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6월호

달달한 맞춤형 음악 공부 아이의 ‘평생 악기’ 찾아드려요

달고나 문다혜 대표

  • 입력2012-05-22 10:23: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달달한 맞춤형 음악 공부 아이의 ‘평생 악기’ 찾아드려요
    “어릴 때 피아노 좀 쳤다”고 말하면 모두 똑같이 묻는다. “체르니 몇 번까지 쳤는데?”

    바이엘, 체르니 100번, 30번, 40번…. 책 진도와 학습 기간으로 피아노 실력을 가늠할 수 있을까? 실제 “체르니 40번까지 뗐다”고 하면서 쉬운 소나타 한 곡 못 치고 간단한 악보도 제대로 못 보는 경우가 많다. 그러면 부모는 “너 피아노 가르치느라고 뼛골 빠지는 줄 알았는데 이게 뭐냐”며 한탄한다.

    아이에게 정말 ‘평생 악기’를 선물하고 싶다면, ‘닥치고 피아노’는 안 된다. 체계적인 음악 교육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아이의 평생 악기가 무엇일지 시험하는 기간을 거쳐야 한다. 국내 최초 아동음악재능발견연구소를 표방하는 ‘달고나(달콤한 악기를 고르고 다루는 나를 위한 음악컨설팅)’는 6~12세 아동에게 3~6개월간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플루트, 우쿨렐레, 핸드벨 등 다양한 악기를 접할 기회를 제공하고, 그중 무엇이 아이에게 가장 적합한지를 알려준다.

    5월 8일 오후 4시. 서울 서초구 반포동 달고나 음악교습소에서 8세 여자아이 두 명이 각각 수업을 받고 있었다. 한 아이가 피아노 앞에 앉아 선생님과 함께 슈베르트의 ‘숭어’를 연주했다. 여기까지는 여느 피아노 학원과 같은 풍경. 그런데 선생님과 아이가 피아노 앞에 앉아 한 음씩 번갈아가며 치고 있었다. 띵땅띵땅, 마치 숭어가 날뛰듯 경쾌한 소리가 났다. 아이는 깔깔 웃으며 다음 음을 찾았다.

    옆방 아이는 선생님과 함께 모형 트럼펫, 색소폰, 리코더 등을 불었다. 다양한 악기를 후후 불어가며 아이는 다양한 관악기를 체험했다. 피아노 한 대 겨우 들어가는 ‘닭장’ 같은 작은 방에 처박혀 학생 혼자 반복 연습하는 기존 음악 학원과는 다른 풍경이었다. 담당 교사는 “오카리나, 피페, 리코더 등 간단한 악기로 먼저 금관악기 호흡법을 연습하고 호흡조절이 되면 플루트, 어린이 트럼펫, 클라리넷 등으로 발전시킨다. 점차 악기의 수준을 높여가면서 아이의 재능과 흥미를 따져보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달고나의 가장 큰 특징은 악기 선택과 학습 주도권이 학생에게 있다는 점이다. 문다혜(27) 대표는 “주변 권유나 어머니 강요 때문에 악기를 배우는 게 아니라, 아이들의 음악 성향이나 음악을 받아들이는 속도에 따라 맞춤 악기로 맞춤 수업을 한다”고 말했다.

    무조건 아이 위주

    학원에 등록하는 순간부터 무조건 아이 위주다. 먼저 여러 종류 악기 모양의 카드를 보여주면서 아이가 호감을 갖는 악기 2~3개를 정한다. 한 달간 아이 학습 속도에 따라 맞춤 수업을 하고, 그중 집중하고 싶은 악기를 정하거나 다른 악기를 접하게 한다. 교사는 한 악기에 대한 아이의 흥미, 인내력, 능력, 성향 등을 매번 평가한다.

    이렇게 석 달, 약 25가지 종류의 악기를 접한 아이는 스스로 ‘평생 악기’를 결정하고 선생님과 가족들 앞에서 연주회를 연다. 만약 재능이 있고 소질을 더욱 개발하길 원하는 경우 맞춤형 전문 강사를 소개해주고 음대 교수 등에게 멘토링을 받을 수 있게 연계해준다.

    이곳에서 쓰는 교재도 남다르다. 피아노의 바이엘·체르니, 바이올린의 스즈키·호만 등 일반적인 교재만 쓰지 않는다. 달고나 사무실 한쪽 벽을 가득 메운 책장에는 세계 각국의 다양한 교재가 꽂혀있다. 문 대표는 “활동적인 아이는 경쾌하고 음악 활동이 많은 책을 선택하고 정적인 아이는 감성적인 음악이 많은 책을 배우는 등 아이의 성향, 실력에 따라 다양한 교재를 이용한다”고 말했다.

    “피아노에서 바이엘, 체르니는 200년 전 나온 책으로 현재 미국에서는 쓰지 않는 교재입니다. 영어, 수학 교재는 해마다 바뀌는데 피아노는 200년 전 교재를 그대로 써야 하나요? 맞춤형 교재를 쓰다보면 다른 친구와 계량적 비교가 안 되니 각자 성향을 더 살릴 수 있어요. 아이들은 진도 나가는 것을 따분해하지 않으면서 음악 감각도 훨씬 빠르게 발전합니다.”

