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https://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5e/53/13/70/5e5313701eafd2738de6.jpg)
[뉴스1]
금융권의 눈길은 손 회장에게로 쏠렸다. 앞서 지난해 12월 30일 우리금융지주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는 회의를 열어 손 회장을 차기 대표이사 회장 후보로 단독 추천하는 안을 만장일치로 결정했다.
당시 손 회장은 임추위가 열리기 나흘 전 금감원으로부터 문책 경고 중징계안을 사전 통보 받은 상태였다. 즉 우리금융 측이 중징계 리스크에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 셈이다. 우리금융 측의 기류는 그대로다. 2월 6일 우리금융 이사회는 간담회를 열고 “기존의 결정된 절차와 일정을 변경할 이유가 없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손 회장 앞에 놓인 선택지는 두 개다. 연임을 포기하거나 행정소송을 통해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을 내는 것이다. 다만 우리금융 이사회가 2월 11일 권광석(57) 새마을금고중앙회 신용공제 대표이사를 차기 우리은행장으로 임명하면서 ‘연임 포기’ 선택지는 사실상 사라졌다. 손 회장이 물러나는 경우라면 신임 회장 선출 후 은행장 인사에 나설 가능성이 컸다. 따라서 권 행장 임명이 ‘손태승 체제’ 유지를 방증한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우리금융은 금융 당국으로부터 손 회장에 대한 제재 결정을 공식 통보받으면 행정소송에 나설 전망이다.
허를 찔린 금감원도 반격에 나서는 모양새다. 최근 금감원은 2018년 7월 우리은행 직원들이 2만3000여 개 휴면계좌 인터넷·모바일뱅킹 비밀번호를 무단 변경한 사건을 제재심에 올리기로 했다. 손 회장의 연임을 결정하는 주주총회는 3월 24일 열린다. 그전에 관련 사건에 대한 제재심이 열리면 손 회장에게는 적잖은 압박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또 금융 당국이 라임자산운용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건을 문제 삼을 가능성도 있다. 우리은행은 시중은행 중 라임펀드를 가장 많이 판매했다. 판매액만 총 3259억 원에 달한다.
한편 1월 7일 경제개혁연대는 “우리금융 임추위와 이사회가 DLF 사태에 책임을 져야 할 손 회장의 연임을 결정한 것은 부적절하다”며 “소비자 피해 재발 방지를 위해 감독 부실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재석 기자
jayko@donga.com
1986년 제주 출생. 학부에서 역사학, 정치학을 공부했고 대학원에서 영상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해 석사학위를 받았습니다. 2015년 하반기에 상아탑 바깥으로 나와 기자생활을 시작했습니다. 유통, 전자, 미디어업계와 재계를 취재하며 경제기자의 문법을 익혔습니다. 2018년 6월 동아일보에 입사해 신동아팀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메가 서울, 왜 살아 있는 뇌관인가
대한항공 직원이 출산‧육아 부담 작은 까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