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도시 이름으로 ‘세종’은 부적절, 정부가 졸속 작명”

행정중심복합도시 자문위원의 고언

“도시 이름으로 ‘세종’은 부적절, 정부가 졸속 작명”

1/3
  • 최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이름을 ‘세종’으로 정했다. 그런데 작명(作名) 작업에 자문위원으로 참여한 충남대 도수희 명예교수는 “세종은 도시명으로 부적절하다. 건설청은 자문위원으로부터 전문적 의견을 제대로 구하지도 않은 채 대중영합 식으로 졸속 작명했다”고 비판하는 글을 ‘신동아’에 보내왔다.
“도시 이름으로 ‘세종’은 부적절, 정부가 졸속 작명”

2006년 9월 아리랑위성 2호가 보내온 ‘행정중심복합도시’ 예정지.

행정중심복합도시(이하 행정시)의 ‘지명’을 제정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행정시는 ‘서울’과 대등한 의미가 있고, 기능 또한 ‘서울’과 맞먹는 제2의 수도이기 때문이다. 국문학 중 특히 작명(作名) 분야에서 오랫동안 연구 활동을 해온 필자는 충청남도 등 광역단체의 추천으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하 행정시건설청)의 자문위원으로 일하게 됐다. 그래서 필자는 정부가 행정시의 이름을 짓는 과정을 자세히 지켜볼 수 있었다.

전문가 배제하고 여론몰이만

그런데 도시 이름을 짓는 것이 매우 특수하고 중요한 과제임에도 행정시건설청은 연구용역을 발주하는 등 광범위하게 전문적 의견을 구하는 작업을 전혀 하지 않았다. 대다수 행정기관은 이 정도의 사안이라면 우선 학술적인 검토부터 받아본 다음 실무적 단계의 작업을 진행한다.

아마 행정시건설청은 대중의 여론을 수렴해서 지명(地名)을 제정하면 될 것으로 편리하게 예단한 것 같다. 작명과정을 보면 이 같은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다. 행정시건설청은 대중에게 도시명을 공모하여 응모된 명칭 중 10개를 선정한 뒤 설문조사를 통해 3개로 압축했고, 다시 설문조사를 벌여 최우수작을 확정하는 절차를 밟았다.

지명을 정하는 과정에선 지명학적인 연구가 충분히 뒷받침돼야 하는 것이 순리다. 그러나 당국은 연구에는 관심이 없었고 공모 등 ‘여론몰이’에 주력한 인상이다. 이런 내부 사정을 잘 모르는 사람들은 “왜 지명학자들은 행정시 지명 제정 때 침묵했는가”라고 질책할 수도 있다. 정확히 말하자면 지명학자는 침묵한 것이 아니라 ‘배제’된 것이다.



지명은 언중(言衆)이 공유하는 공동의 이름이다. 한 도시의 지명은 그 도시 거주자뿐 아니라 국민 전체가, 혹은 전세계가 공유한다. 더욱이 나라의 수도가 될 도시 이름의 중요성은 말할 나위도 없다. 지명은 어휘 중에서 가장 수가 많고, 사용 빈도가 가장 높으며, 가장 변하지 않는 어휘다.

‘고려사 지리지’ ‘팔도지리지’ ‘세종실록 지리지’ ‘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등 역대 지리지들은 하나같이 지명을 앞세워 기술되어 있다. 우선 행정단위 지명부터 내세워야 그 지명 내의 지세·고적·지리·교통·정치·경제·문화·교육·상업·산업·민속·인물 내용을 기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명은 해당지역의 크기에 따라 대, 중, 소지명으로 나눌 수 있다. 모든 지명이 다 소중하지만 그래도 기능면에서 보면 그 중요도는 대>중>소의 순이 된다. 행정단위 지명에서 가장 큰 지명은 수도명이다. 그 다음이 시(광역)·도명이고, 그 아래가 시·군·면명, 그 아래가 부락(里洞)명이다. 우리는 수도명과 시·도명을 대(大)지명으로 묶을 수 있다.

도시명과 도시는 운명공동체

그러면 행정시 지명은 어디에 해당할까. 당연히 대지명에 해당한다. 대지명 중에서도 수도명과 맞먹는 지명이다. 따라서 그 이름을 제정하는 데 있어 격(格)에 맞는 대우를 받아야 했다. 도시 지명은 일단 결정되면 도시의 얼굴(간판)로 도시와 영구히 운명을 같이하기 때문이다. 도시 지명의 생성 및 변천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세 부류로 구분된다.

제 1 부류 : 소지명(마을 이름)이 그곳에 건설된 도시가 발전하면서 저절로 대지명(대도시명)으로 격상해간다. 이와 달리 소지명→중지명→대지명→중지명 소지명과 같이 지명이 흥망성쇄하는 경우도 있다.

가령 ‘한밭(大田)’이라는 지명을 보자. 지금의 대전광역시는 ‘넓은 밭’이라는 의미의 작은 시골 마을인 한밭에서 출발했다. 한밭은 최소 행정단위(里·洞)도 아닌, 겨우 닷새장이 서는 자연부락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곳에 경부선 역이 건설되면서 소지명인 한밭은 대전으로 바뀌어 대전역이라는 이름이 붙게 됐다. 이후 도시의 발전에 따라서 대전은 중(中)지명을 거쳐 결국 대지명으로 승격하게 됐다.

반대로 소지명 시절의 대전(회덕군 산내면 대전)을 거느렸던 ‘회덕(군)’은 점점 퇴락해 이제는 대전광역시 대덕군 회덕동으로 격하됐다. 우리의 대지명은 대부분 이런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발전한 ‘역사성’을 갖고 있다.

1/3
도수희 충남대 명예교수·국어국문학 tohsh2@hotmail.com
목록 닫기

“도시 이름으로 ‘세종’은 부적절, 정부가 졸속 작명”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