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혁명이 치열하다 한들 예술의 끈기와 인내를 이겨내지 못한다. 사람들이 끝내 삶이 아름답다고 느끼는 것은 사회적 혁명이 완수돼서가 아니라 예술이 함께하기 때문이다. 가난한 예술가가 聖人의 대우를 받는 건 그 때문이다. ‘부에나비스타소셜클럽’의 세군도, 페레르, 곤잘레스야말로 곤궁한 삶의 구원자다.
화폐 가치도 감이 오고, 물건 하나를 살 때도 가격의 높낮이가 피부로 느껴지며, 무엇보다 사람들이 음악만 나오면 몸을 살살 움직이는 모습이 너무나 자연스럽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가난도 익숙해지기 시작했다. 가난은 조금 불편할 뿐이라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되기도 했다. 더위마저 견딜 만했다. 옷을 갖춰 입지 않아서 차라리 편하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한국은 더 덥다는 소식이 간헐적으로 문자와 카카오톡, 페이스북 메시지를 통해 전달되고 있던 차였다. 돌아가면 더 힘든 일이 이어지리라는 생각에 머리가 아득해졌다. 그럼에도 여행은 사람을 성숙시킨다. 성찰에 이르게 한다. 그건 영화가 늘 하는 일이기도 하다. 영화와 여행이 이란성 쌍둥이같이 느껴지는 건 그 때문이다.
한국은 일상을 살아내기가 녹록하지 않은 나라로 꼽힌다. 다들 그렇게나 일을 열심히 하는데도 삶의 만족도는 점점 떨어진다. 그 누구도 자신을 중산층이라고 여기지 않는다. 서울 강남에 아파트를 가졌든, 부산 마린시티에 큰 평수 주상복합 건물을 가졌든 모두들 인생이 한 번에 와르르 무너질 수 있다고 생각하며 산다. 우리나라 사람들처럼 위기감에 절어 사는 인간도 드물다. 지진과 태풍의 공포 속에 살아가는 일본인들이 오히려 더 차분하고 안정적으로 살아가는 게 아닐까 싶을 정도다.
마침내 부에나비스타소셜클럽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걸 미처 못 깨닫고 ‘한방에 훅 갈 때’까지 쉼 없이 엔진을 가동하며 산다. 10억을 벌면 20억을 못 벌어 불안하고, 20억을 벌면 100억을 번 사람과 비교하며 여전히 모자람을 느낀다. 그래서 사람들은 행복하지가 않다. 심지어 불행하다고 느끼며 살아간다.
쿠바는 좀 다른 것 같았다. 쿠바에 와서 느끼게 된 건 바로 그 점이었다. 쿠바 사람들은 가난해도 덜 불행해하는 것 같았다. 불행을 잘 모르는 것처럼 보였다. 물론 두어 번의 쿠바행으로 여기를 다 아는 것처럼 얘기하는 것은 위험한 일일 것이다. 그것처럼 무식한 일도 없다. 다시 디턴의 주요 연구 분야인 ‘개발경제학’으로 돌아가보자. 가난한 나라의 행복지수를 판단할 때 실증적 조사를 병행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쿠바에 대한 판단 역시 더 많은 조사와 경험이 필요할 것이다.
더 풍부한 회원 전용 기사와 기능을 만나보세요.
욕망을 이해하는 사회주의
무엇보다 중간 중간 사람들의 손을 스스럼없이 이끌어대며 살사를 추는 무희들, 그 마력에 가까운 몸매가 눈길을 사로잡는다. 일탈의 욕망을 부추긴다. 욕망이 추해지는 것은 자꾸 그것을 감추기 때문이다. 욕망은 드러낼 때 건강해 보이는 법이고, 실제로 건강해지는 것이다. 신나게 춤을 추는 모습을 보면 새삼 쿠바 여인들이 아름답다고 경탄하게 된다. 섹시하다. 어떻게 저렇게 몸을 움직일 수 있을까, 저건 연습한다고 되는 일이 아니라고 속으로 중얼거리게 된다.
