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가의 투자 전문가이자 수학자인 니콜라스 탈레브는 우리가 미래에 대해 고민하고 예측하는 것이 사실은 굉장히 작은 망원경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것과 같다고 지적한다. 역사와 사회는 예측하지 못한 사건들 때문에 도약하는 것인데 우리는 어리석게도 한발 한발 기어가는 세계라 믿으려고 한다는 것이다.
18세기까지 사람들은 이 세상의 백조는 모두 하얗다고 믿었다. 그렇지 않은 백조를 본 일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임스 쿡 선장이 호주에서 검은 백조를 발견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검은 백조의 발견은 조류학자들에게 아주 흥미롭고 놀라운 일이었겠지만, 이 이야기는 우리에게도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
관찰과 경험을 통해 수년간-혹은 수백, 수천년- 학습한 지식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 그리고 우리가 아는 지식이란 언제든 붕괴될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그것도 불확실하고 일어날 것 같지 않은 단 하나의 사건으로 말이다. 수천년 동안 수백 만마리의 백조가 흰색이었지만, 검은 백조를 본 일이 없다고 해서 모든 백조가 하얗다고 단언할 수는 없는 것이다.
‘블랙 스완’에는 칠면조 이야기가 나온다. 천일 동안 매일 주인은 칠면조에게 먹이를 가져다주었다. 주인이 먹이를 주는 것이 생활의 규칙이었고 흔들리지 않는 고정관념이었다. 그러나 추수감사절 직전 매일 먹이를 갖다주던 주인이 칠면조를 죽인다. 칠면조는 죽는 순간 지난 천일동안 주인이 먹이를 가져다준 것이 사실은 오늘 나를 죽이기 위해서였다는 것-단편적인 사건들이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사실은 그 영향이 계속 증폭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을까?
예상치 못한 사건이 미래에 일어난다면 과거의 경험만 믿고 쌓아올린 지식은 붕괴될 수 있다. 저자가 말하는 블랙 스완은 ‘극히 예외적이고 알려지지도 않았고 정말 가능성 없어 보였지만 일단 등장하고 나면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오는 사건’을 뜻한다.
우리는 결코 예견할 수 없다
블랙 스완의 이야기가 흥미를 끄는 것은 그것이 인간 본연의 욕망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인간이 가장 알고 싶어하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미래다. 인간은 언제나 미래를 알고 싶어했다. 아무리 과학기술이 발달하고 지식이 늘어나도 미래는 결코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새해가 되면 올해의 운세를 알고 싶어 역술가를 찾아다니고, 회사는 고도의 수학적 기법에 슈퍼컴퓨터까지 동원해 각종 예측모델을 만들어 미래에 일어날 일을 알고 싶어한다. 이 책의 10장에도 카라바조의 ‘점쟁이’라는 그림이 나온다. 그림 속의 점쟁이는 자신의 미래를 알고 싶어하는 청년을 야릇한 눈빛으로 바라보면서 청년의 반지를 훔치고 있다. 미래에 대해 뭐라고 말하는 사람들한테 우리는 완전히 ‘봉’이다. 이를 알면서도 우리는 역술가를 찾아간다. 환율도 예측하고 에어컨 수요도 예측하고, 주가지수도 예측하고, 유가도 예측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