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지구촌 곳곳에 교육 한류韓流 수출하겠다

세계로 날갯짓하는 숙명여대

지구촌 곳곳에 교육 한류韓流 수출하겠다

2/2
지구촌 곳곳에 교육 한류韓流 수출하겠다

허톈춘 윈난대 총장

숙명여대는 해외 대학과의 다양한 교류 프로그램을 확보하고 있다. 글로벌 아너스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전공별 성적 우수자를 뽑아 방학기간 중 스탠퍼드, 캘리포니아주립대(버클리) 등 명문 대학에 파견하는 과정이다. 스탠퍼드대학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은 구글, 애플 같은 정보통신(IT) 기업 방문을 비롯한 다양한 현장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 지도교수와 팀을 이뤄 미국 영국 프랑스 핀란드 등의 대학·기관·기업을 탐방하는 프로그램도 호평을 듣고 있다. 지도교수 한 명과 학생 일곱 명이 팀을 이뤄 해외 탐방 프로그램을 자체 기획하는 형식이다. 탐방 때 만난 전문가를 숙명여대로 초청해 네트워크가 지속되게끔 돕는다. 전공 성적은 우수하지만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이 부족한 학생을 호주에 파견하는 프로그램도 선발 경쟁이 치열하다. 선진국뿐 아니라 세네갈,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온두라스 등 저발전 국가로도 학생을 내보낸다. 숙명여대가 결연한 대학은 36개국 230개교에 달한다. 이 같은 노력 덕분에 숙명여대는 2011년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학생 해외파견 부문 4위를 차지했다.

재학생은 캠퍼스 국제화 덕분에 외국에 나가지 않고도 해외 석학, 글로벌 기업 리더의 강의를 서울에서 들을 수 있다. 주한 외국대사를 초청한 강연도 개최한다. 해외 명문대학 강의를 온라인으로 들을 수 있게끔 한 오픈형 지식공유플랫폼(SNOW)도 운영하고 있다. SNOW는 지식 포털 기능을 수행하면서 세계 각국이 축적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돕는 시스템. “SNOW를 숙명의 우수한 교육 콘텐츠를 공유하는 채널로서도 활용할 계획이다. 지식 인프라 확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는 게 숙명여대 관계자의 설명이다.

인바운드(안으로의) 세계화 전략의 일환으로 외국인 학위과정 학생 유치 프로그램도 강화했다. 전공별로 외국인 학생 전담 지도교수를 선정해 정서적 안정과 학업 능력 증진을 돕는다. 외국인 학생과 한국인 학생이 1대1로 동료 멘토(peer mentor)를 맺고 있다. 이 제도는 한국인 학생에게도 인기다. 한국어에 서투른 외국인 학생과 제2외국어로 유학생의 모국 언어를 배우고자 하는 한국인 학생을 연결하는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외국인 학생 유치 확대는 한국인 학생의 글로벌 마인드 함양에도 적지 않은 도움이 된다. 학생들은 외국인 유학생에게 한국 문화를 홍보하는 역할을 하면서 외국 문화를 익힌다. 이 같은 프로그램 덕분에 한중일 대학생 교류사업 시범대학, EU-ICI 교육협력프로그램 시행대학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한국을 세계에 알리다

지구촌 곳곳에 교육 한류韓流 수출하겠다

한영실 숙명여대 총장

숙명여대는 한국학을 세계에 알리는 국제화도 강조한다. 지난해 한국국제교류재단 지원을 받아 시작한 ‘KF Global e-School’ 프로그램은 한국 관련 강의를 들을 수 없는 해외 대학생에게 한국과 관련한 다양한 실시간 화상강좌 및 세미나를 제공한다. 한국학 발전을 도모하고 국내외 교육·연구 기관 간 교육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게 이 프로그램의 목적이다. 베트남 하노이대에선 숙명여대가 제공하는 ‘한국 대중문화의 이해’라는 강의가 특히 인기다. 또한 숙명여대가 개설한 한국문화 콘텐츠 도서관은 한국학과 관련한 연구 자료를 세계 각국 대학과 공유하는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했다



베트남 하롱베이에 짓고 있는 숙명문화원은 숙명여대의 해외분원 격으로 한국 문화를 가르치면서 아시아 지역 발전에 기여할 핵심 인재를 육성한다. 베트남 학생들을 한국-베트남 간 문화 교류 분야의 리더로 키워낼 계획이다. 중국, 베트남뿐 아니라 다른 아시아 국가에도 숙명문화원을 설립해나갈 계획이다.

한영실 총장의 설명이다.

“안으로의 국제화를 넘어서 한국과 한국학을 해외에 전하는 밖으로의 국제화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문화적 동질성이 큰 아시아 지역부터 시작해 서구로 확대할 계획이에요. 베트남 하롱베이와 중국 윈난성에 숙명문화원을 설립하고 그곳의 뛰어난 학생을 숙명여대로 초청해 한국과 함께 세계를 배우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려고 해요. 하롱베이에서 윈난대가 위치한 중국 쿤밍까지 자동차로 6시간이 걸립니다. ‘윈난의 숙명여대’ ‘하롱베이의 숙명여대’가 선으로 연결되고 종국에는 아시아를 아우르는 면을 이루는 겁니다. 베트남 정부는 하롱베이 일대에 싱가포르와 상하이를 아우를 허브항구를 개발하고 있어요. 하롱영재고등학교 학생들이 외국인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숙명여대로 공부하러 오고 있습니다. 우리 대학을 졸업하면 전원 신한은행에 입사하는 조건이에요. 장학금도 지급해요. 하롱영재고 남학생들이 불만이 많다고 해요. 우리는 왜 숙명여대 못 가느냐고. 안쓰럽지만 어떡해요. 우리 학교가 여자대학인데….”

베트남에 약학대학 건설

한 총장은 베트남에 약학대학을 짓고 있는 것도 자랑했다.

“숙명여대 약학대학이 한국 정부가 개발도상국 대상 원조사업인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프로젝트 일환으로 추진하는 베트남 하노이약학대학(Hanoi University of Phar-macy) 신 캠퍼스 건설 사업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어요.”

이 프로젝트는 정부가 신설한 개발도상국 개발원조 사업. 베트남에 50억 원의 차관을 제공해 하노이 근처에 학생 5000명이 공부하는 캠퍼스를 건설한다. 한국의 우수한 약학교육을 개발도상국에 이식하겠다는 것. 숙명여대는 서울대, 영남대, 전남대, 충남대, 강원대와 경합을 벌여 이 프로젝트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 하롱베이에 짓고 있는 숙명문화원에 덧붙여 베트남 교육시장을 공략하는 발판구실을 할 것으로 보인다.

숙명여대는 여자대학으로는 드물게 민족의 자긍심을 강조한다. 그런 숙명여대가 민족을 넘어 세계로 날갯짓하고 있다. 세상을 바꾸는 부드러운 힘, 숙명여대가 죽순 돋듯 진행하는 세계화를 통해 어떤 대학으로 거듭날지 자못 궁금하다.

지구촌 곳곳에 교육 한류韓流 수출하겠다


신동아 2012년 6월호

2/2
이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목록 닫기

지구촌 곳곳에 교육 한류韓流 수출하겠다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