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의 본성(들)’ : 폴 에얼릭 지음, 전방욱 옮김, 이마고, 544쪽, 1만8500원
아직 이런 사례들이 현장에서 자주 등장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생물학의 급속한 발전이 핑계 대기에 능숙한 우리들의 습성과 좀 더 자주 만나게 된다면 법정과 학교는 ‘누구 탓’인지를 놓고 시끌벅적할지 모른다. 이 모든 것은 우리 자신에 대한 과학적 이해가 깊어가는 과정에서 삐져나올 수밖에 없는 한바탕 소동이다.
역사적 관점에서 보면, 지금 이 시점에 인류가 자신의 본성을 탐구하겠다는 것은 전혀 이상한 발상이 아니다. 우리는 150년 전에 이미 진화의 기본 메커니즘을 알게 됐고, 50년 전쯤에는 유전의 비밀을 풀어줄 DNA의 기본 구조를 알아내지 않았던가. 그래서 학자들은 이 두 발견에 감히 ‘혁명’이라는 단어를 붙인다. 다윈의 ‘진화 혁명’과 왓슨·크릭의 ‘분자 혁명’. 화가 고갱이 말년에 타이티 섬에서 ‘우리는 어디서 왔는가?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라는 작품을 그렸듯이, 지금 우리 인류는 과학의 이름으로 똑같은 화두를 던지고 있는 셈이다.
사실 인간 본성에 관해 본격적으로 과학적 물음을 던지기 시작한 것은 다윈의 ‘인간의 유래’(1872)부터다. 이후로 다윈의 사촌인 골턴으로부터 시작되어 세계 양차대전을 거치면서 끔찍한 오명을 남긴 우생학(eugenics)도 인간 본성에 대한 과학적 탐구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우생학의 암흑 터널을 통과한 본성 담론은 하버드대 진화생물학자 윌슨의 ‘사회생물학’ ‘인간의 본성에 관하여’, 그리고 옥스퍼드대 동물행동학자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를 통해 화려하게 부활한다.
그 결과 ‘인간 본성(human nature)’이라는 키워드는 지난 몇 년 동안 세계의 출판계를 뜨겁게 달군 주제 중 하나가 됐다. 예컨대 하버드대 인지과학자 핑커가 쓴 ‘빈 서판’이나 저명한 과학 저널리스트 리들리의 ‘본성과 양육’은 영미권은 물론이고 국내에서도 ‘인간 본성’에 관한 논쟁을 다시 불러일으킨 문제작이다.
‘유전자 결정론’의 치명적 결함 지적
본성 담론의 범람 속에서 스탠퍼드대의 세계적인 진화생태학자 폴 에얼릭은 인간 본성론에 대해 자신만의 독특한 지적 틈새(intellectual niche)를 점유하기 위해 이 책을 출간했다. 우선 제목에서 ‘본성’을 복수로 취급해 ‘본성들’이라고 표현함으로써 기존 본성론과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는 유전자가 우리를 통제할 힘을 가진 것도 아니고, 유전자와 상관없는 ‘문화’라는 것이 우리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유전자 중심의 기존 본성론은 치명적인 결함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 치명적 결함이란 구체적으로 유전자 결정론이다.
유전자 결정론이란 인간의 몸과 행동 등이 특정 유전자 또는 여러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는 견해인데, 저자는 본성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이 결정론에 근거를 두고서 인간의 본성을 고정불변의 것으로 만들어버렸다고 불평한다. 이쯤 되면 눈치 빠른 독자는 저자가 던지는 비판의 화살이 어떤 이들을 향하는지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의 과녁 중심에는 이기적 유전자 이론을 편 도킨스가 있고 그 둘레에는 사회생물학에 멋진 새 옷을 입힌 일단의 진화심리학자들이 진을 치고 있다. 이 만만치 않은 상대들과 어떻게 싸움을 하겠다는 것일까.
저자의 주무기는 관련 주제들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다. 그도 그럴 것이 저자는 지난 반세기 동안 진화생물학, 인구학, 생태학 등을 넘나들면서 중요한 연구 성과들을 남긴 석학이다. 그 업적으로 1990년에는 윌슨과 공동으로, 노벨 생물학상에 해당하는 크러포드상을 수상하기도 했고, 30여 권의 저서를 통해 생물다양성 보호와 환경윤리의 중요성을 알리는 전방위 지식인 노릇을 해왔다. 이 중에서 1960년대 후반부터 발표하기 시작한 인구 과잉, 자원 고갈, 환경 파괴에 관한 연구는 그를 유명하게 만들었고 결국 그에게 ‘20세기 맬서스’라는 애칭을 선사했다.
이런 경력들을 종합해볼 때 이 책에서 다뤄진 지식의 범위가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쇠’와 에드워드 윌슨의 ‘통섭’의 그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사실은 결코 놀랍지 않다. 저자는 영장류의 진화, 사고와 언어의 진화, 종교, 예술, 농경, 전쟁, 정치의 기원, 문명의 융성과 붕괴, 생태 문제, 진화와 윤리 문제까지 우리의 본성과 관련된 매우 중요한 내용들을 잘 정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