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속구를 던지는 시장
야구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경산시는 삼성 라이온즈가 운영하는 야구 연습장인 볼 파크가 있는 곳으로 기억된다. 프로야구 스토브리그 기간 중 TV 스포츠뉴스 시간에 경산 볼 파크는 자주 소개된다. 최병국 경산시장도 야구광으로, 그는 ‘강속구를 던지는 시장’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이 고장의 야구 명문인 대구상고에서 선수생활을 했으며 ‘강타자’ 장효조와는 함께 운동한 고교 동기로 지금도 자주 만난다고 한다. 최 시장은 집무실에서 야구공을 손에 쥐고 투구 자세를 잡아 보이기도 했다.
▼ 포지션이 투수였나 보죠?
“대구 대건중학교 야구부에서 좌완 투수였는데 공이 굉장히 빨랐죠. 커브 등 변화구도 좋아서 대구 최고의 투수가 될 것이라는 촉망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막상 시즌이 시작되어 마운드에 서보니 컨트롤이 되지 않아 공이 자꾸만 타자 뒤로 갔어요. 결국 강판당하고 중견수 겸 타자로 전환했어요.”
▼ 대구상고에 진학해서도 쭉 야구를 했나요?
“1학년 말에 문제가 생겼어요. 고교야구는 인기가 좋아 경기가 관중이 많이 찾는 일요일에 자주 열렸죠. 전국대회는 서울에서 주로 열리고요. 그런데 우리 가족이 다니던 시온교회는 ‘일요일에 절대 돈을 쓰지 말라’고 했고 독실한 교인이던 아버지는 ‘교회의 가르침을 어겨서는 안 된다’고 했어요. 일요일에 교통비를 안 쓰고 서울까지 갈 방법이 없잖아요. 결국 좋아하는 야구를 관둬야 했죠.”
▼ 교리를 융통성 있게 적용할 수 있지 않았을까요?
“아버지의 말씀이 법이었고 어길 수 없었어요. 나중에 서울대 대학원에 진학해 야구동아리에 가입했는데 아마추어 선수들을 삼진으로 마구 잡아내며 실력을 뽐냈죠.”
▼ 그 교회를 원망했겠네요?
“도움이 된 점도 있었어요. 시온교회는 ‘어떠한 경우에도 욕설을 해선 안 된다’고 매우 엄하게 가르쳤어요. 그때 몸에 밴 습관 탓으로 커서도 상스러운 말을 한 적이 없어요.”
“청와대 실세 청탁 거절하자…”
최 시장은 자서전 ‘맑은 물에 고기가 모인다’에서 ‘새로운 도전을 즐기는 스타일’이라고 자신을 평가한다. 그는 야구를 그만둔 뒤로 독하게 공부해 검정고시로 대학(영남대)에 진학하고 행정고시에 합격한다. 행정공무원 대신 경찰을 선택한 그는 ‘최연소 경찰서장’ 등으로 승승장구하더니 41세에 “정치를 하려면 지금 해야 한다”며 돌연 사표를 던진다. 이후 약 8년을 낙천·낙선하며 무관(無冠)으로 지낸다. 그는 2005년 4월 보궐선거에서 마침내 경산시장이 되어 2006년 6월 지방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하지만 올해 6·2지방선거를 앞두고 한나라당 공천을 받지 못한다. 그러자 그는 “공천이 공명정대하지 못하다”면서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한다. 결과는 그의 낙승. 이로써 시장 3선 연임에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