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탈북자 영화 ‘크로싱’ 만든 김태균 감독

“‘SF영화 찍느냐’고 비웃던 놈들아, 진실을 보여주마!”

탈북자 영화 ‘크로싱’ 만든 김태균 감독

1/6
  • “영화 찍으면서 작가랑 스태프들한테 수도 없이 물어봤어. ‘이 얘기 진짜지?’ ‘맞지?’하면서 말이야. 인간이라면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일들을 직접 접하게 되니까. 이거 완전히 돌아버리겠더라고.”
탈북자 영화 ‘크로싱’ 만든 김태균 감독
달포쯤 전이었던가. 신문에서 탈북자를 소재로 한 ‘크로싱(Crossing)’이라는 영화가 제작됐다는 기사를 접했다. 탈북자 수백명을 인터뷰해 중국과 몽골 현지에서 영화를 찍었다는 얘기였다. ‘탈북자 영화라니…. 요즘 같은 분위기에 이런 소재가 과연 흥행이 될까?’ 하고 생각했다.

가만히 보니 감독 이름이 눈에 익었다. 김태균 감독? 대학 과(科) 동기 중에 김태균이라는 친구가 있었다. 그때부터 수업을 거의 빼먹고 연극·영화판을 쫓아 다니던 친구였다. 우리가 대학에 다니던 1970년대 말~80년대 초반은 잦은 시위와 휴학으로 어수선하기 짝이 없던 시절이었다. 많은 친구가 공부엔 별 관심이 없었던 걸로 기억한다. 나도 군 입대 전까지는 만날 수업을 제치고 전국의 산을 쏘다녔다. 당연히 우리는 같은 과 동기였음에도 캠퍼스에서 마주칠 일이 거의 없었다.

졸업하고 사회에 나온 뒤 간간이 그의 소식을 들었다. ‘박봉곤 가출사건’ ‘화산고’라는 영화를 그가 찍었다는 말이 동창들 사이에 돌았다. ‘역시 괴짜야.’ 동창들 모임에서 그가 화제에 오를 때마다 내렸던 결론이다. 정치외교학을 전공한 친구가 영화를, 그것도 우리 세대가 보기엔 좀 희한한 영화를 찍었다는 사실이 의외였던 것이다. 그 친구는 졸업 후 내내 동창들과 연락이 두절된 상태였다.

그 김태균이 ‘크로싱’을 만든 김태균 감독 그 사람일까? 궁금해진 나는 연락처를 수소문해서 전화를 걸었다. ‘여보세요’하는 목소리를 접하자, 단번에 서로를 알아봤다. 대학 때 그리 친하지도 않았고 졸업 후에도 거의 접촉이 없었던 동창을 첫마디로 서로 알아본다는 것, 역시 인연이란 게 무섭다.

“네가 ‘크로싱’이란 영화를 찍었다고? 그것 참, 의외인데?”



“그러게 말이다. 나도 내가 그런 영화를 만들었다는 게 믿어지지 않아.”

‘얼치기 진보’의 변화

그렇게 우리는 대학 졸업 후 이십몇 년 만에 마주 앉았다. 강남구 압구정동에 있는 그의 사무실을 방문한 5월 초 어느 날, 그는 나를 방 안으로 인도하자마자 컴퓨터 모니터에 10분짜리로 축약한 ‘크로싱’ CD를 올렸다. 일단 보고난 뒤에 얘기하자면서.

영화는 진지했다. 한 북한 가족의 비극을 최대한 담담하게 비춰줌으로써 오히려 더 짙은 공감대를 만들어내는 듯했다. 20년 가까운 세월 동안 주로 북한·안보 분야를 담당해온 기자로서 나도 탈북자들의 가슴 아픈 얘기들을 수없이 접하고 글로도 썼지만, 문자가 아닌 영상으로 보여주는 것이 이렇게 강력할 수 있구나, 새삼 느꼈다.

“야, 너도 알잖아. 내가 어떤 놈인지. 젊은 애들 정서에 맞는 스타일리시한 영화만 만들던 내가 이런 영화를 찍으리라고 누가 상상이나 했겠어? 근데 이렇게 만들었잖아! 이건 기적이야, 기적.”

▼ 글쎄, 난 아직도 이해가 잘 안 되는걸? 너는 탈북자 문제 같은 정치적으로 예민한 사안에 별 관심이 없지 않았던가? 혹은 좀 진보적인 성향이었던가.

“나도 그렇게 생각했었거든? 예컨대 김정일이 핵무기를 갖고 미국에 맞서면서 설칠 때 ‘야, 역시 대단해’하고 생각하거나 ‘잘한다’ 하면서 속으로 박수를 쳤었지. 탈북자들 얘기? 수용소 얘기? ‘에이, 설마…. 북한도 사람이 사는 곳인데…’ 하면서 무심하게 넘기곤 했어.

그런데 그게 아니더라고. 이 영화 찍으면서 작가랑 스태프들한테 수도 없이 물어봤어. ‘이 얘기 진짜지?’ ‘맞지?’ 하면서 말이야. 도무지 믿어지지도 않고 믿을 수도 없는 일들, 인간이라면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일들을 직접 접하게 되니까, 이거 완전히 돌아버리겠더라고. 지금 생각해보면 그 때의 나는 얼치기 진보였던 거야.”

1/6
송문홍 동아일보 출판국 전문기자 songmh@donga.com
목록 닫기

탈북자 영화 ‘크로싱’ 만든 김태균 감독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