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68년 충북 영동 출생<br> 홍익대 미대 동양화과 졸, 동대학원 석사<br> 개인전 17회<br> 現 덕성여대 동양화과 교수
우리 전통회화를 지칭하는 말이 이렇게 두 갈래가 된 것은 일제 강점의 결과다. 일제는 민족성 자각을 꺼려 우리의 전통기법과 양식에 따라 그려진 회화를 조선화(朝鮮畵)로 지칭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았다. 대신 동양화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강요했다. 그래서 종래까지 서양화에 대응하는 지리적 개념으로 통용되던 동양화라는 명칭이 우리의 전통회화를 지칭하는 용어가 된 것이다. 하지만 이미 중국 전통회화는 중국화로, 일본 전통회화는 일본화로 지칭되고 있었다.
일제에 의해 동양화로 명명된 한국 전통회화의 명칭을 되찾은 것은 광복 후 30년이 훨씬 지나서였다. 1970년대 초 청강 김영기(1911~2003) 등이 ‘한국화 명칭 사용에 대한 건의문’을 국회에 제출했고, 1982년에 이르러 각종 공모전에서 공식적으로 ‘동양화’ 명칭을 ‘한국화’로 변경했다.
1983년에 개정된 새 미술교과서에도 ‘동양화’ 대신 ‘한국화’로 표기했다. 하지만 여전히 동양화와 한국화 명칭은 병용되고 있다. 대학에서도 학과명이 제각각이다. 이렇게 자신들의 회화를 규정지을 이름 하나 변변하게 갖추지 못한 탓에 사람들이 ‘한국화’와 ‘동양화’ 사이에서 어리둥절할 따름이다.
文字香 書卷氣
지금까지 한국 전통회화는 겸재 정선이나 단원 김홍도, 혜원 신윤복 등 조선후기 쟁쟁한 화선들의 정신과 화법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려 하기보다는 ‘그림은 곧 인품의 반영’이라는 추사의 관념적이고 고답적인 정신을 붙들고 한 발자국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했다. 전통이란 틀 속에 자신을 가두었기 때문이다. 이는 여전히 음풍농월하던 문인화가의 자세를 유지한 채 세상사와 담 쌓고, 문자향(文字香)과 서권기(書卷氣)를 고집하면서 세상사 흐름을 외면하며 문인사대부 또는 학자연하는 태도를 버리지 못하는 자세에서 비롯된다.
그 결과 한국의 전통회화는 여전히 고루한 액자에 갇혀 있었다. 한국의 전통회화가 진정한 민족의 회화가 되기 위해서는 ‘틀에 갇힌 전통’이 아니라 시대와 조우하면서 스스로 살아 숨 쉬고, 변화하는 생물 같은 생명력을 지녀야 한다. 전통이란 시대와 조우하면서 새롭게 변화하는 것이다. 모든 것이 변화하는 세상에서 전통과 틀에 가두어 둘 수 없는 노릇이다.
그런 점에서 박병춘(朴昞春· 40)의 회화는 주목할 만하다. 그는 구태의연한 전통이 아니라 오늘을 전통으로 만들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회화, 즉 먹으로 종이에 그리는 전통적인(?) 방식의 회화는 새롭게 오늘을 담는 그릇으로 사용될 만큼 충분히 넉넉하다. 하지만 그는 그 넉넉함에 만족하지 않고 계속해서 대지를 달려나가는 물줄기의 힘찬 포효를 그칠 줄 모른다.
그의 탁월함 또는 분명하게 남다른 점은 전통에 안주하기보다는 전통을 바탕으로 스스로 방법을 개척하고 그것을 과감하게 시도한다는 것이다. 그는 고여 있는 물을 가두는 전통회화의 둑을 과감하게 허물어버렸다. 그리하여 전통화단으로부터 이단이라는 지적을 감수해야 했지만 소위 요즘 사람들과 코드가 맞았다. 과거와 역사에 기대어 자신을 방어하기보다는 자신의 언어로, 자신의 회화적 가치로 과감하게 승부수를 던졌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