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그는 법관 퇴임 후 삼성전자 반도체사업장 백혈병 문제 조정위원장을 맡아 피해보상 합의를 이끌어냈다. 2016년 구의역 사고 진상규명위원장, 2018년 김용균 씨 사망 사고 진상규명위원장 등으로도 일했다. 시민사회의 신망이 높다. 그런 김 전 대법관이 삼성과 손잡은 데 대해 많은 이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감시위는 삼성그룹 윤리경영을 감시하고자 설립되는 독립 기구다.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생명,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SDS, 삼성화재 등 7개 계열사와 협약을 맺고 준법감시 업무를 담당할 예정이다.
김 전 대법관은 1월 9일 자신이 대표로 있는 법무법인 지평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감시위 활동에 성역은 없다”고 선언했다. 법 위반 위험이 있는 대외 후원, 일감 몰아주기 등 공정거래, 뇌물 수수나 부정 청탁 등의 분야를 감시할 뿐 아니라 노조 문제와 승계 문제도 예외로 삼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김 전 대법관이 이날 가장 강조한 것은 감시위의 독립성과 자율성이다. 그는 “위원장직을 맡기 전 삼성의 진정성에 대한 의심, 실패에 대한 두려움 등이 있었다”고 털어놓은 뒤 “여러 차례 삼성 측 제안을 고사했으나 이재용 부회장으로부터 직접 ‘위원회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보장하겠다’는 답을 듣고 위원장직을 맡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 전 대법관은 이후 감시위 위원을 직접 선임하는 것으로 업무를 시작했다. 경실련 사무총장을 지낸 고계현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사무총장, 한겨레신문 편집국장 출신의 권태선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 등이 김 전 대법관과 함께 ‘삼성 감시’ 활동에 참여하기로 했다. 삼성 내부에서는 이인용 사회공헌업무총괄 고문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김 전 대법관은 앞으로 “윤리경영의 파수꾼 구실을 할 것”이라며 “이사회 주요 의결 사안에 법 위반 리스크가 없는지 사전 모니터링하고 사후에도 검토하는 ‘준법 통제자’가 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