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기의 인생을 놓고, 군사에서는 우수했으나 정치에서는 참사했으니 이를 곧 그의 일변도적 자질로 속단한다면 ‘성급한 간단화’라는 오류를 면치 못할 것이다. 그의 정치개혁 구상만 해도 당시의 시대적 요청에 부응했을뿐더러 통찰력과 짜임새가 돋보인다. 비극은 열악한 환경과 여의치 않은 조건 때문에 초래된 것이다.
그의 인생행로에서 말썽이 된 ‘가정파탄’에 대한 비참한 고민, ‘소속의 변경’을 에워싼 변절 시비도 간단한 논란대상이 아니다. 그의 역경과 인생론, 신조체계를 아울러 감안해야 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인생관에서의 ‘선택’ 문제와 ‘자기실현(self-realization)’ 문제는 21세기에 와서도 모든 지성인의 지속적 관심사로 부각되는 까닭에 따로 언급이 필요할 것 같다.
오기의 환경과 성격
오기는 전국시대 초기 위(衛)나라에서 태어났다. 위는 작은 나라였다. 오늘의 허난(河南)성과 산둥(山東)성 사이에 위치해 교통은 편리했으나, 주변 강대국의 멸시 대상이었다. 또 그 통치집단은 무사안일을 능사로 삼는 고식적인 사대주의자들이었다.
오기의 가정은 부유했는데, 부친은 벼슬에 실패하고 상인으로 성공했다. 성공의 비결은 밝은 인사성, 그리고 시비(是非)를 가리지 않는 처세술이었다.
오기는 나서부터 똑똑했으며 독서를 즐겼다. 자존심도 무척 강했다. 성장하면서 권력지향적인 공명심이 각별히 강해졌다. 시비 가리기에 명확했으며 결단력이 비상했다. 자존심과 공명심, 결단력으로 특징지어지는 그의 성격은 자신의 운명을 좌우하게 된다. 또 시비 가리기에 명확한 만큼 신의를 중시하고 행동이 엄격하며 정실에 좌우되지 않았다.
청년기에 접어들면서 오기는 조국인 약소국 위나라에 계속 붙어 살다가는 뜻을 펼 수 없으며 인생의 보람도 찾지 못할 것이라 통감했다. 그래서 나름대로 문화생활을 즐기며 인재들을 사귄다고 가재(家財)를 탕진했다.
이런 광경을 지켜보던 거리의 동년배들은 오기를 좋게 보지 않았다. ‘과대망상’이니 ‘방탕아’니 하는 조소도 들려왔다. 아내의 불평불만도 늘어났고 잔소리도 많아졌다. 결국 자존심에 상처를 입은 오기는 아내와 이별했다. 아내는 후회하며 돌아오길 원했으나 오기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한편 오기 자신은 안에서만 강하고 밖에 대해 약하다면 이는 비굴한 노예근성일 뿐 대장부답지 않다고 단정했다. 그래서 자기를 조소하거나 부당하게 시비하던 동년배 30여 명을 모조리 죽여버렸다. 결국 그는 사건에 대한 추궁을 견뎌내지 못하게 됐다. 오기는 위나라를 떠나 외국에 가서 공부한다는 명분으로 노모와 작별하면서 맹세했다.
“외국에서 대신이나 재상에 오르기 전엔 절대 위나라로 돌아오지 않을 것입니다.”
아내 죽이고 전쟁에 대승
오기는 먼저 노(魯)나라를 찾아갔다. 대국은 아니지만, 공자의 출생국답게 문화가 발달했다. 유학(儒學)으로 이름난 증자(曾子)의 문하생이 되어 열심히 공부하면서 천하에 대한 시야를 넓혔다. 점차 두각을 나타낼 수 있었다. 마침 이웃 제(齊)나라에서 대부(大夫) 벼슬을 하던 인사가 노나라에 와 있었는데, 오기가 인재임을 알자 자기 딸과 결혼시켰다. 오기의 두 번째 아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