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세계 시장(市長)들, 서울에서 ‘구로선언’ 채택

‘디지털 구로’ 세계 도시행정과 첨단 IT 결합 선도

세계 시장(市長)들, 서울에서 ‘구로선언’ 채택

1/2
  • 지난해 지방선거 당시 구로구청장 선거에 나선 한 후보는 “구로구의 이름을 바꾸겠다”고 공약했다. 그는 비록 낙선했지만 지역구의 칙칙한 이미지를 개명(改名)으로 단번에 바꿔보겠다는 발상이 유권자들 사이에 화제가 됐다. 산업화시대 산업역군의 꿈과 땀이 서린 구로공단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지 오래지만, 대중의 머릿속에 각인된 구로의 이미지는 쉽게 바뀌지 않고 있다. 그러나 구로는 거듭 대변신을 꾀하고 있다. 최근 세계 여러 도시의 시장들이 서울에 모여 ‘전자정부’에 대한 고민을 나누고 ‘구로선언’을 채택해 눈길을 끈다.
세계 시장(市長)들, 서울에서 ‘구로선언’ 채택
‘구로’ 하면 뭐가 떠오르는가. 구로는 1960년대 국가산업단지로 조성되기 시작해 1980년대 말까지 섬유·봉제 등 제조업의 메카였다. 지난 2000년 구로공단이 서울디지털산업단지로 이름을 바꾸고, 지하철 2호선 구로공단역도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이름이 바뀌었지만, 산업화시대 고도성장을 일궈낸 공장의 뜨거운 열기와 노동자들의 절절한 애환은 사람들의 기억에서 쉬 지워지지 않는 모양이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옛 구로공단 터는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과거 작업복 입은 여공들이 소박한 꿈을 키우던 그곳에 현재는 크고 작은 벤처기업이 밀집한 대형 건물이 단지를 이루고 있다. 구로구는 미국의 실리콘밸리를 능가하는 첨단산업의 메카로 거듭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아시아 최초의 GCD 행사

2월7일부터 사흘간 구로구가 주관한 ‘2007 국제 전자 시민참여 포럼’은 이렇듯 강한 환골탈태 의지의 결정체다. ‘민주주의 증진과 지역발전’이라는 주제로 신라호텔에서 열린 이번 국제포럼은 아시아 지역에서 열린 최초의 GCD(The Global Cities Dialogue·세계도시연합) 행사로 한국, 미국, 프랑스, 중국 등 세계 16개국 25개 도시 시장(帳)이 참석했다. GCD는 1999년 유럽 20여 개 도시가 핀란드 헬싱키에 모여 ‘정보화시대에 인종, 계층, 성별, 종교에 구애하지 않고 전세계 시민이 고르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하고 도시간 대화와 협력을 다짐한 ‘헬싱키 선언’에서 비롯됐다. 현재는 회원 도시가 200여 곳에 이른다.

구로구는 이번 행사에서 구로가 기술적으로나 이론적으로 세계 정보 격차 해소에 앞장설 수 있음을 증명해 보이려고 애썼다. 행사장에 ‘IT홍보전시관’을 만들고 구로구에 근거지를 둔 IT업체들의 우수한 기술과 제품을 선보이는가 하면, ‘전자정부관’을 만들어 이 같은 한국의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구(區) 행정에 속속 도입되고 있는 전자정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소개했다. 전자결재시스템, 무인민원발급기, 휴대전화 여론조사 시스템, 맞춤형 입찰정보시스템, 사이버 문화센터, 모바일 행정관리시스템 등이 외국 관료들로부터 호평을 얻었다. 행사 첫날엔 전자정부 시스템이 민주주의 실현과 지역발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세계적인 이론가들을 초청해 발표를 듣고 토론을 진행했다.



영국 옥스퍼드대 윌리엄 더튼 인터넷 연구소장은 개막식 기조연설에서 ‘거버넌스와 공공정책에서의 시민 참여의 재구성’에 대해 이야기했다. 더튼 교수는 “지난 수십년 동안 비전을 가진 사람들, 주로 지방정부가 공공정책에 대한 시민 참여를 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인터넷 등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려 노력했다”며 “그 결과 국정운영 혹은 지방자치행정 및 공공정책 참여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터넷 非사용자를 설득하라

그는 그렇게 바뀐 판도를 “‘온라인’ 상태가 아닌 시민은 정부와 정치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 설명했는데, 다소 극단적이지만 정보화시대의 현실을 직시한 표현이다.

그렇다면 이 같은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 더튼 교수는 “인터넷 비(非)사용자들이 인터넷을 이용해보고 그 가치를 직접 경험하게 해야 한다”고 답한다. 인터넷은 사용해봐야 가치를 알 수 있는 경험적 기술이기 때문이다. 더튼 교수는 또 “공공 정보에 대한 시민의 접근 방법을 개선하고, 시민과 시민, 시민과 정부간 협의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와 정치가들이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을 창조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1/2
구미화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hkoo@donga.com
목록 닫기

세계 시장(市長)들, 서울에서 ‘구로선언’ 채택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