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한 고등학교에 있는 벽화가 최근 거센 논란의 중심에 섰다. 아메리카 원주민을 몰아내고 노예를 소유했던 미국 초대 대통령 조지 워싱턴의 모습을 담은 ‘워싱턴의 생애(The Life of Washington)’라는 제목의 벽화다. 이 그림을 지워달라는 요구가 커지면서 찬성 반대 진영이 격렬하게 맞붙었다. 샌프란시스코를 달군 역사 지우기 논란의 현장을 취재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조지 워싱턴 고등학교 현관 계단 양쪽에 그려진 ‘워싱턴의 생애’ 벽화.
5월 4일 오전 10시 5분, 상당히 가파른 언덕에 자리한 이 학교를 찾았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안전 등의 문제로 휴일에도 개방하지 않는데, 이날은 오전 10시부터 정오까지 2시간 동안 일부 구역을 주민에게 개방했다. 학교 정문을 열고 들어서니 계단을 통해 위에 있는 중앙홀로 올라가게 돼 있었다. 바로 그곳에 문제의 벽화가 있었다.
원주민 학살, 노예제의 역사
벽화 ‘워싱턴의 생애’ 중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작품. 아메리카 원주민 주검이 널브러져 있는 가운데 조지 워싱턴으로 표현된 인물이 참모들과 뭔가 논의하고 있다.
아메리카 원주민 주검 옆에 총을 든 병사들이 있고, 주검과 병사들이 있는 쪽을 가리키며 참모들과 뭔가 논의하는 조지 워싱턴이 있다. 미국 건국 시기 원주민 학살 역사를 담은 벽화다. 다른 벽화엔 워싱턴이 살았던 대저택 마운트 버넌(Mount Vernon)에서 그의 소유 노예들이 고된 노동을 하는 모습이 묘사돼 있었다. 벽화는 노예를 사들이고 죽을 때까지 소유했으며, 그들을 가혹하게 대했던 워싱턴을 떠올리게 했다.
모여든 주민이 50여 명쯤 됐을 때, 나이 지긋한 백인 남성 한 명이 워싱턴 동상 앞에 섰다. 그 남성은 자신을 “존 로스먼 워싱턴고등학교 동문회장”이라고 소개했다. 로스먼은 이 벽화를 보존하자는 사람들 의견을 대변했다. 그러자 키가 큰 여성 한 명이 그의 말을 끊으며 나섰다. 아메리카 원주민의 후예이자 아들이 이 학교에 다닌다는 이 여성 이름은 에이미 앤더슨. 샌프란시스코 공립학교 교사라는 앤더슨은 벽화를 지워야 한다는 그룹의 중심에 있었다.
“여러분, 이 벽화는 지워야 합니다. 이건 백인 우월주의를 보여주는 그림이에요. 이 땅에 살고 있던 원주민을 학살하고 몰아낸 끔찍한 기억, 노예를 부렸던 행위를 학생들에게 매일 보여주는 게 옳습니까. 이건 예술을 빙자해 학생들을 괴롭히는 겁니다. 제 아이가 이 학교에 다니고 있어요. 등교할 때마다, 이곳을 오갈 때마다 보기 싫어도 이 벽화를 보게 된단 말입니다.”
그러자 동문회장 로스먼이 상기된 얼굴로 목소리를 높였다.
“이건 역사를 비판적으로 담은 예술작품입니다. 과거를 숨기자는 게 아니잖소. 화가가 이걸 왜 그렸는지 보자는 말입니다. 오늘은 공식 토론하는 날도 아니고 찬반 논란이 있는 문제니까 그냥 궁금한 분들에게 답변하려는 것 아닙니까. 말을 막지 말아요. 나도 ‘백인 우월주의자’ ‘쓰레기 같은 백인’은 아니란 말이오. 그리고 이건 아이들에게 역사를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의 문제입니다. 역사를 그냥 지워버릴 건지, 역사를 마주할 것인지.”
이번엔 한 백인 여성이 끼어들었다.
