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론 전세시장 이야기다. 국민은행에 따르면 2월 현재 강남권 아파트의 매매가 평균은 평당 3500만원선이며 가끔 5000만원대 아파트도 눈에 띈다.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에서도 특히 신규분양 아파트라면 매매가가 평당 1000만원대를 밑도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 얼마 전 분양된 경기 용인시 흥덕지구 아파트 값이 평당 900만원대에 근근이 맞춰지기는 했다. 건설업체들이 토지공사를 통해 싼 값에 토지를 불하받은 데다 분양가 상한제 적용을 받기 때문. 그나마 업체에서 발코니 확장 등을 앞세운 ‘각종 옵션’을 끼워 넣은 바람에 사실상 분양가는 11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으로 이와 비슷한 입지조건을 갖춘 지역에서 민간업체가 분양하는 아파트 값은 이보다 20~30% 비쌀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비록 정부가 투기과열지구 내에서 민간건설사들이 아파트를 분양할 때 원가를 공개하기로 방침을 굳혔지만, 토지수용단계부터 높은 땅값이 반영되기 때문에 가격을 낮추는 데도 한계가 있다.
실제로 상반기에 용인 수지지역에서 분양을 계획 중인 현대건설, 삼성건설 등은 주변 아파트 시세를 고려해 평당 분양가를 1500만원대로 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닥터아파트가 지난 1월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김포, 파주 등 이미 분양이 진행 중인 ‘2기 신도시’ 지역 아파트 역시 평균 평당가가 1000만원을 돌파했다.
고속철도 천안아산역 주변에 조성되는 아산 신도시는 그런 면에서 보면 아직은 신선하다. 지난해 말 분양된 첫 사업장(29, 33평형 1102가구)에서 평당가 670만~680만원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해 주공에서 분양한 물량이라는 점, 수도권도 아니고 광역시도 아닌 충남의 인구 20만 규모 도시라는 조건 등을 따지면 ‘놀랄 일이 아니지 않냐’고 반문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속사정을 들여다보면 꼭 그렇지만은 않다.
당장 천안아산역 천안쪽 방향에 조성된 천안시 불당, 쌍용지구 아파트 단지들을 살펴보자. 입주 3년차를 맞았지만 아이파크나 동일하이빌 등 인기 단지의 중대형 평형은 평당 900만~1000만원대를 기록하고 있다.
10년 전부터 개발 추진
아산 신도시는 규모나 발전 가능성에 비해 부동산시장에는 덜 알려져 있다. 행정구역상 충청권으로 분류되기에 ‘수도권과는 상관없는 곳’이라는 고정관념이 있는 데다, 그나마도 행정도시 이슈에 묻혀 ‘아산 신도시’ 자체 브랜드에 대해 목소리를 낼 기회가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보면 행정도시 개발계획이 없던 1994년 건설교통부가 “아산군 일부를 현대적 택지지구로 만들고 건교부 등 일부 정부부처와 산하 공공기관의 이전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는 사실은 의미심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