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2050 세대공감 프로젝트’

대학 신입생 아들과 아버지의 e메일 대화

“스무 통의 편지가 오가는 사이 우리는 설레고 통(通)하였다”

  • 최영록 성균관대 홍보전문위원 / 최한울 성균관대 사회과학계열 2학년

대학 신입생 아들과 아버지의 e메일 대화

1/7
  • 지난해 재수 끝에 대학에 들어간 아들은 여자친구와 데이트하느라 여념이 없는 듯했다. 한심스러웠다. 당연히 부자간의 대화는 갈수록 엉망이 됐다. 그런데 문득 30년 전을 돌아보니 나도 그 시절, 어른이 된 듯 행동했던 것 같다. 아들에게 불쑥 편지 주고받기를 제안했다. 그렇게 해서 ‘2050 강 뛰어넘기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한 달에 한 번이면 어떻고, 내가 다섯 통을 쓰도록 아들이 한 통밖에 안 쓴들 어떠랴. 일단 시작했고 20여 통의 e메일을 주고받았다. 지금도 ‘진행형’인 아들과의 e메일 프로젝트 중 지난해 주고받은 편지 일부를 공개한다. 아무쪼록 이 세상의 아버지와 아들이 남자 대 남자로 속을 터놓는 그날을 앞당기는 데 보탬이 됐으면 한다.
〈 아버지 〉 2006-05-22 “부자간에도 설렘이 있다”

대학 신입생 아들과 아버지의 e메일 대화

e메일 대화의 주인공 최영록(왼쪽)·최한울 부자.

아들아. 이제 본격적으로 우리들의 프로젝트를 시작하자꾸나. 이 프로젝트는 당분간 우리들만의 이야기로 하자. 내 생각에 이건 굉장히 기특한 생각이다. 이제 성인이 된 아들과 50줄에 들어선 아비가 살아가면서 겪고 느끼고 생각한 것을 허심탄회하게 털어놓는다는 게 말이지. 나는 나대로 고리타분한 충고보다 너의 미래에 피가 되고 살이 될 지식이나 정보를 불어넣을 것이다. 네 편지는 너희 세대를 이해하지 못하는 부모 세대에게 너희를 이해시키는 마당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나는 마음이 부푼다. 가벼운 흥분까지 인다. 약속을 하자. 편지를 받으면 늦어도 2~3일 내에 ‘답멜’을 보내자. 메일을 보낸 후 ‘답멜’을 받을 때까지 그만큼의 설렘이 있을 것이다. ‘어린 왕자’에서도 읽었지? 여우가 왕자를 4시에 만나기로 하면 3시부터 스쳐가는 발걸음 소리에도 귀를 기울이게 된다. 이런 설렘은 이성 간에만 존재하는 게 아니다. 친구 간에, 부자간에, 형제 간에, 다른 모든 관계 속에도 늘 이런 떨림이 있어야 한다. 네가 흔쾌히 응해줘서 무척 고맙다. 일주일 전만 해도 사는 게 악몽 같았으나 이제 어둡고 긴 터널을 지나 환한 세상이 우리 앞에 전개되는 느낌이다.

나는 여기 이 마당에 모든 것을 다 쏟아 부을 것이다. 언젠가 편지에 쓴 것처럼 ‘내가 읽은 모든 페이지를’ 고스란히 너에게 전해주고 싶은 욕망이 있다. 그것을 바탕으로 너는 발전하고 전진해야 할 것이다. 그렇다고 너무 무겁게 받아들이지 마라. ‘지나치면 부족함만 못하다’(過猶不及: 猶는 오히려 유, 도리어 유로 읽는다)와 ‘출필고 반필면’(出必告 反必面: 나고드는 출입을 꼭 부모에게나 주변에 알리라는 뜻이다)을 오늘의 화두로 던진다.

〈 아들 〉 2006-05-22 “내 최고의 야망은 아버지”



오늘 ‘싸이’(싸이월드 미니 홈페이지-편집자주) 다이어리에 이렇게 썼습니다.

“지난 석 달간 내가 알게 된 사람들은 참 글을 잘 쓴다. 자기 생각을 분명히 표현할 줄 안다. 그 사람이 누구인지 확실히 알게 해준다. 무슨 생각을 하고 살며 어떤 것을 추구하는지. 그런 면에서 난 ‘꽝’이다. 내가 써놓은 글을 보면 종잡을 수가 없다. 하긴, 글이라고 하기에도 부족하지. 한 사람의 글에는 그 사람이 오롯이 담겨 있다. 깊이 있는 글을 쓰고 싶다. 그러려면 내 자신이 깊어져야겠지. 아직은 깊이 있는 글을 쓸 수가 없다.”

그냥 느낀 점만 마구 갈겨놓은, 글이라고 하기엔 너무 창피한 글입니다. 하지만 제 진심은 아시겠죠? 요즘엔 어떤 책을 봐도 끝까지 보기 힘들고 금세 졸리고 별로 한 것도 없는데 피곤하기만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깊이 있는 글이라니.

‘백수의 월요병’(아버지 최영록씨가 2005년에 펴낸 수필집-편집자주)만 보면 아버진 깊이 있는 글을 쓰는 것 같지 않습니다. 책 낼 때 출판사 사람들이 깊이 있는 글을 뺐다고 그러셨죠. 이제 알겠습니다. 아버지가 보내주신 메일, 그동안 쓰신 칼럼 등을 보면 아버지의 글이 꽤 깊이 있다는 걸 저도 알겠더라고요. 제 글의 목표는 아버집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야망 중 현재 최고의 야망은 아버지네요. 그러고보니 평론가나 칼럼니스트가 가장 가까운 꿈이네요. 대체 뭐가 뭔지. 이 버릇부터 고쳐야겠습니다. 잘나가고 있다가 옆길로 팍 튀어버리는 버릇. 책을 읽어야겠습니다. 자꾸 책 밖으로 나가려는 눈을 고정시키고 책을 봐야겠습니다.

1/7
최영록 성균관대 홍보전문위원 / 최한울 성균관대 사회과학계열 2학년
목록 닫기

대학 신입생 아들과 아버지의 e메일 대화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