나도 춤을 좀 잘춰 봤으면 싶다. 돈도 명예도 필요 없고 저런 여인과 남은 인생을 밥을 같이 먹고, 얘기를 나누며, 고민을 고백하고, 살을 섞고, 아침에 같이 깨어나기를 바라게 된다. 부에나비스타소셜클럽 안에 있으면 이 모든 것이 다 자유롭게 느껴진다. 이런 욕망을 인정한다면 사회주의 국가라도 자본주의 국가와 하등 다를 게 없다는 생각에 이르게 된다. 아니 사회주의 국가가 오히려 더 인간의 욕망을 이해하는 게 맞는 게 아닐까. 그런데 현실은 늘 정반대였다. 여기만큼은 인간이 지니는 욕망과 충족의 변화체계를 잘 만들어 갔으면 하는 바람이 들었다.
클럽을 나와 호텔로 돌아와서도 쿠바 재즈가 남긴 흥분이 채 가시지 않는다. 내일은 아침 일찍 체크아웃을 하고 공항으로 떠나야 한다. 가능하면 짐을 다 꾸려놓고 자야 아침에 허둥댈 일이 없다. 그렇게 마음이 바쁜데도 한잔 더 하고 싶은 생각이 간절해진다. 다이키리(Daiquiri, 럼 베이스의 대표적인 쿠바 칵테일)나 모히토 같은 칵테일 정도면 괜찮지 않을까 하는 여유로운 마음이 생긴다.
코히바 가서 쿠바 한 대?
그런데 한 사흘쯤 지나면 정말로 이런 식단은 사람을 견딜 수 없게 만든다는 걸 알게 된다. 무릇 사람은 김치를 먹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된다. 맵고 짠, 뜨거운 국물 생각이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게 된다. 여행 끝물에 단순해지지 않는 사람은 없다. 시가를 피면서 나누는 대화가 점점 심플해진다. 집 떠나면 고생이라는 둥, 다 먹고살자고 하는 짓이라는 둥 클리셰(cliche′)가 공기에 둥둥 떠다닌다.
그러다 보면 쿠바산 시가를 한 대 피우고 싶어진다. 아침 나절에 아바나 서쪽에 있는 비날레스로 가는 길에 시가 농장에 들러 산 쿠바 시가는 실해 보인다. 모두들 왜 쿠바산 시가 ‘코히바’만을 얘기하는지 현지에 와서 보면 단박에 그 이유를 안다. 그 향긋하고 그윽한 냄새는 담배 냄새라면 질겁하는 여성들까지 살짝 궁금하게 만들 정도다.
일일이 하나하나 수공업적으로 만들어지는 쿠바 시가는 잘 말린 담배 잎을 마는 기술에 따라 맛과 품질이 결정되는 모양이다. 정교한 손재주가 필요할 터이다. 쿠바 시가는 모두 국가 것이다. 국가가 제조하고 판매 수익금 역시 국가로 귀속된다. 시가를 만드는 기술자들도 다 공무원인 셈이다. 월급을 받고 살아가는 사람들이라는 얘긴데,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하는 판매 행위를 엄격하게 제한하는 것 같진 않았다.
비날레스 벽화 절벽
마지막 일정으로 다녀온 비날레스의 절벽 얘기를 끝으로 쿠바 여행기를 접으려 한다. 비날레스는 쿠바 서쪽에 있는 작은 시골 마을이다. 다녀본 쿠바 중에서 가장 쿠바스럽지 않은, 열대지방에서 볼 수 있는 자연휴양림이자 국립공원이다. 유네스코가 1999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 산세가 독특하고 무엇보다 동굴과 강이 있다. 그렇다고 기대만큼 대단한 것은 아니다.비날레스의 장관은 벽화가 그려진 절벽이다. 1960년대에 활동한 쿠바 화가 레오비질도 곤잘레스가 그린 것으로, ‘무랄 데 라 프레이스토리아(Mural de la Prehistoria)’라고 한다. 선사시대 벽화라는 뜻이다. 고생대 화석인 암모나이트부터 호모사피엔스와 공룡의 그림이 뒤섞여 있는데, 어떻게 보면 진짜 선사시대 인류가 그린 것처럼 표현돼 있다. 곤잘레스는 왜 이런 거대한 작업을 하려 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