“조지 워싱턴은 우리 초대 대통령이에요. 비판할 부분도, 평가할 부분도 있지 않나요? 무조건 부정하는 건 옳지 않아요. 있는 그대로 보자는 겁니다. 벽화를 지우는 게 능사가 아니에요.”
원주민 후예라는 다른 여성도 나섰다.
“노예를 부리고 원주민을 학살한 게 사실이죠. 아무리 역사를 비판적으로 그렸다고 해도, 화가의 의도가 중요합니까, 아니면 학생들에게 주는 영향이 더 중요한가요. 교육 목적이면 디지털로 보존하는 방법도 있어요.”
의견을 제시하는 주민들이 하나둘 더 끼어들면서 모두의 목소리가 점점 커졌다. 물리적 충돌이 일어나진 않았다. 양측이 주민들을 상대로 여론전을 하는 느낌이었다.
최근 들어 벽화를 지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지만 그에 반대하는 기류도 작지 않다. 최종 결론은 샌프란시스코통합교육구(SFUSD·시교육청)에 맡긴 상황. 이날 학교 벽화를 주민들에게 공개한 것도 시교육청 결정에 따른 것이다. 벽화를 둘러싼 논란이 커지는 상황에서 시교육청이 벽화의 운명을 결정할 것이라는 언론 보도가 나오자, 교육청에 벽화를 보고 싶다는 요구가 빗발쳤다고 한다.
‘없애자’ ‘보존하자’ 타협 없는 공방전
조지 워싱턴 고등학교의 이 벽화가 완성된 건 1936년의 일이다. 화가는 러시아 출신으로 이후 스탠퍼드대 교수로 재직한 빅터 아노토프(Victor Arnautoff·1896~1979)다. 역사학자 로버트 처니(Robert W. Cherny) 샌프란시스코주립대 명예교수는 아노토프가 1930년대 샌프란시스코 지역을 대표하는 최고의 벽화 화가였다고 평가한다. 처니 교수가 스탠퍼드역사회 계간지 ‘Sandstone & Tile’ 2013년 가을호에 기고한 글을 보면 아노토프의 활동을 엿볼 수 있다.기고문에 따르면 아노토프는 미국 서부 명문 예술대학 ‘샌프란시스코 아트 인스티튜트(SFAI)’에 유학하면서 미국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자신을 아낀 학교 스승의 권고로 멕시코에 건너가 당대 최고의 벽화 화가이자 민중화가로 추앙받던 디에고 리베라의 제자가 된다.
이후 샌프란시스코로 돌아와 많은 작품을 남겼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이번 벽화다. 당시는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 시절로, 뉴딜 정책의 연장선에서 예술가들에게도 일자리를 제공했다. 아노토프는 그 프로젝트의 지원을 받아 워싱턴 고등학교 벽화를 그렸다. 처니 교수는 기고문에서 워싱턴 고등학교 벽화와 관련해 이렇게 썼다.
“아노토프는 이 벽화에서 당시 대부분의 고등학교에서 가르치던 전형적인 내용의 미국 역사에 대항했다. 워싱턴 대통령의 저택 마운트 버넌을 묘사하면서 흑인 노예들을 중심에 배치했다. 그의 벽화는 마운트 버넌에 있던 노예의 존재를 감추던 대부분의 고등학교 역사 수업 내용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또한 (워싱턴 대통령을 포함해) 노예 소유주들이 ‘모든 인간은 평등하게 태어났다’는 원칙을 앞세워 싸우는 자기모순을 지적하는 것이기도 했다. 서부 개척이 원주민의 주검을 밟고 이뤄진 점도 벽화에서 극적으로 표현했다.”
당대 최고 화가의 현실 비판 작품
‘워싱턴의 생애’ 벽화를 지워야 한다는 학생들의 요구가 거세지자 1974년 추가된 벽화. 흑인의 정치 사회 이슈를 벽화로 그려온 화가 듀이 크럼플러가 ‘제3세계의 투쟁’이란 주제로 그린 작품이다.
