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원공단.
창원은 산업도시로 급성장, 오늘날 전국 기계업종 총생산의 20%를 차지하는 등 국가 경제성장의 견인차 구실을 해왔다. 52만 창원시민의 60%가 직·간접적으로 창원공단에 생계를 의존하고 있고, 지방세수의 40% 이상을 기업이 차지하고 있다.
박완수 시장은 “현재 창원국가산업단지의 60%를 차지하는 기계산업을 앞으로 메카트로닉스·로봇 등 첨단기계산업으로 대체하고, IT·NT·BT·부품소재 등 첨단업종을 적극 유치해 성장 동력을 다각화하겠다”고 밝혔다.
“창원의 미래를 내다볼 때 지금의 산업구조는 불투명합니다. GM이 망하는 바람에 디트로이트가 쇠락의 길을 걷고 있는 것 아닙니까. 창원국가산업단지도 지금부터 리모델링하고 산업 간의 세대교체를 이루지 않으면 미래가 없기에 지금부터 준비하려 합니다.”
그가 이렇게 자신하는 건 남다른 기업사랑 정책 때문이다. 대규모 공단을 둔 기업도시는 많지만 지자체가 나서서 ‘기업사랑운동’을 전개한 곳은 2004년 창원시가 처음이었다. 그 후 지자체마다 기업사랑운동이 유행처럼 번졌다.
창원의 기업사랑운동 방법은 다양하다. 신문사와 연계해 올해·이달의 최고 경영인·근로인을 시상하는가 하면, 청소년들이 친(親)기업정서를 가질 수 있도록 ‘청소년 산업현장 일일교실’도 운영한다. 또한 ‘찾아가는 기업사랑 음악회’를 개최해 노동자들에게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고, 공단셔틀버스 4개 노선을 운행해 공단근로자들의 출퇴근을 돕고 있다. 창원시노동복지관을 개관해 노동법률상담, 노동교육, 노동상담 등 노동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도 주고 있다.
보다 근본적으로 기업을 돕기 위해 창원국가산업단지 내 공업지역의 건폐율을 70%에서 80%로 상향조정, 공장 추가건립이 가능하도록 했다. 무엇보다 기업민원관련종합서비스 체계를 구축해 기업의 애로사항을 즉시 처리하도록 했다. 일찌감치 행정의 전봇대를 뽑은 셈이다.
대표적인 게 2006년 포스코특수강 공장을 관통하는 하천을 복개하고 물길을 공장경계지역으로 돌리도록 한 것. 예전 같으면 불가능한 일이었지만 시가 나서서 10차례나 환경부와 경남도청을 방문, 설득했다. 당시 포스코특수강은 공장을 해외로 이전하려 했었다고 한다. 그런데 하천을 복개함으로써 4400여 평의 부지확보 효과가 생기자 이에 보답하듯 4000억원을 투자해 공장을 증설했다. 창원시민은 일자리를 잃지 않게 되었고, 시는 지방세수가 늘게 됐으니 일석삼조의 효과를 본 셈이다. 세원셀론텍이라는 회사는 부지가 협소해 플랜트 설비 등을 선적할 장소가 없어 주차장에 선적하는 바람에 직원들이 주차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창원시는 회사 정문 앞 고가철길 아래 땅을 정비, 차량 360대를 주차할 수 있게 해줬다.
기업지원종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한 것도 창원시의 강한 기업사랑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이 시스템을 통해 어떤 시책이 어느 정도의 도움을 주었는지 파악할 수 있어 향후 기업지원 방향을 설정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기업성장 시기, 규모에 따라 원하는 지원시책이 무엇인지를 미리 파악할 수 있어 지원사업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게 된 것이다. 기업사랑운동 결과 2004년 1604개이던 기업체가 2007년 말엔 2000개로 396개(30%)가 증가했고, 근로자는 7만4000명에서 8만명으로 6000명(8%) 증가했다.
물과 바람이 순환하는 도시
창원시는 2006년 전국 최초로 ‘환경수도’를 선언했다. 이를 입증하듯 2007년 한국경제신문사의 친환경경영대상 ‘공공서비스부문 대상’, 건설교통부의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 평가에서 ‘녹색교통부문 대상’, 한국언론인포럼의 살기 좋은 도시부문 ‘한국지방자치대상’ 등을 석권했다.
창원시 김광수 공보과장은 ‘환경수도’에 대해 “단순히 환경정책을 모범적으로 추진하는 정도가 아니라 환경친화적인 미래생태도시를 말한다. 물과 바람이 순환하는 도시, 다양한 생물이 살아가는 도시, 에너지와 자원 순환형 도시, 시민과 함께 하는 선진 환경도시”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2010년까지 기본적인 인프라와 시스템을 구축하고, 2015년까지 대한민국 환경수도로, 2020년까지는 세계 환경수도로 인정받겠다는 구상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