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탄생 30년, 한국 원자력발전 현주소

이용률 8년 연속 90%대, IAEA 무사고 인증

탄생 30년, 한국 원자력발전 현주소

1/4
  • 자이온팀을 시작으로 탄생한 한국의 원자력발전소 조종사들. 원전 운영 초기에 자주 발생하던 불시 정지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90%대의 원전 이용률을 기록하게 됐다. 원전 운전 30주년과 함께 맞은 에너지 위기를 극복하려면 원전 기술을 정예화하는 수밖에 없다.
탄생 30년, 한국 원자력발전 현주소

월성원전에 있는 원자로 중앙제어실 시뮬레이터. 원자로 조종사와 후보생들은 이곳에서 원자로가 처한 다양한 상태에 대응하는 훈련을 반복한다.

20여 년 전에 나온 미국 영화 ‘탑건(Top Gun)’의 주인공인 해군 대위 매버릭(톰 크루즈 분)은 훌륭한 전투기 조종사였던 아버지의 뒤를 이어 탑건 훈련학교에 입학한다. 최신예 전투기 F-14를 모는 매버릭 대위의 실력은 천부적이면서도 거칠었다. 학교에서 물리를 가르치는 교관과 사랑에 빠지기도 하고, 사고로 절친한 친구를 잃기도 하는 그는 말썽을 일으켜 퇴교 위기에 처한다. 그러나 아버지 친구의 도움으로 무사히 졸업한다. 항공모함으로 돌아온 매버릭은 비상출격 때에 놀라운 조종술로 미그기를 격퇴하고 능력을 인정받아 교관이 되어 탑건 훈련학교로 돌아간다.

최신예 전투기들의 멋진 대결과 톰 크루즈의 매력적인 연기에 흠뻑 빠져 이 영화를 몇 번씩 봤다는 사람도 많다. 흥행에 성공한 이 영화가 남긴 족적은 다양하다. 그 후 탑건은 어떤 분야에서 최고봉에 오른 사람을 지칭하는 보통명사가 됐다. 가요계의 탑건은 최고의 가수, 골프계의 탑건은 최고의 골퍼를 의미하게 됐다. 미국에서는 해군 용어인 탑건이 한국에서는 공군 용어로 자리 잡았다. 우리 공군은 매년 탑건을 선정해 시상한다.

최신예 전투기를 조종하는 것보다 더 까다롭고 힘든 것이 원자로 운전이다. 비행기는 수십만개의 정밀한 부품으로 만들어진 매우 복잡하고 예민한 기계다. 원자로는 비행기보다 늦게 만들어졌지만 비행기보다 열 배나 많은 수백만개의 첨단부품으로 만들어진 전기 생산 공장이다. 원자력발전소는 작은 부지에서 아주 많은 양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에너지 밀집형 발전소다.

原電 탑건들

원자력발전소는 방사선을 방출하는 우라늄을 연료로 하기에 늘 위험을 수반한다. 그래서 많은 안전장치를 설치했지만, 아무리 완벽한 설비라 해도 운전을 잘못하면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수를 막기 위해 원자로 조종사들은 공부를 많이 한다. 모의 훈련설비를 이용한 집중 훈련도 받아야 한다. 이러한 훈련을 마치고 시험을 통과해야 비로소 원자로 조종사 자격증을 취득한다.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도 정기적으로 보수교육을 받는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001년부터 매년 최우수 원자로 조종사를 선발하고 있다. 원자력발전소의 탑건을 선발하는 것이다. 2001년에는 영광원전의 조영보씨가 최초의 최우수 원자로 조종사로 선정됐다.

최우수 원자로 조종사는 20기의 원자력발전소에서 일하는 수백명의 원자로 조종사를 상대로 원자로가 이상 상태를 맞았을 때 어떻게 조치할 것인지를 보여주는 능력과 안전의식, 사고 예방능력, 그리고 과거의 운전 실적을 엄격히 평가해 뽑는다. 이렇게 해서 선발된 원자력발전소 탑건은 매년 9월에 열리는 원자력안전의 날 행사 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으로부터 상을 받고 그 영예를 널리 알린다.

지금은 부산광역시에 포함된 경남 동래군 장안면 고리에서 1971년 11월15일 착공된 것이 고리원자력 1호기다. 고리원자력 1호기는 1977년 6월19일 원자로를 가동하는 첫 임계(臨界, 원자로 점화)에 들어갔고, 1978년 4월29일에는 최초의 상업운전에 들어갔다.

고리 1호기를 건설할 무렵 한국은 원전 설계와 건설 기술이 크게 모자라 많은 것을 미국 기업에 의존했다. 이 때문에 고리 1호기는 미국의 웨스팅하우스가 건설해, 발전소 소유주인 한국전력에 넘겨주는 턴키 방식으로 건설됐다. 그러나 한전은 원전 운영 경험이 없었기에 웨스팅하우스사가 발전소를 넘겨줘도 ‘제대로 발전할 수 있을지’ 자신할 수 없었다.

1/4
송명재 한국수력원자력 전무·보건물리학 박사
목록 닫기

탄생 30년, 한국 원자력발전 현주소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