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신철수

‘국어 달인’ 울린 ‘국어 지존’의 준엄한 충고 “다시는 학교 올 생각 마라”

신철수

1/4
  • 1968년 원하지 않던 중학교에 가까스로 입학한 나는 한 선생님을 만나 인생이 달라졌다. 의욕을 잃은 내게 문학적 재능이 있음을 일깨워주시고, 선택의 기로에 서 있을 때 늘 조언을 아끼지 않으셨기 때문이다. 지금의 나를 있게 한 건 선생님의 예지력과 연금술이다.
신철수

1973년 동북고 3학년 시절 신철수 선생님(오른쪽)과 함께.

신철수 선생님을 처음 뵌 것은 1968년 가을이었다. 그때 나는 서울 동북중학교 1학년 학생이었다. 중학교도 입학시험을 보고 들어가던 시절이었는데, 나는 원하던 학교에 1차, 2차 차례로 낙방하고 전혀 원하지 않던 학교에 간신히 입학해 공부에 약간 의욕을 잃은 상태였다.

실은 초등학교 6학년 때 동북중학교에서 주최한 장학생 선발시험을 미리 본 적이 있다. 그 학교 서무주임으로 계신 분이 아버지 고향분이어서 알게 된 정보 덕이었다. 함께 과외 공부하던 친구들까지 떼로 몰려가서 실습 삼아 시험을 치렀는데 결과는 나 혼자 합격이었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대부분이 사교육을 받던 시절의 이야기다.

동북중학교에 진학할 생각이 1%도 없었기 때문에 내겐 그다지 기쁜 소식도 아니었다. 짓궂은 과외선생님은 동북을 ‘똥북’이라고 발음하며 걸핏하면 “넌 똥북이나 가라”며 놀리셨다. 결국 동북으로 가게 된 후 그 말씀이 씨가 된 게 아닌가 싶어서 한동안 과외선생님을 은근히 원망하기도 했다. 그나마 후기전형으로 입학하면 장학생 대우라도 받을 수 있었는데 나는 3차, 이른바 보결로 들어온 셈이어서 그런 혜택조차 받지 못했다.

학생들의 학업수준은 대체로 삼류(?)였지만 선생님들은 쟁쟁한 일류였다. 실력이 출중했을 뿐 아니라 대단히 의욕적으로 아이들을 가르치셨다. 영어를 가르치던 정향숙 선생님이 특히 인상에 남는다. 여선생님인데도 학생들이 모두 무서워해서 영어시간에는 떠드는 아이가 거의 없었다.

국어를 담당하신 오완영 선생님은 꼭 목사님이 설교하는 것처럼 수업을 하셨는데 나중에 진짜 목사님이 되셨다. 바로 그 오 선생님이 어느 날 나를 부르시더니 “수업 마치고 교무실로 가서 신철수 선생님을 만나라”고 말씀하셨다. 다른 반에서 국어를 가르치는 분이라고 하셨는데 처음 듣는 이름이었다. 워낙 소심한 터라 그 말을 들은 후 남은 시간 내내 걱정이 되어 수업에 몰두하기가 어려웠다.



“‘문학의 밤’에 나가봐”

방과 후 1층 교무실로 향하면서 별별 생각이 다 들었다. ‘내가 뭘 잘못했을까?’ 그러나 특별히 죄지은 일은 떠오르지 않았다. 마침 신 선생님이 자리에 계셨다.

“네가 주철환이야?”

그리 다정한 음성은 아니었다. 오히려 약간 윽박지르는 느낌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예.”

기어들어가는 목소리로 대답했다.

“이거 네가 쓴 거 맞아?”

선생님의 손에는 몇 장의 원고지가 들려 있었다. 자세히 보니 지난 국어시간에 내가 제출한 작문 과제물이었다. 왜 내 숙제가 지금 선생님의 손에 들려 있는 걸까? 이유는 알 수 없었다.

“한번 내 앞에서 읽어봐.”

선생님의 말씀에, 겁에 질린 목소리로 떠듬떠듬 읽어 내려갔다. 고개를 끄덕이시던 선생님이 짧게 말씀하셨다.

“제법인데.”

중학생이 된 후 처음 듣는 칭찬이었다. 그러고는 놀라운 명령을 내리셨다.

“너, 다음 달에 열리는 교내 문학의 밤에 나가라.”

선생님은 이렇게 나의 화려한 데뷔무대를 마련해주셨다. 그 시의 제목은 ‘나’였고 내용은 대충 이러했다.

1/4
주철환 이화여대 교수·언론홍보영상학 chjoo@ehwa.ac.kr
목록 닫기

신철수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