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간 사이버 테러의 진원지로 꼽히는 중국.
미국 국방부가 4월부터 대대적인 보안 병력 증강에 나섰다. 해킹을 막는 보안 전문가를 공개적으로 모집하기 시작한 것이다. 모집 광고에 등장하는 공군 부대 하사는 “펜타곤뿐 아니라 미국 전체가 매일 수백만번의 사이버 위협에 시달리고 있다”면서 “누가 이 공격을 막을 수 있는가”라고 되묻는다.
#장면 2 인구 120만명, 발트 3국의 작은 나라인 에스토니아의 별명은 ‘e스토니아’다. 인터넷 온라인 금융과 전자정부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을 자랑한다. 그런데 에스토니아는 지난해 4월 3주간의 무차별 사이버 공격으로 온 나라가 초토화했다. 정부의 전자 시스템이 다운되고 은행 시스템도 먹통이 됐다. 의회, 정부부처, 금융기관, 일반 기업과 언론기관까지 사이버 테러의 희생양이 됐다. 국민을 충격에 빠뜨린 사이버 공격의 배후로는 러시아가 지목됐다. 당시 에스토니아 정부가 소련군 전몰자 추모 동상을 철거하는 과정에 러시아 이민자들과 충돌했기 때문이다.
3차 세계대전은 어떤 형태일까. 20세기 말 인류를 공포와 위험으로 몰아넣었던 핵전쟁보다 각종 시스템 기반을 교란하는 사이버 전쟁이 될 가능성이 크다. 이미 전세계는 해킹과 사이버 테러로 시끄럽다.
미국은 최대 경쟁 국가로 떠오르는 중국을 끝없는 해킹의 근원지로 꼽는다. 미국의 전 국방부 관리는 “중국군이 대규모로 미국의 시스템을 공격하고 교란할 능력이 있음이 수차례 입증됐다”고 말했다. 미 공군이 사이버 테러에 대비한 전담 사령부 창설에 나선 것도 중국을 염두에 둔 것이다. 이는 21세기에 새로운 형태의 군인이 등장할 것임을 예고하는 전주곡이기도 하다. 독일에서도 중국의 사이버 공격이 도마에 올랐다. 중국군이 ‘트로이 목마’라는 해킹 수법을 이용해 독일 정부 시스템에 ‘스파이웨어’를 심었다는 언론 보도가 잇따른 것이다.
날로 늘어나는 사이버 테러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적 협력도 급물살을 탔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26개국은 최근 정상회담에서 유럽과 미국이 주축이 된 ‘국제 사이버 평화유지군’ 결성에 합의했다.
우리나라도 해킹의 무풍지대가 아니다. 정부 부처와 산하기관에 대한 해킹 시도는 하루 평균 200만건에 달한다. 중국에 거점을 두거나 중국을 거친 해킹 시도가 전체 사이버 공격의 절반에 이른다.
왜 사이버 테러가 극성을 부릴까. 전문가들은 인명 살상 없이 가장 적은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적성 국가를 교란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