실리콘밸리 중심 도시인 팰로앨토에선 중학교 두 곳의 이름이 과거 우생학을 주창했던 인물의 이름이라는 이유로 변경되기도 했다. 스탠퍼드대 초대 총장으로 우생학을 옹호했던 데이비드 스타 조던의 이름을 붙인 ‘조던 중학교’는 실리콘밸리 흑인 메모리칩 발명가의 이름을 딴 ‘프랭크 그린 주니어 중학교’가 됐다. 또 스탠퍼드대 교수로 아이큐(IQ) 테스트를 발명한 교육심리학자 루이스 터먼의 이름을 붙인 ‘터먼 중학교’는 홀로코스트 생존자이자 팰로앨토 시장을 지낸 인물의 이름을 딴 ‘엘렌 플레처 중학교’로 개명했다.
그런데 이번 벽화를 둘러싼 논란은 조금 더 복잡하다. 벽화를 그린 화가가 미국 초기 역사에서 감추고 싶은 치부를 드러내며 매우 비판적인 작품을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처음 벽화가 완성됐을 때는 그런 측면에서 찬사를 받았다고 한다. 다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벽화를 지워야 한다는 얘기가 나왔다.
특히 1968년 흑인 학생들을 중심으로 ‘벽화에 흑인과 원주민이 천하고 비굴하게 보이도록 묘사돼 있으니 지우고 새로운 벽화를 그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벽화를 지우고 새로 그려야 할지를 놓고 찬성 반대 진영이 대립하면서 교육청이 나섰다. 결론적으로는 타협이 이뤄졌다. 벽화는 그대로 두되 복도 다른 벽에 학생들이 선정하는 화가로 하여금 그들이 원하는 주제의 새로운 벽화를 그리도록 한 것이다.
현재 아노토프 벽화를 지나 옆 복도로 가면 다른 화가가 그린 3점의 벽화가 있다. 1974년 완성된 이 3점의 작품은 흑인의 사회 정치 이슈를 벽화로 그려온 화가 듀이 크럼플러(Dewey Crumpler)가 학생들이 선정한 ‘제3세계의 투쟁’이란 주제로 그린 것들이다. 역사를 비판하는 완성도 높은 예술작품을 그냥 지워버려선 안 된다는 의견이 반영되면서 이뤄진 타협이었다. 학교 측은 지금도 3점의 벽화 아래 이런 내용을 담은 설명문을 붙여놓고 있다.
지워야 할 과오인가, 곱씹을 예술인가
이날 벽화 공개 행사에 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았다. 그들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삭제를 원하는 학생과 보존을 원하는 학생 비율이 어떤지 등은 확인할 수 없었다. 4월 8일 현지신문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 기사에는 워싱턴 고등학교 학생 두 명의 인터뷰가 게재됐다. 인터뷰에서 12학년 학생 에밀리는 “뭐든 인종차별과 관련 없는 것으로 바꾸면 좋겠다”며 벽화를 지우는 데 찬성했다. 반면 10학년 학생 에이미는 “과거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환기해주는 것 아니냐”며 벽화 보존 주장에 힘을 실었다.벽화의 운명은 이제 교육청 손에 달렸다. 학생, 학부모, 교사, 그 외 주민 등의 의견을 들어 최종 결정을 내린다고 하지만 논란이 빠른 시일 내에 종결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보존을 주장하는 측에선 벽화를 없애기로 결론 날 경우 법원에 소송을 제기하겠다고 밝혀둔 상황이다.
미국 역사의 치부를 드러낸 완성도 높은 예술작품이라는 평가와 더불어 원주민과 흑인 사회의 상처를 들추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 샌프란시스코 한 고등학교의 벽화. 그 그림을 보고 학교를 나오는데 태평양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제법 차갑게 얼굴을 때렸다. 머릿속이 맑아졌지만 ‘벽화를 어떻게 처분하는 게 정의로운가’ 하는 물음의 답은 끝내 찾을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