을 뵙지 못했다. 내가 선생님을 찾았을 때는 이미 유명을 달리하신 후였다.
나는 중학교에 진학하면서 미술 이외의 어떤 과외활동도 하지 않겠다고 결심했다. 그런데 중학교 입학시험을 보며 치른 미술 실기시험에서 내 실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결국 중학교에 우수한 성적으로 합격은 했지만 미술선생님의 호명은 없었다. 나로서는 정말 실망스러운 일이었다. 미술반 활동만 하겠다는 희망이 첫걸음부터 무너진 것이다.
첫 미술시간. 선생님은 미술반에 들고 싶은 사람은 손을 들어보라고 하셨다. 나는 주저하다 결국 손을 들지 못했다. 퇴짜를 맞으면 어쩌나 하는 두려움 때문이었다. 정림사지 5층 석탑을 중심으로 연필 스케치를 해온 두 지원자의 그림 솜씨는 놀라웠다. 시골 출신인 나는 비교가 안 되는구나 싶어 꿈을 접지 않을 수 없었다. 그 둘은 부여초등학교를 나온 정행수군과 백제초등학교를 나온 임영우군으로 이미 유명한 신동들이었다. 교내 모든 미술상을 휩쓸었다고 한들 한 학년이 1∼2개 반에 불과한 초미니 시골 학교를 다닌 내가, 한 학년이 10개 반에 육박하는 읍내학교에서 교내 미술상을 휩쓴 아이들과는 비교 대상이 될 수 없었던 것이다.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그림
5월 초였다. 어느 날 선생님의 발걸음이 내 책상 옆에서 멈췄다. 나는 그냥 계속 그림을 그렸다. 한참이 지났는데도 선생님은 움직일 기색이 없었다. 나는 부담스러웠지만 감히 선생님을 올려다볼 수도 없었고 말을 걸 수도 없었다. 그런데 갑자기 “야 임마! 너 왜 미술반 안 들어오냐?”는 말이 들려왔다. “네?” 나는 너무 놀라 고개를 들어 선생님을 올려다보았다.
그 길로 나는 미술반에 합류했다. 꿈같은 일이었다. 윤완호 선생님은 신출내기 미술교사셨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아마 부여중학교가 첫 부임지였을 것이다. 얼마나 꿈에 부풀었겠는가. 우리 미술반 친구들을 마치 친동생처럼 사랑해주셨다. 집에 데려가 밥도 먹이고, 부여 곳곳을 누비며 우리를 가르치셨다.
우리는 커다란 이젤과 스케치북을 들고 이 골목 저 골목을 누볐다. 부소산 자락에도 오르고 백마강 백사장으로도 나갔다. 때론 부여고등학교까지 가서 고등학교 형님들과 함께 그림을 그렸다. 문화원에서 선생님과 전시회도 열었다. 선생님은 유화를 출품하셨다. 지금 생각해보면 선생님의 그림은 아마추어를 벗어나기 힘든 수준이었던 것 같다. 매우 몽환적인 풍경화였는데, 다르게 보면 그냥 뭉갠 그림이었다. 그러나 당시 우리들 눈에는 최고의 그림이었다. 선생님은 늘 이렇게 말씀하셨다.
“보이는 그대로만 그리지 말고 사물을 잘 관찰해라. 보이지 않던 것이 보일 것이다. 파고들어라. 열정이 있어야 한다. 끝까지 집념이 필요하다. 즐겁게 그려라. 억지 고민을 할 필요는 없다.”
어느 날은 선생님이 내 그림을 평가하셨다.
“옥상이 그림은 기법이 재미있다. 점으로 툭툭 찍은 것이 인상파 중에서도 후기인상파 그림 같은데 이것을 좀더 발전시켜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