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18대 국회 한나라당 新계보 안국포럼 그룹 vs 친박 그룹

‘MB이즘’ 여의도 전도사 vs 죽다 살아난 ‘박근혜 운명공동체’

18대 국회 한나라당 新계보 안국포럼 그룹 vs 친박 그룹

1/5
  • 18대 국회에서는 생소한 성격의 두 그룹이 여권 권력투쟁의 핵으로 자리 잡게 된다. ‘대선주자 이명박 캠프’ 출신 및 ‘서울시청 출신’으로 구성된 친이 전위대 ‘안국포럼 그룹’과, 공천 과정에서 거의 죽다 부활하게 되어 박근혜 전 대표와 이젠 뗄 수 없는 ‘운명공동체’가 된 한나라당 내 ‘친박 그룹’이 그들이다. 두 의원 그룹은 계보정치를 새로이 촉발시킬 수 있는 등 중요한 정치적 함의를 품고 있다.
18대 국회 한나라당 新계보 안국포럼 그룹  vs  친박 그룹

2007년 1월 이명박 전 서울시장 대선캠프 사무실로 활용된 안국포럼(좌).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와 친박의원 30여 명이 1월31일 대책회의를 위해 국회도서관 회의실로 들어오고 있다(우).

“이명박(MB) 정부의 총선 콘셉트는 딱 두 가지였다. 하나는 ‘박근혜당’을 ‘MB당’으로 바꾸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영남당’을 ‘수도권당’으로 변모시키는 일이었다. 공천 작업도 여기에 초점이 맞춰졌다. 그러나 이 두 가지 목표는 모두 달성되지 못했다. MB당 구축에 핵심 기능을 담당해야 했던 이재오-이방호 라인이 총선에서 무너졌다. 영남권에선 박근혜 색채가 짙은 중진들을 공천 과정에서 모두 쳐냈지만 이들 대부분이 ‘친박연대’나 ‘친박 무소속’으로 출마해 살아난 뒤 복당 문턱에 와 있다.”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과 대선 본선을 거치며 이명박 후보 진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4·9 총선 공천에서 탈락한 뒤 출마를 포기한 한 중진 의원의 분석이다. 그는 “이명박 정권은 청와대 및 내각 인사 파동, 미국산 쇠고기 안전성 논란으로 지지율이 20%대로 추락하는 위기를 맞았지만 한나라당과 텃밭인 영남의 지원사격을 거의 못 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6월부터 18대 국회가 시작되면 이명박 정부에도 새로운 추동력이 생겨 지금보다는 훨씬 여건이 나아질 것”이라고 내다본다.

‘신진기예’에 거는 MB의 기대

이 추동력은 한나라당이 전체 의석 299석의 과반을 넘는 153석을 차지한 만큼 17대 국회 막바지 때와는 달리 새로 구성될 국회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것이란 산술적 구도를 의미하는 것만은 아니다. 새 국회에 포진할 ‘친(親)이명박’ 계열 의원들의 역할에 주목한다. 대선후보 경선과 본선을 거치면서 ‘MB이즘’으로 무장한 ‘친이’ 신진기예들이 18대 국회 개원과 동시에 하나로 뭉쳐 이명박 대통령을 적극 보호하면서 새 정부 이념에 맞는 정책을 내놓기 시작하면 분위기가 달라질 것이란 얘기다.

18대 국회에 진출한 한나라당 소속 153명 가운데 ‘친이’로 분류할 수 있는 의원은 모두 107명이다. 전체의 70%다. 이 정도면 한나라당을 장악해 이 대통령에게 충분히 힘을 줄 수 있을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문제가 그리 간단하지 않다. 당 안팎에 포진한 ‘친박’ 의원들 때문이다. 지금 정치상황에서 보면 ‘친박’은 새 국회가 개원하더라도 사사건건 ‘친이’를 중심으로 한 여권 주류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있다.



18대 국회의 ‘친박’ 계열 한나라당 소속 의원은 5월13일 현재 박 전 대표를 포함해 33명이다. 당장은 수적으로 ‘친이’의 3분의 1도 채 되지 않는다. 그러나 당 밖의 ‘친박’이 있다. ‘친박연대’ 소속 의원이 14명, ‘친박’ 무소속 의원이 12명이다. 당 안팎의 ‘친박’을 모두 합치면 59명에 달한다. 주요 입법 과정에서 캐스팅 보트를 행사하고도 남는다. 박 전 대표를 향한 이들의 신뢰와 결속력도 상당하다.

당 밖에 있는 친박 의원들의 한나라당 복당은 사실상 초읽기에 들어갔다. 박 전 대표는 5월11일 호주·뉴질랜드로 출국하기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친박’ 당선자들의 복당 문제에 대해 “5월말까지는 가부간에 결정이 나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새 대표를 뽑는 7월3일 전당대회 이전 복당에 반대하는 강재섭 대표와 “복당 문제는 당에서 알아서 할 일”이라고 밝힌 이 대통령에게 최후통첩을 한 셈이다. 박 전 대표는 출국 전날엔 이 대통령과 청와대에서 단독 오찬회동을 갖고 ‘친박’ 인사들의 일괄 복당을 면전에서 요구해 “개인적으로 복당에 대해 거부감이 없다”는 언질을 받은 상태다. 박 전 대표는 공항에서 “어제도 (이 대통령과 회동에서) ‘5월말까지는 결정 나면 좋겠다’고 이야기를 드렸다. 거기에 대해 결론이 나면 그게 당의 공식 결정이라고 받아들이고 더 이상 얘기하지 않겠다. 그래야 나도 결정을 할 것 아니냐”고도 했다.

1/5
송국건 영남일보 정치부 기자 song@yeongnam.com
목록 닫기

18대 국회 한나라당 新계보 안국포럼 그룹 vs 친박 그룹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