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1월호

부자와 미술관

북유럽 초입의 거대 문화전당

덴마크 국립미술관

  • 최정표 |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 jpchoi@konkuk.ac.kr

    입력2016-10-28 11:43:36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당신의 소장품은 형편없어서 받을 수가 없습니다.” 요하네스 럼프는 덴마크 국립미술관으로부터 작품 기증을 거부당했다. 하지만 큐레이터의 도움으로 수집품을 보완해 마침내 기증하는 데 성공했다. 이 미술관은 그가 내놓은 마티스의 작품들로 세계적 명성을 얻는다.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은 스칸디나비아 3국이라고 불리면서 북유럽으로 분류된다. 나는 세 나라 중 가장 남쪽에 있는 덴마크의 수도 코펜하겐에서부터 북유럽 여행을 시작했다.

    코펜하겐은 유럽의 여느 대도시에 비해 관광 명소가 많지 않다. 170년 역사의 티볼리 놀이공원이나 인어상 정도가 관광 코스다. 하지만 시내 한복판에 커다랗게 자리한 덴마크 국립미술관(SMK, Statens Museum for Kunst)도 놓쳐서는 안 될 곳이다.

    어느 나라나 유구한 문화유산에서 국가의 정통성을 찾으려고 한다. 그래서 대부분의 나라가 국립박물관과 국립미술관을 갖췄다. 한국엔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이 있다. 덴마크도 우리와 비슷한 체계다. 고대 유적이나 역사적 문화유산은 박물관이, 현대 예술품은 미술관이 관리한다.

    나는 미술관에 관심이 더 많다. 궁극적으로는 문화 수준이 선진국의 척도인데, 미술관은 그 나라 사람들의 문화 수준을 보여주는 바로미터다. 선진국들이 훌륭한 미술관을 가지려고 하는 것도 그래서다. 미국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영국 대영박물관,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 등이 그런 사례다.



    왕과 부자들이 만든 미술관

    선진국 덴마크는 독일의 북쪽에서 독일과 국경을 맞댄 작은 나라로, 면적은 한국의 절반에 못 미치고, 인구는 10분의 1을 조금 넘는 600만 명 정도다. 1인당 GDP는 5만3000달러로 한국보다 2만 달러 이상 높다. 동화작가 안데르센, 조립 장난감 레고, 세계 1위 해운회사 머스크로 잘 알려진 나라다. 소득, 복지정책, 문화예술 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이런 덴마크에 SMK가 있다. SMK는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작품, 서유럽 작품, 현대 작품, 판화와 드로잉 등 26만여 점을 소장한 대형 미술관이다. 작품은 1800년 이전 유럽 작품, 1900년 이전 덴마크 및 노르딕 작품, 1900년 이후 및 동시대 작품, 판화와 드로잉 등으로 나뉘어 전시된다.

    SMK의 원천은 덴마크 왕들의 수집품이다. 19세기 이전 소장품은 대부분 왕의 수집품이고, 이후의 소장품은 민간인 컬렉터들이 기증한 것들이다. 말하자면 SMK는 왕과 부자들이 만든 미술관이다.

    유명한 독일 화가 알브레히트 뒤러(1471~1528)는 1521년 일기에 ‘나의 판화 중 최고품은 모두 덴마크 왕 크리스천 2세(1481~1559)에게 줬다’고 썼다. 덴마크는 현재 SMK가 소장한 이 작품을 시작으로 미술에 관심을 갖게 된 이래 수집을 본격화했다.

    크리스천 4세(1577~1648)는 궁궐과 성을 짓고 건물과 도시를 아름답게 꾸미려는 야심만만한 계획을 세웠다. 왕은 많은 건물의 내부를 장식하기 위해 그림을 무더기로 구입했다. 하지만 미술에 조예가 없어 화려하고 교훈적인 그림만 충동적으로 사 모으다 보니 당대 최고의 화가 루벤스의 대작들을 놓치고 말았다. 이후 덴마크는 1658년 스웨덴과의 전쟁에서 항복하면서 많은 작품을 전리품으로 빼앗겼다. 그럼에도 덴마크 왕궁에는 그때의 작품이 많이 남아 그 가운데 일부가 SMK에 전시돼 있다.



    1827년 왕실 수집품 공개

    군주의 품격 있는 컬렉션은 프레데릭 5세(1723~1766)가 즉위한 뒤부터 빛을 발했다. 프레데릭 5세는 네덜란드로 미술품 딜러를 보내 플란다스와 네덜란드 작가들의 작품을 대량으로 구입했다. 딜러가 그곳을 마지막으로 다녀온 1763년에 이미 모아둔 수집품이 200점에 달했다. 이렇게 사 모은 그림들은 SMK의 최고 소장품이 됐다.

    왕실 수집품은 1827년 크리스천스보그 궁전에 갤러리를 만들어 처음으로 대중에 공개했다. 이것이 SMK의 첫걸음이다. 1849년엔 왕실 수집품을 국가재산으로 등록했다. 절대군주제가 폐지되고 사회가 민주화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왕실 소장품은 대부분 네덜란드, 플란다스,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등 서유럽 작품으로 1800점에 달했다.

    하지만 이들 수집품을 모아둔 크리스천스보그 궁전에 1884년 화재가 발생해 궁전이 전소됐다. 당시 왕 크리스천 9세는 연로한 몸을 이끌고 미술품을 구하기 위해 안간힘을 썼다. 왕의 독려 아래 신하들은 불타는 궁궐의 좁은 복도에 걸린 액자에서 그림만 뜯어내 가까스로 작품들을 구해냈다.

