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세계 시장(市長)들, 서울에서 ‘구로선언’ 채택

‘디지털 구로’ 세계 도시행정과 첨단 IT 결합 선도

세계 시장(市長)들, 서울에서 ‘구로선언’ 채택

2/2
세계 시장(市長)들, 서울에서 ‘구로선언’ 채택

구로구가 주관한 이번 국제포럼엔 ‘전자정부’ 관련 이론가들과 세계 여러 도시 대표들이 참석해 정보를 교환했다.

이 밖에 핀란드 탐페레대 아리베이코 안티로이코 교수가 ‘전자민주주의의 개념과 이슈, 미래’를 주제로 발표하고, 클레이 웨스커트 미국 아시아태평양 거버넌스 연구소장은 아태(亞太)지역의 전자정부와 시민참여 현황에 대해 설명했다. 아태지역은 정보통신기술 보급률이 나라마다 들쭉날쭉한데, 그중 한국·싱가포르·홍콩·필리핀이 전자정부와 전자 시민참여에 있어 강국으로 분류됐다. 웨스커트 소장은 “정보통신기술 사용이 확대되면 시민과 공무원이 직접 대면할 일이 줄어들어 부정이 발생할 확률도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행사 둘째 날엔 GCD 회원 도시의 대표들이 모여 ‘전자정부와 시장의 리더십’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그리고 이 자리에서 ‘구로선언’을 채택했는데, “전자정부와 전자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전세계 도시가 디지털 네트워크를 구축, 국제적 협력을 강화한다”는 내용의 3가지 실천 방안이 담겨 있다.

‘구로선언’ 채택에 앞서 앙드레 상티니 GCD의장(프랑스 이시레물리노시장)은 “GCD 회원도시는 ‘헬싱키 선언’에서 채택한 ‘브레멘 헌법’을 준수하며 정보 공유를 위해 노력해야 하는데, ‘구로선언’은 그 효력이 ‘브레멘 헌법’에 우선한다”고 밝혔다. 정보화시대의 도시간, 계층간 정보 격차를 국제적 협력으로 극복하자는 ‘헬싱키 선언’을 실천하기 위해 만들어진 GCD가 정보 격차 해소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전자정부를 지향하기로 뜻을 모으고,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한 국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것이다.

디지털 도시화에 청신호

‘헬싱키 선언’의 업그레이드이자 구체화라고 볼 수 있는 선언이 구로에서 채택된 것에 양대웅 구로구청장은 큰 자부심을 내비쳤다. 그는 특히 1968년 세계산업박람회를 개최하고 산업화시대 고도성장을 견인했던 구로가 40여 년 만에 아시아지역 최초로 ‘국제 전자 시민참여 포럼’을 주관하고 ‘구로선언’까지 선포한 것을 첨단 디지털 산업단지로 확실하게 자리매김하는 신호탄으로 해석했다.



“‘구로선언’이 채택됨으로써 구로가 세계 도시간 정보 공유 및 전자정부화(化)를 선도하게 됐습니다. ‘구로선언’이 구로디지털단지 내 기업의 해외 진출 교두보가 될 것입니다.”

지방자치단체로서 세계 지방정부의 행정가들과 지식인 200여 명이 참여한 대규모 국제 행사를 무리 없이 진행함으로써 도시의 명성을 높이고, ‘구로선언’이라는 소기의 성과를 남긴 ‘2007 국제전자 시민참여 포럼’은 초청인사 구로디지털산업단지 방문 및 한국전통문화체험으로 마무리됐다.

한편 구로구가 주관하는 행사를 구로구 안에서 소화할 수 없었던 것은 ‘구로 잔치’에서 아쉬움으로 남는 점이다. ‘시민 참여’를 위해 고민하는 포럼에 시민 참여가 저조했던 것도 같은 이유일 것이다.

덧붙여 이번 행사가 그야말로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구로의 이미지를 바꾸는 촉매제가 되기 위해선 구로구가 당초 계획했던, 환경·교통·교육 등을 모두 개선하는 새 구로 청사진이 차질 없이 실행으로 옮겨져야 할 것이다.

신동아 2007년 3월호

2/2
구미화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hkoo@donga.com
목록 닫기

세계 시장(市長)들, 서울에서 ‘구로선언’ 채택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