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이명박 아킬레스건’ 3大 재산 논란의 실체

서초동 꽃마을·도곡동 1313평·처남 회사

‘이명박 아킬레스건’ 3大 재산 논란의 실체

2/10
‘이명박  아킬레스건’ 3大 재산 논란의  실체

1988년 3월11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 법조타운(검찰청·법원) 부근 속칭 꽃마을 일대. 원인모를 화재가 발생해 철거민 비닐움막집 11개동이 불에 탔다.

▼ 자, 에리카 김이 누굽니까.

“개략적으로 이야기할 때 사건의 구체적인 점은 차치하고라도, 이명박 시장님이 경제인으로서 사기를 당했다는 것은 문제가 있습니다.”

▼ 그런데 에리카 김에 대해서 사기를 당한 이명박 시장이 왜 3월이면 위기를 당합니까, 어떤 문제 때문에….

“지금 미국에 체포돼 있는 모양인데, 에리카 김의 동생이. 이분이 한국에서 범인인도 요청을 했대요.”

열린우리당 한 의원은 “이명박 전 시장의 출생, 재산, 병역, 가족, 서울시정(버스·청계천·상암DMC), 선거법 위반, 운하 등 여러 포인트 중 향후 핵심은 바로 ‘재산’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그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이명박 전 시장은 2002년 서울시장이 된 뒤엔 대선을 염두에 두고 자기관리에 비교적 관심을 기울였을 것이다. 출생의 비밀, 숨겨둔 자식, 군 면제 등은 다소 사생활적 사안이거나 자료 확보에 큰 어려움이 뒤따른다. 또한 자료의 신뢰성 문제도 있다. 운하 등 정책 검증으로는 대세론을 꺾기 힘들다.

그러나 재산 문제는 다르다. 이 전 시장은 신고가액으로 180억원대 재산가다. 주로 강남권 부동산이다. 뭔가 나올 여지가 있다. 여권은 이번 대선 구도를 ‘20% 기득권층 대 80% 서민·중산층 대결’로 잡을 수밖에 없다. 사회 양극화 문제를 집중 제기해야 한다. 한나라당 유력 주자인 이 전 시장이 ‘강남 부자’라는 것은 호재다. 이 전 시장과 관련된 돌발적 이슈가 터져나오지 않는 한 ‘이명박 재산’은 소재 면에서나 구도 면에서나 최대 검증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이명박 검증의 핵은 재산”

일리 있는 논리로 들렸다. 그래서 이번에는 ‘재산’ 한 가지만 갖고 심층적으로 따져보기로 했다. 여권 여러 인사를 상대로 이 전 시장의 재산형성 문제와 관련된 몇 가지 증언 및 자료를 받았다.

그 결과 이 전 시장의 재산관련 문제는 시기적으로 현대건설 재임시절 및 첫 공직자 재산공개시점(1993년)인 1970년대부터 1993년 사이, 다스 및 김경준 사건이 발생한 1990년대 후반으로 한정된다. 이 전 시장은 나머지 기간인 1994~1996년(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 상실), 2002년 서울시장 재임 이후 현재까지는 특별한 경제활동이 없었다.

이에 따라 이 전 시장에게 영향을 줄 만한 재산 문제는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꽃마을 투기 논란 ▲서울시 강남구 도곡동 1313평 은닉 논란 및 현대건설 재임시절 관련 논란 ▲처남 관련 두 회사(건설회사, 다스) 및 김경준 사건 논란으로 나뉠 수 있다.

〈 서초동 꽃마을 투기 논란 〉

1993년 9월 사상 처음으로 국회의원 재산공개가 실시됐다. 이명박 전 시장(당시 의원)은 274억20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2006년 신고가액 179억원). 그의 재산 중 부동산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특히 서초구 서초동에 4건의 부동산이 있었다.

서초동 1717-1번지 대지 1082㎡(신고가액 80억원), 서초동 1718-1번지 대지 692㎡와 1718-2번지 대지 862㎡(60억원), 서초동 1709-4번지 빌딩(대지 1245㎡, 건물 5792㎡, 108억2900만원) 등이었다. 이 전 시장은 이중 서초동 1718-1번지, 1718-2번지를 93년 6월19일 서울지방변호사회에 60억원에 매도했다.

이들 4개 부동산은 법조타운(검찰청사, 법원청사) 주변에 모여 있다. 그런데 1993년 당시 사회 유력인사들이 서초동 법조타운 개발 시점에 맞춰 그 일대 지역에서 부동산 투기를 했다는 논란이 있었다.

1973년 서울시 서소문에 있던 법원, 검찰청 이전계획이 발표된 이후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공직자, 법조인, 재계 인사 등이 법조타운 예정지 부근 토지를 사들여 큰 시세차익을 봤다는 게 투기 논란의 얼개다. 서초동 서울중앙지법 청사는 1985년 8월26일 착공해 1989년 6월30일 준공됐다. 그 옆 서울중앙지검 청사도 비슷한 시기인 1989년 7월14일 준공됐다. 1970년대 초부터 1990년대 초 사이 법조타운 부근 땅은 무려 1만배 이상 값이 올랐다(1970년대 초 법조타운 이전 발표 이전엔 평당 4000원, 법조타운 이전 완료 후인 1990년대 초엔 평당 4000만원).

2/10
허만섭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shue@donga.com
목록 닫기

‘이명박 아킬레스건’ 3大 재산 논란의 실체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