    성신여대 음대에서 피아노를 전공한 문 대표는 대학 입학 이후 현재까지 한 번도 쉬지 않고 피아노 레슨을 해왔다. 지금까지 문 대표 손을 거친 아이는 100여 명. 실력뿐 아니라 음악에 대한 호기심을 길러주고 싶었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그는 “나름대로 새로운 교습법을 연구해서 피아노를 재밌게 가르치고 작곡 공부를 시켜도, 어머니들은 만족하기보다는 ‘우리 아이 체르니 30번 빨리 떼주세요’ ‘콩쿠르 준비해주세요’ 하고 요구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털어놓았다. 이렇게 통상적인 피아노 교습법 때문에 상당수 재능 있는 아이가 피아노를 싫어하고 거부감을 갖는 것을 보며 안타까움을 느꼈다.

    “초등학교 1학년인 한 아이는 저를 처음 만난 날 ‘저는 피아노 소리가 악마의 소리 같아요’라고 하더라고요. 이전 학원에서 틀릴 때마다 선생님이 아이 손등을 자로 때리고, 동굴같이 어둡고 쾨쾨한 연습실에서 열 번, 스무 번 반복 연습했대요. 한 곡을 다 익히지도 못했는데 진도를 나가야한다며 아이를 닦달하고요. 한 5학년 아이의 경우 1주일에 1번 전문가 선생님한테 레슨을 받기 위해 매일같이 ‘연습 선생님’에게 2~3시간씩 ‘새끼 레슨’을 받았대요. 이 아이는 재능이 있는데도 스스로 음악을 즐기고 느끼는 시간 없이 기계적으로 연습만 했던 거죠.”

    체르니, 스즈키 등 획일화된 교육 거부

    달달한 맞춤형 음악 공부 아이의 ‘평생 악기’ 찾아드려요

    리듬 수업 장면. 3개월 간 25종의 악기를 다뤄보고 그중 가장 맞는 악기를 결정한다.

    문 대표와 음대에서 함께 공부한 친구들의 경우 대학 졸업 이후 주로 유학을 가거나, 학원을 차리거나, 결혼을 했다. 그 사이에서 문 대표는 혼자 “경영을 배우겠다”며 서강대 MBA 과정에 등록했다. 이론적 토대를 쌓은 이후 ‘위시랜드’라는 초기 스타트업에 동참해 1년간 실무를 경험했다. 20년 가까이 피아노만 쳐온 문 대표가 사업을 하겠다고 하자 모두가 의아해했다. 특히 부모님이 속상해했다.

    “딸한테 음악을 전공시킨 부모님들은 기본적인 기대가 있거든요. ‘피아노 전공했으니 유학도 가고 좋은 데 시집가면 되겠다’ 하는…. 그런데 전 ‘정글’로 들어가니까 부모님의 우려가 컸죠.”

    달고나의 교습비는 회당 5만 원. 주 2회, 3개월간 가르치려면 100만 원 이상 든다. 일반 피아노학원에 비해 교습비가 2~3배 비싼 편이다. 하지만 현재 정원 20명을 꽉 채웠고 대기자도 많다. 일산, 목동, 압구정동 등에서 “우리 동네에 진출할 계획은 없느냐”는 문의전화도 자주 온다.

    “요즘은 가정에 자녀가 한두 명인 경우도 많으니까 투자를 아끼지 않으시죠. 또한 여기서 배우는 3개월이 평생 소중한 경험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부모님들이 크게 아깝다고 생각하지 않으시는 것 같아요. 또한 회원으로 등록하면 멘토 교수님 음악회 티켓이나 클래식 공연 티켓, 다양한 세미나 등에 무료로 참여할 수 있어요.”

    음악이 아이의 정서, 지능 계발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더 강조할 필요가 없다. 아인슈타인은 훌륭한 과학자면서 피아노와 바이올린에 재능이 있었고, 레오나르도 다빈치 역시 피아노와 작곡을 즐기는 등 음악적 재능이 풍부했다. 최근에는 IQ와 EQ를 넘어, ‘음악 지능’이 주목받고 있다. 즉 리듬과 소리에 민감하고 작곡을 잘하는 아이는, 좌뇌와 우뇌가 활발히 운동하기 때문에 감성과 논리가 동시에 발달한다는 것. 베네수엘라의 ‘엘 시스테마’ 등 음악을 통한 정서 치료도 화제다. 문 대표 역시 8년 넘게 아이들을 가르쳐오면서 ‘음악의 힘’을 실감한다.

    “석 달 전 학원에 온 여덟 살 쌍둥이 형제는 처음에는 엄마도 혀를 내두를 정도로 말썽꾸러기였지만 요즘 각각 플루트와 피아노에 빠져 참 얌전해졌어요. 전 같으면 10분도 못 앉아 있었을 텐데, 이제는 클래식 한 곡을 들려줘도 잘 앉아 들으며 ‘이건 무슨 곡이죠?’ 하고 물어요.”

    달달한 맞춤형 음악 공부 아이의 ‘평생 악기’ 찾아드려요
    어린아이들이 음악 교습 과정에서 음악을 싫어하게 되는 것은 단순히 악기 연주 능력이 떨어지는 정도의 문제가 아니다. 음악에 대한 거부감을 갖게 되면, 음악을 통해 마음의 위안과 풍부한 감성을 얻을 기회까지 잃게 되는 것. 문 대표는 “아이의 첫 음악교육의 방식에 따라 평생 음악을 즐길 수도, 평생 피아노를 증오할 수도 있다”며 “달고나는 현재 프로그램을 매뉴얼화하고 IT산업과 연계해, 더 많은 아이가 클래식을 가깝게 여기고 음악의 기쁨을 나눌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