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3월호

이 사람

김명희 신임 국가생명윤리정책원장

‘싸움꾼’ 의사에서 공공기관장으로 변신

  • 송화선 기자 spring@donga.com

    입력2020-02-26 10: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권원정]

    [ⓒ권원정]

    1월 국가생명윤리정책원장에 취임한 김명희(59) 씨는 의료계에서 괴짜로 통한다. 그 어렵다는 의사가 되고도 진료실에 머문 시간이 별로 안 된다. 1991년 대한적십자사에 들어가 우리나라 혈액 관리 문제점을 고발했고, 이른바 ‘황우석 사태’가 한창일 때는 천주교 생명운동단체 ‘한마음한몸 운동본부’에서 일했다. 당시 그가 맡은 직책은 ‘생명운동부장’. 말 그대로 ‘운동’을 진두지휘하는 책임자였다. 

    월급도 120만 원 안팎으로,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의사 급여에 비하면 턱없이 적었다. 하지만 그는 마다하지 않았다. “생명의 존엄과 연구 윤리의 중요성을 알리기에 좋은 자리”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김 원장은 “그동안 여러 일을 하면서 돈을 아예 안 받은 때도 있다. 경제적 보상이 적어도 보람되고 재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하면 열심히 했다”며 웃었다. 

    연세대에서 의료법윤리학 박사학위를 받은 김 원장은 2012년, 국가생명윤리정책원이 문을 열면서 ‘연구부장’으로 합류했다. 이후 2016년 ‘사무총장’을 거쳐 이번에 총책임자 자리에 올랐다. 현재 김 원장 집무실에는 이 세 개의 명패가 모두 놓여 있다. 그는 10명이 채 안 되는 인원으로 출발해 현재 60명 넘는 조직으로 성장한 국가생명윤리정책원의 산 역사이기도 하다. 

    국가생명윤리정책원은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으로, 연명의료제도 운영 및 관련 연구를 담당한다. 또 대통령 산하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사무국 구실도 한다. 김 원장은 자신에게 부여된 책임을 다하면서 동시에 사회 전반에 생명윤리의 중요성을 알리는 일에도 앞장서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연구윤리는 과학기술 발전을 가로막는 규제가 아니라 연구의 신뢰성, 효율성을 높이는 장치”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김 원장은 “과학 및 의학 분야 종사자가 ‘인간은 무엇인가’를 고민할 때 공동체 발전에 도움이 되는 연구 결과가 나온다고 생각한다”며 “우리 기관이 그들에게 인문학적 소양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사람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