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52년 경기 수원 출생 <br>○경희대 경영학과, 미국 브랜다이스대 경영학과 졸업<br>○1981년 선경인더스트리 입사 <br>○(주)선경 전무·부사장, SK유통 부회장 <br>○現 SKC 회장, SK텔레시스 회장
최종건 회장은 1953년 적산(敵産)기업인 선경직물을 인수해 창업한 이래 20년간 기업을 일구면서 SK그룹의 토대를 닦은 인물. 그러나 SK가 막 대기업의 면모를 갖춰가던 1973년 젊은 나이(48세)로 타계했고, 이후 동생인 최종현(崔鍾賢·1929~1998) 회장이 경영권을 이어받았다. 최종건 회장은 3남4녀를 뒀지만, 당시 자녀들이 어려 기업 경영에 나설 처지가 못 됐다. 1998년 최종현 회장이 사망한 뒤엔 그의 장남인 최태원(崔泰源·48) 현 SK 회장이 경영권을 물려받았다. 큰집에서 작은집으로 경영권이 넘어간 것이다. 최태원 회장의 동생인 최재원(崔再源·45) SK E&S 부회장도 경영에 참가했다.
최신원 회장은 ‘큰집’인 최종건 회장가(家)의 차남이다. 장남인 최윤원(崔胤源·1950~2000) 전 SK케미칼 회장은 일찌감치 경영에서 손을 떼고 전문경영인에게 권한을 일임한 뒤 50세 되던 해 세상을 떴다. 최신원 회장은 이때부터 양쪽 집안의 장형 노릇을 하며 가족사를 챙겨왔다.

최종건 창업 회장(좌)최종현 2대 회장(우)
“책임경영 위해 지분 늘렸다”
▼ 최 회장과 최창원 부회장이 SKC와 SK케미칼·SK건설에 대해 확고한 지배력을 확보했습니다. 분가를 위한 준비작업이라고 봐도 될까요.
“SK가(家) 2세들인 우리 4형제가 앞으로 계열사를 나눠 맡는 것은 분명합니다. 최태원 회장은 그룹을 전반적으로 잘 이끌고 있고, 최재원 부회장은 가스 등 에너지 사업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최창원 부회장은 건설과 케미칼을 중심으로 신규사업 개척에 열심이고요. 저는 SKC와 SK텔레시스를 통해 화학사업과 IT 소재부품사업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서비스·레저사업에도 관심을 갖고 있죠. ‘분가’라기보다는 각자의 사업영역에서 책임경영체제를 구축해가고 있다는 것이 옳겠지요. 그러니 ‘준비작업’이라는 것도 따로 있는 게 아닙니다. 각자 맡은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뿐입니다.”
▼ ‘각자의 영역’이 분명하게 나눠진 건 맞습니까.
“지금은 확실하게 답할 단계가 아닙니다. 아직 몇 가지 절차가 남아 있어요. 조만간 ‘합의’가 끝날 겁니다.”
▼ 형제·사촌형제 경영인들과 자주 만납니까. 만나면 어떤 대화를 나눕니까.
“제사 등 집안 대소사가 많아 자주 만나는 편입니다. 그럴 때는 사업 얘기보다는 일상사나 가족과 관련된 대화를 주로 나눕니다. 그룹 경영상황은 지주회사로부터 정기적으로 보고를 듣고 있으며, 굵직한 현안이 생기면 최태원 회장과 협의합니다. 우리 형제들은 선대의 전통대로 불협화음 없이 우애와 믿음으로 기업을 경영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