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SOLID HOMME 우 영 미 디자이너 & 대표

“파리에서 내가 파는 건 고급 패션브랜드로서의 코리아”

SOLID HOMME 우 영 미 디자이너 & 대표

1/2
SOLID  HOMME 우 영 미 디자이너 & 대표
20년이 된 한국 패션브랜드가 거의 없어요. 시간과 히스토리는 돈으로 살 수 없는 거니까 그 점에 대해서는 자부심을 갖자고, 이제 그런 칭찬을 스스로에게 해주는 정도죠.”

남성 패션브랜드 ‘솔리드옴므’의 디자이너이자 대표인 우영미씨는 그 이름처럼 한순간도 ‘솔리드’한 표정을 잃지 않았다. ‘옛 동지는 간 데 없는’ 패션계에서 ‘솔리드옴므’를 국내 매출 1위의 남성 캐릭터 패션브랜드로 키웠고, 10월23일 론칭 20주년을 기념하는 패션쇼를 열어 패션 관계자들과 언론으로부터 찬사를 받았으니, 얼굴에 미소나 홍조라도 띨 법한데 말이다. 유연하고도 단단한 그의 태도는 타고난 듯했다. 브랜드 이름도 작업실에서 미친 듯이 일을 하다 고개를 드니 무늬 없는 솔리드 옷감만 쌓여 있는 것을 보고 ‘난 참 솔리드하구나’ 하며 지은 것이라 했다.

한국에서 그가 패션쇼를 연 것은 6년 만이다. 파리 컬렉션 진출 이후 현지 쇼에만 참여했기 때문이다. 그의 서울쇼에는 차승원 오지호 등 당대의 남성 셀레브리티들과 프랑스 일간지 르피가로와 르몽드 기자 등을 포함해 무려 2800명의 관객이 몰렸다. 그의 존재감을 실감하게 한 자리였다. 그는 2002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파리 컬렉션에 참여하고 있으며 2006년엔 파리의 멋쟁이들이 모이는 마레 지구에 독립 부티크를 열어 남성복을 ‘수출’하고 있다. 한국 디자이너로는 유일한 행보다.

SOLID  HOMME 우 영 미 디자이너 & 대표

디자이너 우영미의 사무실. 장식품 없이 모든 것이 있어야 할 자리에 있는 그런 방이다.

“IMF를 전후해 파리 컬렉션 진출을 더 미룰 수 없겠단 생각이 들었어요. 패션계가 급속히 세계화하고 있었으니까요.”

요란하게 해외 컬렉션을 시도한 뒤 어떤 소식도 전하지 못한 다른 디자이너와는 달리 그는 파리에서 경쟁력 있는 옷들을 꾸준히 선보였고, 독립법인을 설립해 마케팅을 했다. 그 결과 ‘우영미’는 유럽에서도 ‘감수성이 탁월한 남자들이 입는 옷’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현지 언론이 우영미는 파리에 ‘메종’(본거지, 근거라는 뜻에서 쓴다)을 둔 디자이너라고 말할 정도다. 그래도 아시아라면 일본, 디자이너라면 남성(십중팔구 게이)에 대해 대단한 환상을 가진 세계 패션계에서 한국브랜드, 그것도 남성복을 만드는 여성 디자이너라서 남몰래 눈물 흘리는 밤을 보내야 했던 건 아니었을까. “오히려 그들은 아시아에서 온 한국 여자가 남자 옷을 참 잘 만든다고 말해요. 옷에만 집중하면 돼요. 단, 패션은 커머셜(상업적)한 코드예요. 그게 파리 남자들과 맞은 거예요.”





1/2
글·김민경 주간동아 편집위원 holden@donga.com 사진 제공·솔리드옴므
목록 닫기

SOLID HOMME 우 영 미 디자이너 & 대표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