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바마 미국 대통령도 ‘추인’에 나섰다. 지난 4월 말 미일 정상회담 때 오히려 “미국은 AIIB에 공식적으로 반대한 적이 없다”고 공언하며 우방 일본이 AIIB에 가입하는 것을 은근히 용인한 것은 물론, 더 많은 지분을 확보해 자국을 대신한 ‘대리 견제’가 가능하도록 멍석을 깔아주기도 했다. 어찌 보면 영국 덕택에 AIIB의 존재감이 순식간에 커졌다고 할 수 있다. 유무형의 여러 외교적 부담을 감수하고 영국이 먼저 중국에 다가가 손을 내민 것은 인프라 건설 자체에서 파생되는 경제효과는 물론, 자금조달과 외환거래 시장의 상당부분에서 플랫폼으로 활용될 영국이 얻어낼 이익 규모가 막대하다는 속셈에서 비롯됐을 것이다.
런던 금융시장은 국가 간 은행 대출, 외환 거래, 장외 파생상품 거래, 국제 채권 거래, 해상보험료 수입 등에서 세계 1위다. 외국 주식 거래, 자산 운용업, 헤지펀드 자산 규모 등에서도 세계 2, 3위 수준이다. 영국의 연간 국내총생산(GDP)은 2조8500억 달러로 한국의 2배 수준. 세계 6위권이다. 제조업 기반이 마땅치 않고 고령화의 진전으로 인해 장밋빛 성장이 예상되지는 않는다. 다만 금융산업이 통계상 GDP의 약 10%를 차지하는데, 컨설팅 · 법무와 같은 파생 서비스업 및 인터넷은행, 핀테크 등 온라인 산업에 미칠 효과 등을 감안하면 존재감은 훨씬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세계의 돈줄을 쥐다
특히 영국과 더불어 양대 금융시장인 미국은 자국과 상대국 간 거래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지만, 런던 시장은 아시아 · 태평양 및 아메리카 대륙과 중간적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제3국 간의 거래 · 결제 비율이 높다. 금융시장 참여자는 거래에 따라 이득도 손해도 볼 수 있지만, 금융시장 자체는 ‘판’을 깔아놓는 것만으로도 안전한 ‘자릿세’를 받는다. 라스베이거스 같은 근사한 도박장을 차려놓고 참여자들로부터 일정 비율의 수수료를 떼는 개념이라면 너무 심한 비약일까.
영국발 두 번째 관심 뉴스는 케이트 미들턴 왕세자비가 왕실 순위 ‘넘버 4’가 될 공주를 나았다는 소식이다. 세계 각지에서 축하 일색인 것을 보면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다’는 상징적 존재 이상의 힘이 느껴진다.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인도 등 과거 영국 식민지 국가였다 독립한 영연방국가(Commonwealth Countries) 54개국이 아직도 표면적으로 영국 여왕을 군주로 모시고 있다. 영연방끼리는 대사(Ambassador) 대신 고등판무관(High Commissioner)을 파견하고, 여왕을 대신하는 의미로 총독도 보내고 있다.
이런 세계적인 공감대랄지 합의는 짧게는 2세기 전부터 영국이 앞장서 시작한 제국주의의 발현과 관계가 깊다. 산업혁명 시기를 거치면서 미국, 독일, 일본, 중국보다 훨씬 앞서 ‘세계의 공장’을 자임했다가 이제는 ‘세계의 은행’으로 자리매김하며 ‘땅 짚고 헤엄치며 돈 버는’ 시장을 구현하고 있다. 유럽 · 아메리카 · 중동 · 아시아 · 아프리카 등 모든 대륙에 걸쳐 ‘패권’을 행사한 영국이 2차대전 이후 미국에 밀려 쇠락한 게 아니냐는 목소리도 있다. 하지만 아직도 조용히 세계의 ‘돈줄’을 쥐고 있다는 건 부인하기 어렵다.
중개의 귀재
세계의 돈이 각국의 표기 통화와 그 교환가치에 맞춰 거래되는 외환시장(Foreign Exchange Market)이야말로 전 세계 금융시장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다. 1971년 닉슨 미 대통령이 금 일정량에 달러 교환가치를 연동시킨 ‘금-달러 본위제’를 폐기한다고 선언한 이후 1973년부터 세계적으로 변동환율제가 정착되면서 외환시장은 급속히 확대됐다. 1980년대부터 세계무역량 확대에 따른 자본거래가 급증하고, 1990년대부터는 환거래 때 위험 회피 등을 목적으로 한 파생상품이 등장하는 등 양적, 질적 성장이 두드러졌다.
국제결제은행(BIS)이 각국 중앙은행의 협력을 통해 3년에 한 번씩 시장조사를 실시해 세계 시장별 통화별 거래량을 발표하는데, 가장 가까운 2013년 4월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1일 평균 외환거래량은 5조3400억 달러로, 한국 연간 GDP의 4배에 가까운 규모다. 3일간의 외환거래량이 전 세계 1년간 무역 거래량(18조 달러)에 육박할 정도다.

시진핑 중국 주석(앞줄 왼쪽 네 번째)등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에 참여한 국가의 대표들. 영국이 가입하면서 동참한 국가가 57개국으로 크게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