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 전 회장은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5년과 2007년 두 차례 사면됐다. ‘사면 경로’를 놓고도 해석이 분분하다. 새정치민주연합 전해철 의원은 “1차 사면 때는 야당인 자유민주연합(자민련) 김종필(JP) 명예총재의 의중이 반영됐다”고 주장했다. 당시 성 전 회장은 회사 돈 16억 원을 빼돌려 자민련에 불법 기부한 혐의로 기소됐다. 반면 정진석 전 의원은 “자민련은 당시 3~4인 정당으로 쪼그라들었는데 누굴 추천한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반박한다.
두 번째 사면은 2007년 12월 MB가 대통령에 당선된 직후 단행됐다. 성 전 회장은 당초 사면 대상자 74명 명단에서는 빠졌다가 4일 뒤 포함돼 의혹이 불거졌다. 노무현 정부 관계자들은 “후임 대통령을 고려한 사면으로, MB측 요청에 따라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MB 측에서 사면 청탁을 했다는 취지였다. 1차는 JP, 2차는 MB의 뜻이라는 주장. 노 정부 이호철 전 민정수석의 주장은 조금 더 구체적이다.
“성 전 회장은 양윤재 전 서울부시장과 함께 인수위 요청으로 사면 대상에 포함된 것이다. 그 정도 인물이 포함되려면 당선인(MB)이 직접 부탁했을 거다.”
“인수위 요청” vs “논의 안 해”
2007년 12월 28일 당시 노 대통령과 이명박 당선인 간 만찬 회동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들린다.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던 문재인 새정연 대표는 “만찬 회동이 성 전 회장 사면 분위기에 도움을 줬을 수 있지만, 회동 자리에서 사면이 논의된 적은 없다”고 했다. 노 정부 시절 청와대 민정수석실 소속 인사들은 “성완종 특사의 전말은 MB와 이상득 전 의원에게 물어보라. 새 정권이 들어서기 직전인 만큼 인수위 요청을 반영하는 것은 불가피했다”며 MB 형제에게 마이크를 넘겼다.
그러자 당사자인 SD 측은 펄쩍 뛰었다. 당선인 비서실 총괄팀장이던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은 “노 전 대통령이 MB에게 불만을 표출했고, 인사자료도 넘겨주지 않는 등 사면을 의논할 상황이 아니었다”고 했고, 또 다른 관계자 역시 “10년 만의 정권교체 탓에 노무현 정부 인사들과 업무 인수인계도 되지 않았는데 특사 문제가 협의될 리 없다”는 반응이다.
‘사면 공방’이 이어지면서 과연 누가 거짓말을 할까, 사면을 단행한 측엔 굳이 ‘뒷집’에 물어보라고 할 말 못할 사정이 있었을까 하는 궁금증이 꼬리를 문다.
흥미로운 점은 성 전 회장이 사면에 앞서 2007년 11월 대법원 상고를 포기했다는 것. 특사를 약속받고 상고를 포기했는지 현재로선 알 수 없지만, 사면이 전제되지 않았다면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게 법조계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특히 특사에 포함되면서 동시에 MB 인수위 명단에 이름을 올려 누가 성 전 회장의 뒷배를 봐줬는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당시 ‘왕의 남자’로 불리던 새누리당 정두언 의원이 “인수위가 사면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게 오히려 비상식적인 상황이다. 법무부, 청와대와 사전 논의한 걸로 안다. 핵심 인사가 성 전 회장 사면과 공천까지 특별히 챙겼다”고 주장하면서 의혹은 증폭됐다.
진실 공방 와중에 단서를 제공한 이는 추부길 전 대통령 홍보기획비서관(MB 정부 때)이다. 그는 언론 인터뷰에서 노건평 씨와 SD 간 핫라인을 통해 ‘밀약’이 체결됐다고 주장했다.
“2007년 10월부터 노건평 씨와 접촉했다. 11월에는 채널이 본격화하면서 ‘두 형님’이 여러 차례 직접 만났다. 형님 라인을 통해 ‘노무현 정부는 BBK 수사에 개입하지 않고, 정권을 인수할 MB 측은 전직 대통령을 수사하거나 구속하지 않는다’고 약속했다. 양 전 부시장 사면도 내가 노건평 씨에게 부탁해 성사시켰다. 성 전 회장 사면은 형님 라인을 통한 요청 대상은 아니지만, 당시 비서실장이던 문 대표가 몰랐다는 것은 100% 거짓말이다. MB는 2008년 광우병 ‘촛불시위’ 때 정국을 돌파하기 위해 밀약을 어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