    구출된 소장품은 한동안 갈 곳이 없었다. 10여 년이 지난 1896년에야 당대 최고의 덴마크 건축가 달레럽(Vilhelm Dahlerup·1836~1907)의 설계로 미술관을 지었다. 이것이 오늘날의 SMK다. 설립 당시 SMK는 모양도 현대적이지 못하고, 전시 공간도 부족하고, 전시하기에도 매우 불편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럼에도 수집품은 모두 이 건물에 들어왔다. 작품은 그림, 판화, 석고상 등으로 구분됐다. 뒤러, 렘브란트에서부터 브루스 나우만, 루이스 부르주아 등 현대 작가의 작품까지 아우르는데, 특히 판화 컬렉션에는 세계 최고(最古)의 작품이 포함됐다.

    SMK는 1960년대 들어 대대적인 내부 공사를 벌인 끝에 전시 공간이 2배로 커졌다. 1998년에는 기존 건물 뒤에 평행하게 현대식 건물을 지어 두 건물을연결했다. 두 건물 사이는 유리천장을 덮어 커다란 복도를 만들고 이를 실내 조각공원과 각종 행사 공간으로 활용한다. 뒷 건물의 바깥은 푸른 숲이 우거진 공원이다.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진 덴마크 작가가 별로 없어 덴마크의 미술관은 재미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적어도 SMK에 가기 전까지는 그랬다. 그러나 SMK에 가 보니 동시대 외국인 작가들의 작품이 풍부했다. 이곳엔 특히 마티스의 작품이 많다. 알고 보니 엔지니어 출신 정치가 요하네스 럼프(Johannes Rump·1861~1932)의 각별한 미술 사랑 덕분이었다. 럼프는 인상파 이후의 프랑스 작품을 대량 수집해 215점을 SMK에 기증했는데, 그 가운데 마티스 작품이 25점이나 있었다.


    덴마크 회화의 아버지

    에케르스베르크는 덴마크 회화의 기초를 세운 사람이다. 목수이면서 화가인 아버지의 재능을 물려받았으며, 17세 때 코펜하겐 왕립미술학교에서 입학허가를 받을 정도로 일찍이 실력을 인정받았다. 27세에는 프랑스, 이탈리아 등지로 그림 유학을 떠났고, 1811년에는 파리로 가 당대 최고의 화가 자크루이 다비드 밑에서 공부했다. 1816년 귀국할 때까지 로마에서 작품활동을 했다. 귀국 후 1817년 왕립미술학교 교수가 됐고 1827년부터 1829년까지 교장으로 재직하면서 제자들을 길러내 덴마크 미술을 부흥시켰다. 그는 당대 유명 인사들의 초상화와 풍경화를 많이 그렸다.

    에케르스베르크의 작품은 꼭 챙겨 봐야 할 SMK의 대표 소장품이다. SMK에 걸린 ‘로마 콜로세움 3층에서 아치 3개를 통해 내려다본 로마 시내 풍경(A View through Three of the Arches of the Third Storey of the Colosseum in Rome)’은 에케르스베르크의 화풍과 스타일을 짐작하게 한다. 로마에 체류 하던 1815~1816년, 크지 않은 화폭에 많은 대상을 사진으로 찍은 것처럼 매우 세밀하게 담아냈다. 특히 로마 시내의 유적을 많이 그렸다.

    3개의 아치로 구분된 그림은 마치 별개의 그림 같기도 하면서 전체적으로는 잘 연결된 하나의 그림이다. 콜로세움 아치의 벽돌들이 매우 세밀하고 가깝게 부각돼 아치가 그림의 주 대상인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렇게 해석하면 시내 풍경은 아치의 배경 정도로 치부되지만, 그러기에는 풍경이 너무나 정성스럽게 그려졌다. 풍경은 망원경으로 살펴보며 그렸다고 한다.



    인생의 수레바퀴

    또 한 명의 덴마크 작가로는 20세기 최고의 덴마크 화가 아스거 요른(Asger Jorn·1914~1973)을 꼽을 수 있다. SMK에 소장된 요른의 ‘인생의 수레바퀴(The Wheel of Life·1953)’에는 인간의 생로병사 철학이 담겼다.

    요른은 15세 때 폐결핵 진단을 받은 후 한평생 폐결핵으로 고생했다. 1951년에는 실크보그에서 요양생활을 했는데, 퇴원하면서 구상한 첫 주제가 바로 ‘The Wheel of Life’이다. 요양생활 중에 인생에 대해 깊이 고뇌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실크보그에 있는 요른 박물관은 대표작을 비롯해 요른의 작품이 가장 많이 소장된 곳이다.

    우리는 생로병사라는 인생주기론(life cycle)이 불교사상인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런데 중세 덴마크의 기독교에도 이런 사상이 있었고, 그것이 이 그림에 고스란히 나타나 있다. 그림의 제목이 바로 생로병사를 의미한다. 출생해서 성인이 되어 태양이나 달과 같은 전성기를 구가하다가 늙어가면서 시들고 끝내 생을 마감한다는 내용으로 구성돼 있다. 죽음은 새로운 인생의 출발이라는 생각도 드러난다. 서양인이나 동양인이나 인생을 보는 관점은 비슷해 놀라웠다.



    최 정 표
    ● 1953년 경남 하동 출생
    ● 미국 뉴욕주립대 박사(경제학)
    ● 공정거래위원회 비상임위원, 건국대 상경대학장
    ● 저서 : ‘경제민주화,  정치인에게 맡길 수 있을까’
       ‘재벌들의 특별한 외도’ ‘한국 재벌사 연구’ ‘공정거래정책 허와 실’ ‘한국의 그림가격지수’ 등
    ●  現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 경실련 공동대표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