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골이는 동맥경화, 고혈압, 뇌졸중, 심근경색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코골이가 호흡의 절반인 빨아들이기, 즉 흡(吸)의 기능이 떨어진 것으로 음기(陰氣)가 부족해서 발생한다고 본다. 옛날에는 코골이가 깊은 수면의 상징으로 애교스럽게 여겨지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미국에서는 심한 코골이가 이혼 사유가 될 정도로 병적인 증상이라는 인식이 생겨나기에 이르렀다.
자는 동안 코를 심하게 골면 당연히 산소 흡입량이 줄어든다. 일반적으로 호흡량 부족은 산소 부족으로 이어지고 그 결과 혈중 산소 농도가 떨어진다. 또한 그 반작용으로 심장박동이 빨라지면서 뇌혈관 속의 산소 농도도 낮아지며, 교감신경이 자극되어 혈관 압력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동맥경화, 고혈압, 뇌졸중, 심근경색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코골이는 왜 생길까. 구조적으로 코골이는 잠을 자는 동안 아래턱뼈를 움직이는 근육과 혀의 근육이 이완되어 혀가 후하방으로 밀려나면서 코 뒤쪽과 입 안 뒤쪽의 공기가 흐르는 공간이 좁아지는 게 일차적인 원인이다. 다시 말해 구강과 코 뒷부분의 공간인 비인강에 기압차가 발생해 숨이 후방 입천장인 연구개 쪽을 진동시켜 생긴다. 흔히 코골이는 비염이 있어 코 내부에 부종이 생기면 코 내부가 좁아지면서 찾아온다. 비만한 사람도 비인강 부위에 살이 찌면서 호흡 통로를 확보하기 어렵게 되어 코를 곤다.
코골이의 원인을 한의학적으로 살펴보려면 숨 쉬는 것, 즉 호흡의 근원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호흡에는 음과 양의 구분이 있다. ‘난경(難經)’에 이런 설명이 있다. “호(呼)는 양적인 것으로 심장과 폐가 주관하며 팽창하여 밖으로 나가려는 성질이 있고, 흡(吸)은 음적인 것으로 수축하여 안으로 움츠러드는 성질이 있다. 호기가 괴로운 것은 양기가 부족한 때문이고 흡기가 괴로운 것은 음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술, 커피, 스트레스도 음기 줄여
음양을 설명할 때 가장 보편적인 비유는 남녀다. 부부관계에서 남자는 외부로 팽창해 뱉어내고 여자는 내부로 수축해 삼킨다. 코골이는 내부로 빨아들이는 흡기인 음기가 약해 억지로 들어가는 상태에서 목젖을 강하게 떨리게 만드는 것이다. ‘난경’ 11난에 따르면, 흡기는 음기에 의해 들어가는데 깊은 음인 신장이 약하면 얕은 음인 간장까지만 흡기가 들어간다. 노자의 ‘도덕경’은 호흡을 풀무질에 비유한다. 풀무질에서 보듯 깊이 들어갔다 나오면 호흡이 깊어지는데, 얕게 들어갔다 나오면 심장에 열이 생기면서 호흡이 짧아지고 힘이 들 수밖에 없다.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은 바로 음적인 에너지인 음기가 줄어들면서 생긴 것이다.
음기가 줄어드는 원인은 무엇일까. 남자들은 결혼 후에 코를 고는 경우가 많다. 양생가들은 “부부관계가 지나치면 음기인 정과 액이 배설되어 소모되기 때문”이라는 논리를 편다. 방사(房事) 때 음액을 배설해 음기가 줄어든다고 보는 것이다. 음식이나 기호식품, 약물 중에도 음기를 줄이는 것들이 있다. 마늘이나 고추는 맵고 더운 음식으로 몸에 양기를 북돋워준다. 그러면 당연히 음기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요즘 많이들 마시는 커피도 음기를 줄인다. 신경계를 흥분시켜 각성시키는 효과는 양기는 늘리고 고요한 음기는 줄인다. 홍삼이나 인삼을 지나치게 많이 먹어도 이런 현상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