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군기무사령부 안보강사로 일하는 A씨(여)가 웃으면서 말했다. 북한 실상을 장병에게 알리는 일을 한다. 그는 한국에 와서 식당 일을 했다. 고되었다. 식당 도우미 월급은 150만 원. 더욱이 A씨는 초보라는 이유로 120만 원을 받았다.
“여성이고, 나이 어리고, 미모 뛰어난 분은 군부대뿐 아니라 이곳저곳에서 강사를 해요. 기관에서 연결해줍니다. 기무사는 군부대만 연결해주고요. 선배들 말로는 이명박 정부 들어선 후 활발해졌어요.”
장병 상대로 안보 강연을 하면 회당 20만 원을 받는다. 학교·지방자치단체·사회단체 등에서 이뤄지는 민간인 대상 강의는 보수가 더 많다.
“북한에서 대학을 졸업했거나, 군 혹은 교사 출신이거나, 한국에서 대학을 졸업했거나 하는 그 나름 공부한 분이 위촉됩니다.”
안보강사는 탈북인이 선망하는 직업이다.
“식당에서 하루 종일 일해도 못 벌 돈을 강연 한 번에 버니까….”
강의 기술이 좋아야 일감이 많아진다고 A씨는 말했다.
“강연 내용을 보면 거기서 거기예요. 비슷한 내용이라 얼마나 스킬이 뛰어난지가 중요하죠. 북한이 안 좋다는 이야기를 엮는 건데, 얼마나 재밌게 엮느냐, 청중을 어떻게 틀어잡느냐가 관건이에요. 다른 강사와 차별되게 강의 자료를 멋있게 만들거나 말솜씨를 타고났으면 더 잘나가죠.”
기무사는 연간 4000회 안보 강연을 지원한다. 올해는 1월 1일~4월 30일 500회가량 강의가 이뤄졌다. 일선 작전부대에서 안보강사를 요청하면 기무사가 추천하는 형태다. 복수(複數)로 추천하면 작전부대가 한 명을 고른다. A씨 말대로 능력이 뛰어나면 강의를 더 맡는 구조다. 군 관계자는 “일부 탈북자가 강의를 덜 배정받는다고 불평하는 것은 시장논리를 이해하지 못한 탓”이라고 말했다.
한 보수 인사는 사석에서 이렇게 말했다,
“2017년 대선에서 좌파가 승리하면 외환보유고 4조 달러를 가진 중국 공산 정권, 핵을 가진 북한 정권, 반미 성향의 한국 정권이 정렬한다. 자유민주주의 정체성이 도전받아 국체가 훼손될 소지가 크다.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기에 이뤄지는 전교조의 이념교육도 걱정이다. 다행인 것은 이명박 정부 때부터 군의 안보교육이 강화됐다는 점이다. 군대는 한 해 ‘입학생’이 20만 명 넘는 ‘학교’다.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관련한 정훈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전교조 소속 교사들의 이념 편향적 정치 의식화 교육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잖다. 북한의 적화통일 전략과 실상을 장병에게 알리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 그런데 상당수 탈북자가 안보 강의 등으로 북한 실상을 대중에게 전하는 이들을 삐딱하게 본다. 북한 실상을 전하는 게 아니라 한국인이 듣고 싶어 하는 말을 한다고 여겨서다. 자신이 경험한 북한이 아니라 ‘한국에서 배운 북한’을 전한다는 것이다.
“동물원 원숭이 보듯…”
한 탈북자는 이렇게 말했다
“동물원 가이드 하듯 재미있게 북한을 별천지로 소개해야 인기가 있어요. 자극적인 내용이 가득해야 사람들이 좋아합니다. 그렇다보니 없는 얘기를 지어내기도 하죠. 문제 많은 곳, 한심한 곳이라는 것은 사람들이 다 아니까 끔찍하거나 흥미로운 에피소드를 들려줘야 주목도가 높아집니다. 동물원 원숭이 보듯 재미난 얘기를 해줘야 해요.”
전교조와 정반대의 이념 편향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그간 국가정보원, 기무사, 국가보훈처 등이 탈북자 강사를 내세운 안보교육을 해왔는데, 한 기관에서 진행한 강연을 듣고 참석자가 ‘좌익 쪽으로 정권을 뺏기면 큰일 나겠구나하는 생각이 다시 한번 들었어요.’ ‘현재 야당의 뿌리를 알려준 강의가 정말 흥미로웠다’는 소감을 남긴 적도 있다.
국회 정보위원회는 지난해 12월 23일 국정원의 안보교육 예산 중 전문가 교육 부문을 없애고 탈북자 교육과 시설 견학 예산도 2년 전 대비 4분의 1 수준으로 줄였다. 군 안보 강연 예산은 오히려 늘었다. 한 탈북자는 “다른 기관 예산이 줄어들어 기무사 안보강사 경쟁이 더 치열해졌다”고 말했다. 군 관계자는 “탈북자가 늘면서 안보강사 희망자도 늘었다. 그만큼 예산도 늘었다. 안보 의식을 고취하면서 탈북자 일자리를 창출하는 면도 있다”고 말했다.
한 안보강사는 이렇게 말했다.
“정치적인 얘기를 하는 분이 있는데, 미욱스럽게 깡 들이미니까 그런 말을 듣는 거죠. 그런 쪽에 취향이 있거나 견해가 확실해서 그럴 수도 있고요. 민감한 발언은 조심스럽게 눈치 맞춰서 해야죠. 듣는 사람이 진보인데, 보수 얘기를 하면 오해하죠.”
일부 탈북자는 정보기관들이 안보강사를 상대로 소집교육을 해 정보기관 입맛에 맞는 강의를 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기무사는 안보강사를 상대로 한 교육을 정기적으로 한다. 군 관계자는 “안보강사 소집교육 때 역사관, 강사로서 갖춰야 할 소양을 교육한다. 정치적으로 민감한 얘기를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고 전했다.
국정원 측은 “외부 단체에서 탈북자 강사를 소개해달라는 의뢰가 오면 적합한 사람을 연결해줄 뿐 강의 내용에 관여하지 않는다. 안보강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도 진행하지 않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