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원정]
월급도 120만 원 안팎으로,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의사 급여에 비하면 턱없이 적었다. 하지만 그는 마다하지 않았다. “생명의 존엄과 연구 윤리의 중요성을 알리기에 좋은 자리”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김 원장은 “그동안 여러 일을 하면서 돈을 아예 안 받은 때도 있다. 경제적 보상이 적어도 보람되고 재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하면 열심히 했다”며 웃었다.
연세대에서 의료법윤리학 박사학위를 받은 김 원장은 2012년, 국가생명윤리정책원이 문을 열면서 ‘연구부장’으로 합류했다. 이후 2016년 ‘사무총장’을 거쳐 이번에 총책임자 자리에 올랐다. 현재 김 원장 집무실에는 이 세 개의 명패가 모두 놓여 있다. 그는 10명이 채 안 되는 인원으로 출발해 현재 60명 넘는 조직으로 성장한 국가생명윤리정책원의 산 역사이기도 하다.
국가생명윤리정책원은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으로, 연명의료제도 운영 및 관련 연구를 담당한다. 또 대통령 산하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사무국 구실도 한다. 김 원장은 자신에게 부여된 책임을 다하면서 동시에 사회 전반에 생명윤리의 중요성을 알리는 일에도 앞장서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연구윤리는 과학기술 발전을 가로막는 규제가 아니라 연구의 신뢰성, 효율성을 높이는 장치”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김 원장은 “과학 및 의학 분야 종사자가 ‘인간은 무엇인가’를 고민할 때 공동체 발전에 도움이 되는 연구 결과가 나온다고 생각한다”며 “우리 기관이 그들에게 인문학적 소양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