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엔저 가속화 한계 뚜렷 그래도 장기화 대비해야

‘수직낙하’ 엔화, 하반기 전망은?

엔저 가속화 한계 뚜렷 그래도 장기화 대비해야

1/3
  • ● 100엔당 890~910원 오르락내리락
  • ● “1달러당 120엔은 너무해”…아베 정권도 걱정
  • ● 美 금리인상→신흥국 금융불안→엔고원저?
  • ● 엔저 힘입은 日 기업 “글로벌 체력 강화 중”
엔저 가속화 한계 뚜렷 그래도 장기화 대비해야

원/엔 환율 장중 900원 선이 붕괴된 4월 28일 서울 을지로 외환은행 본점 딜링룸.

불과 3년 전만 해도 100엔당 1412원(2012년 평균)이던 원/엔 환율이 4월 28일 890원대로 하락했다. 이후 5월 중순 현재까지 890~900원 사이를 오르내리고 있다. 유력 신용평가회사 피치가 4월 27일 일본 국채 신용등급을 A+에서 A로 한 단계 낮췄다는 소식도 엔저를 부채질했다. 한국의 신용등급이 일본보다 두 단계 높은 상황이 되면서 ‘엔저원고’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일본 엔화의 약세는 2012년 말 아베 신조 정권 출범에 이어 2013년 3월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가 취임해 대폭적인 양적금융완화 정책을 실시하면서 가속화했다. 다만 금융완화에 의한 엔저는 다소 주춤해진 양상이다. 엔/달러 환율은 지난해 12월 5일 1달러당 121엔을 기록한 후 118~121엔의 박스권을 못 벗어나고 있다. 미국이 곧 금리를 인상하고 일본은 금융완화 정책을 추가 단행할 것이라는 시장의 예상에도 불구하고 달러당 120엔을 넘은 데 대한 경계심리가 강한 것이다.

日 경제성장률 0%

사실 미국의 금리인상 기대가 다소 식은 건 분명하다. 1분기 미국 경제성장률은 0.2%에 그쳤다. 연초의 한파, 서해안 부두의 파업, 셰일가스 및 오일산업의 위축 등이 영향을 미친 탓이다. 달러화 강세에 따른 무역수지 적자 급증으로 1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수정될 것이란 예측도 있다. 게다가 미국 경제의 성장세 둔화가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는 견해가 스멀스멀 나오고 있다. 2분기 성장률마저 0%대에 그친다면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금리인상은 지연될 수 있다.

반면 연초 우려되던 신흥국 금융불안은 아직 가시화하지 않아 달러화 강세 현상이 주춤한 상태다. 그리고 엔화에 비해 원화가 강세를 보이는 최근의 경향 때문에 엔/달러로 본 엔저 횡보 속에서 엔저원고 현상이 나타난다고도 할 수 있다.



올 하반기 엔화 환율은 어디까지 추락할까.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 ‘아베 정권’이라는 엔저 요인과, ‘달러 강세’라는 엔고 전환 요인이 혼재한 탓이다. 눈앞이 흐릿할수록 ‘맞는’ 지표(指標)를 골라야 한다. 우리가 유념할 지표는 일본은행의 추가 금융완화 가능성,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 등이다.

구로다 총재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2%대로 끌어올리기 위해 지난 2년간 금융완화에 주력했다. 그러나 이런 노력에도 물가 상승세가 주춤하고 있어 추가 금융완화에 대한 기대가 줄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해 금융시장은 일본은행이 아예 기존 목표를 수정할 가능성을 점쳐왔다. ‘물가상승률 2%대’에서 후퇴한다면, 추가 금융완화 필요성이 줄면서 엔저에서 엔고로 전환할 수 있다.

양적금융완화란 일본은행이 시중은행으로부터 일본 국채 등을 매입하고, 현금과 시중은행의 중앙은행 당좌예금으로 구성되는 본원통화를 확대하는 정책이다. 본원통화를 늘리면 일본의 은행들이 융자를 늘려 총통화가 확대되고 경제가 활성화해 자연스럽게 물가도 오를 것으로 기대됐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엔저 현상이 나타나 수출이 늘고 수입 물가는 올라가기 때문에 물가가 더 오를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엔저에 따른 수출 증대 효과가 물량 면에서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지난해 일본의 경제성장률은 0% 수준에 그쳤다. 본원통화를 확대했는데도 대출이 크게 늘지 않아 내수가 회복되지 않았다. 일본은행의 물가 상승 유도와 소비세 인상에 따른 물가 상승효과로 2014년 일본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수치상으로는 2%를 넘었지만, 소비세 인상이 실질임금의 감소로 이어져 오히려 소비부진 요인으로 작용했다.

1/3
이지평 |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jplee@lgeri.com
목록 닫기

엔저 가속화 한계 뚜렷 그래도 장기화 대비해야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